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아동상담

아동상담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eldard, Kathryn Geldard, David 김광웅, 역 박인전, 역 방은령, 역
서명 / 저자사항
아동상담 / Kathryn Geldard ; David Geldard 공저 ; 김광웅 ; 박인전 ; 방은령 공역.
발행사항
서울 :   中央適性 ,   2004.  
형태사항
402 p. : 삽도 ; 25 cm.
원표제
Counseling children: a practical introduction
ISBN
8983600381
일반주기
색인: p. 393-402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8-392
000 00988namccc200313 k 4500
001 000000885053
005 20100806102936
007 ta
008 040618s2004 ulka 001a kor
020 ▼a 8983600381 ▼g 93370 : ▼c \19000
035 ▼a KRIC09227997
040 ▼a 244015 ▼c 244015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289034 ▼l 111289035
082 0 4 ▼a 618.928914 ▼2 21
090 ▼a 618.928914 ▼b 2004a
100 1 ▼a Geldard, Kathryn ▼0 AUTH(211009)17505
245 1 0 ▼a 아동상담 / ▼d Kathryn Geldard ; ▼e David Geldard 공저 ; ▼e 김광웅 ; ▼e 박인전 ; ▼e 방은령 공역.
246 1 9 ▼a Counseling children: a practical introduction
260 ▼a 서울 : ▼b 中央適性 , ▼c 2004.
300 ▼a 402 p. : ▼b 삽도 ; ▼c 25 cm.
500 ▼z 색인: p. 393-402
504 ▼a 참고문헌: p. 388-392
534 ▼p 원본사항: ▼c London : Sage Publications, 1997 ▼z 0761955518 ▼z 0761955526
700 1 ▼a Geldard, David ▼0 AUTH(211009)76072
700 1 ▼a 김광웅, ▼e▼0 AUTH(211009)85241
700 1 ▼a 박인전, ▼e▼0 AUTH(211009)11308
700 1 ▼a 방은령, ▼e▼0 AUTH(211009)27117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914 2004a 등록번호 1112890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8.928914 2004a 등록번호 1112890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공자를 위한 아동상담 도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캐서린 젤다드(지은이)

오스트레일리아 선샤인코스트대학(USC) 의 인문/경영학부에 속해 있는 상담학과 겸임부교수이다. 젤다드 박사의 학자로서의 경력은 선샤인코스트대학 상담학의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과 학부 졸업 후 과정의 상담학 학위 개발 등을 포함한다. 그녀는 청소년 또래상담과 상담자 양성훈련, 진단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캐서린은 지역집단에 문화적으로 민감한 또래 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다. 젤다드 박사는 아동, 젊은이, 그 가족들 그리고 수년간의 상담 슈퍼비전과 양성훈련 등의 임상상담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책을 편찬한 저자이다.

데이비드 젤다드(지은이)

문제아동과 그 가족들을 위해 일해 온 상담심리학자이다. 그는 정신건강센터와 지역건강센터에서 일했고 또한 개인 상담자로서도 일했다. 그의 부인 캐서린과 함께 상담자 양성훈련, 사회복지사, 심리학자들에게 아동상담을 위한 매체와 활동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가르치는 일에 참여하여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또한 데이비드는 경험을 근거로 한 상담기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을 훈련하는 일과 가족치료에 상담한 관심을 보여 왔다. 그와 그의 와이프 캐서린은 몇 권의 책을 함께 쓴 저자이며 이 책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국제적으로 발행되었다.

김광웅(옮긴이)

경북대학교(영문학과 B.A.), 장로회신학대학(M.Div), 미국 프린스턴(princeton) 신학대학원(설교학, Th.M.) 과 뉴욕신학대학원(목회학, D.Min)에서 공부했다. 그 후 숭실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설교학을 강의했고, 수차례 성지를 방문하였으며, 장로회신학대학교 예루살렘성지연구소 이사장으로 봉사했고, 성경에 관계되는 여러 지역을 답사하기도 했다. 세계 40여 개국을 방문하고, 200여 회의 국내외 부흥회, 사경회, 수련회, 세미나 등을 이끌었다. 2002년 현재 목회자포럼 경북대표, 카자흐스탄(Kazakhstan) 장로회신학교 이사장, 경북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포항지역회 이사장으로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이 책에서 사용한 용어에 대하여 = 19
제1부 아동상담이란 무엇인가?
 제1장 들어가면서 = 23
 제2장 아동상담의 목표 = 26
  1. 수준 1의 목표 - 기본적 목표 = 28
  2. 수준 2의 목표 - 부모의 목표 = 28
  3. 수준 3의 목표 - 상담자의 목표 = 28
  4. 수준 4의 목표 - 아동의 목표 = 29
 제3장 아동과 상담자 관계 = 32
  1. 아동-상담자 관계의 속성과 이 속성이 부모-상담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 = 33
   1) 아동-상담자 관계는 아동의 세계와 상담자 사이를 연결하는 고리이어야 한다 = 34
   2) 아동-상담자 관계는 (다른 사람과) 배타적이어야 한다 = 35
   3) 아동-상담자 관계는 안전해야 한다 = 37
   4) 아동 - 상담자 관계는 진실해야 한다 = 39
   5) 아동 - 상담자 관계는 비밀이 보장되어야 한다 = 39
   6) 아동 - 상담자 관계는 비강제적이어야 한다 = 42
   7) 아동 - 상담자 관계는 목적이 있어야 한다 = 43
  2. 전이 = 45
 제4장 아동상담자의 자질과 속성 = 47
  1. 아동-상담자에게 바람직한 속성 = 48
   1) 일치(congruent) = 48
   2) 상담자내면에 있는 내적아동과 접촉하기(Being in touch with our own inner child) = 48
   3) 수용하기(Accepting) = 50
   4) 정서적으로 분리되기(Emotionally detached) = 52
제2부 이론적 조망
 제5장 아동상담에 관한 역사적 배경과 오늘날의 견해 = 57
  1. 1880년부터 1940년까지: 초기 선구자들의 업적 = 58
   1) Sigmund Freud = 58
   2) Anna Freud = 63
   3) Melanie Klein = 63
   4) Donald Winnicott = 64
   5) Carl Jung = 65
   6) Margaret Lowenfeld = 65
   7) Alfred Adler = 66
  2. 1920년에서 1975년까지 : 다양한 아동발달이론의 등장 = 67
   1) Abraham Maslow = 68
   2) Erik Erikson = 69
   3) Jean Piaget와 Lawrence Kohlberg = 70
   4) John Bowlby = 70
  3. 1940년에서 1980년까지 : 수많은 인본주의적/실존주의적 치료방법이 발달됨 = 72
   1) Carl Rogers = 73
   2) Virginia Axline = 73
   3) Frederick(Fritz) Perls = 74
   4) Violet Oaklander = 76
   5) Albert Ellis = 77
   6) Richard Bandler와 John Grinder = 78
   7) William Glasser = 80
  4. 1980년 이후 : 아동상담에 대한 최근의 견해 = 83
   1) 회기제한 놀이 치료 = 83
  5. 결론 = 85
 제6장 아동 치료 과정 = 86
  1. 초기 사정 단계 = 86
   1) 관련정보수집 = 87
   2) 부모(양육자)와 계약 = 89
  2. 아동 치료 단계 = 90
   1) 적절한 매체 선택 = 90
   2) 아동과 합류 = 91
   3) 아동이 자기자신에 대해 말하도록 관심을 끌어냄 = 94
   4) 아동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수 있게 함 = 97
   5) 문제 해결 = 97
   6) 아동의 권한부여 = 98
  3. 체계 문제 처리 단계 = 98
   1) 적절한 수준에서의 부모나 가족 참여 = 98
   2) 의뢰 기관에 피드백 = 100
   3) 필요 할 때 교육활동 = 100
  4. 치료결과 검토단계 = 101
   1) 최종 사정과 평가 = 101
   2) 사례 종결 = 101
 제7장 치료적 변화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동의 내적 과정 = 102
  1. 사례연구 - 가족배경 = 103
   1) 아동이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다 = 105
   2) 아동이 상담자와 합류한다 = 105
   3) 아동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하기 시작한다 = 106
   4) 문제에 대한 아동의 인식이 증가한다 = 106
   5) 아동이 편향하거나 철수한다 = 107
   6) 아동이 저항을 다룬다 = 108
   7) 아동이 자기 자신에 대해 계속 말하고 강한 정서를 접하게 된다 = 109
   8) 아동이 자기 파괴적인 신념을 다룬다 = 109
   9) 아동이 선택권과 선택범위를 탐색한다 = 110
   10) 아동이 새로운 행동을 연습하고 실험한다 = 111
   11) 아동이 해결점에 도달하고, 적응적인 기능을 해나간다 = 111
   12) '나선형 치료적 변화모델'의 사용 = 112
제3부 아동상담 기술
 제8장 관찰 = 116
  1. 전반적인 생김새 관찰하기 = 117
  2. 행동 관찰하기 = 117
  3. 아동의 기분이나 감정 상태를 관찰하기 = 118
  4. 지적 기능과 사고 과정을 관찰하기 = 119
  5. 말하기와 언어 관찰하기 = 119
  6. 운동기술 관찰하기 = 119
  7. 놀이 관찰하기 = 120
  8. 아동과 상담자와의 관계 관찰하기 = 121
 제9장 적극적 경청 = 122
  1. 아동의 신체언어와 보조 맞추기 = 123
  2. 최소한의 반응을 하기 = 124
  3. 반형해주기 = 125
   1) 내용 반영하기 = 125
   2) 감정반영하기 = 127
   3) 내용과 감정을 결합하여 반영하기 = 131
  4. 요약하기의 사용 = 133
 제10장 아동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 135
  1. 관찰 및 적극적 경청기술 = 136
  2. 질문하기 = 137
  3. 진술문의 사용 = 142
  4. 매체의 사용 = 143
 제11장 저항과 전이 다루기 = 147
  1. 저항 다루기 = 147
  2. 전이 다루기 = 150
 제12장 부적절하고(혹은 부적절하거나) 자기파괴적인 신념다루기 = 154
  1. 부적절한 신념에 도전하기 = 156
  2. 재구성 = 159
  3. 정상화 = 160
 제13장 적극적으로 변화를 촉진하기 = 161
  1. 선택권과 선택범위들을 탐색하기 = 161
  2. 새로운 행동을 연습하고 실험하기 = 164
 제14장 상담의 종결 = 168
제4부 놀이치료 - 매체 사용과 활동
 제15장 놀이치료실 = 175
  1. 가구, 장비, 장난감과 재료 = 178
   1) 가구와 관련 항목들 = 178
   2) 장난감 = 179
   3) 장비와 재료 = 179
   4) 동물 모형과 피겨(figure) = 180
   5) 옷입기 재료 = 180
   6) 책 = 181
   7) 게임 = 181
 제16장 적절한 매체 및 활동 선택하기 = 182
  1. 표 16.1: 각 연령 집단에 적합한 매체 및 활동 = 183
  2. 표 16.2: 각각의 상담 상황에 적합한 매체 및 활동 = 184
  3. 표 16.3: 목표 달성에 적합한 매체 및 활동 = 185
   1) 문제와 사건을 극복하고 숙달감 획득하기 = 185
   2) 신체적 표현을 통해 강해지기 = 186
   3) 정서 표현을 격려하기 = 187
   4)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기술을 발달시키기 = 187
   5)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키기 = 188
   6)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을 확립하기 = 188
   7)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기 = 189
   8) 통찰력 기르기 = 190
  4. 16.4: 매체 및 활동의 특성 = 191
   1) 개방적이고 확장적인 매체 및 활동 = 192
   2) 기능적이고 제한적인 매체 및 활동 = 192
   3) 친숙하고 안정적인 매체 및 활동 = 192
   4) 교육적인 매체 및 활동 = 192
  5. 표 16.5: 매체 및 활동을 사용함으로써 고무될 수 있는 행동들 = 193
   1) 아동을 상호작용적이고 모험적이 되도록 격려하는 매체 및 활동 = 194
   2) 자기 반성적이고 사적인 행동을 하도록 하는 매체 = 194
   3) 단순하고 정형화된 행동을 이끌어 내는 매체 및 활동 = 194
   4) 인지적 반응을 격려하는 매체 및 활동 = 194
  6. 결론 = 195
 제17장 동물 모형 사용하기 = 196
  1. 필요한 재료 = 196
  2. 동물 모형의 사용 목적 = 197
  3. 동물 모형의 사용 방법 = 198
   1) 동물 모형을 사용한 상담의 투사적 특성 = 202
   2) 매체 사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토의 = 203
  4. 동물 모형을 사용할 때 필요한 상담 기술 = 204
  5. 매체의 적합성 = 205
 제18장 모래놀이치료 = 207
  1. 필요한 설비 및 재료 = 207
   1) 모래상자 = 207
   2) 상징물 = 208
   3) 일반적인 항목 = 208
   4) 작은 장난감 = 209
   5) 피겨와 영웅들 = 209
   6) 장난감 동물 = 209
  2. 모래놀이치료의 목표 = 210
  3. 모래상자를 사용하는 방법 = 210
   1) 보기 1 = 211
   2) 보기 2 = 211
   3) 보기 3 = 212
   4) 보기 4 = 212
  4. 모래상자를 사용할 때의 상담 기술 = 214
   1) 관찰 = 214
   2) 진술문 사용 = 215
   3) 질문 사용 = 216
   4) 지시하기 = 216
   5) 모래놀이치료의 종결 기술 = 217
  5. 모래놀이치료의 적합성 = 218
 제19장 점토를 이용한 상담 = 220
  1. 점토 사용 시 필요한 재료 = 221
  2. 점토를 사용할 때의 목표 = 223
   1) 개별 및 집단으로 점토를 사용할 때의 목표 = 223
   2) 집단 내에서 점토로 작업할 때의 목표 = 224
   3) 점토 작업의 방법 = 224
  3. 매체의 적합성 = 230
 제20장 그리기, 색칠하기, 콜라쥬 및 만들기 = 232
  1. 필요한 재료 = 235
   1) 그리기에 필요한 재료 = 235
   2) 붓으로 색칠하는데 필요한 도구와 재료 = 236
   3) 핑거페인팅 하는데 필요한 재료 = 236
   4) 꼴라쥬를 위한 재료 = 237
   5) 만들기에 필요한 재료 = 238
  2. 그리기와 색칠하기를 사용할 때의 목표 = 239
   1) 아동이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 239
   2) 아동이 억압되거나 긴장된 정서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 239
   3) 아동이 과거에 경험했거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사건을 잘 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 240
  3. 그리기 및 색칠하기의 사용 방법 = 240
   1) 사전연습 = 240
   2) 그리기 및 색칠하기의 사용 = 242
   3) 그리기 및 색칠하기에 유용한 주제 = 244
   4) 핑거페인팅 = 244
   5) 콜라쥬 = 245
   6) 만들기와 조각 = 246
  4. 그리기, 색칠하기, 콜라쥬, 만들기의 적합성 = 247
 제21장 상상여행 = 248
  1. '상상여행'을 사용할 때의 목표 = 249
  2. '상상여행'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재료 = 251
  3. '상상여행'으로 아동을 안내하는 방법 = 252
   1) 나의 비밀장소 = 253
   2) 시골 집 여행 = 254
  4. 아동의 그림과 여행 다루기 = 255
  5. 상상여행의 적합성 = 256
 제21장 책과 이야기 = 258
  1. 아동 상담에서 이야기책 사용하기 = 258
  2. 이야기 만들기 = 259
  3. 교육적인 목적을 위한 책 = 259
  4. 책과 이야기책을 사용할 때의 목표 = 260
   1) 이야기책을 이용하거나 이야기를 만들 때의 전반적인 목표 = 260
   2) 이야기책 이용하기에 대한 특별한 목표 = 260
   3) 이야기 만들기에 대한 특별한 목표 = 261
   4) 교육적인 목적으로 책을 사용할 때의 목표 = 261
  5. 책과 이야기책으로 상담할 때 필요한 재료 = 261
  6. 책과 이야기를 이용하는 방법 = 262
  7. 책과 이야기의 적합성 = 265
 제23장 손인형과 부드러운 장난감 = 266
  1. 손인형과 부드러운 장난감을 사용하는 목표 = 268
   1) 문제와 사건에 대한 통제력 얻기 = 268
   2) 신체적 표현을 통해서 강해지기 = 269
   3) 문제해결능력과 의사결정능력 발달시키기 = 269
   4) 사회적 능력 발달시키기 = 269
   5) 의사소통기술 향상시키기 = 270
   6) 통찰력 발달시키기 = 270
  2. 손인형과 부드러운 장난감을 사용할 때 필요한 재료들 = 270
  3. 손인형과 부드러운 장난감을 사용하는 방법 = 271
   1) 아동에게 자발적으로 손인형 사용하도록 하기 = 272
   2) 아동에게 손인형 쇼를 만들고 감독하도록 유도하기 = 273
   3) 손인형을 사용해서 잘 알려진 동화나 우화와 결합시키기 = 275
   4) 상담자와의 대화에서 손인형 사용하기 = 275
  4. 손인형과 부드러운 장난감의 적합성 = 276
 제24장 상상적 가장 놀이 = 278
  1. 상상적 가장놀이의 목표 = 280
  2. 상상적 가장놀이에 필요한 재료와 장비들 = 280
  3. 상상적 가장놀이 사용법 = 282
  4. 상상적 가장놀이 세션 시작하기 = 286
  5. 특별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상상적 가장놀이 사용방법 = 286
   1) 아동이 생각, 소망, 두려움 그리고 환상을 언어적ㆍ비언어적으로 외현화하고 명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87
   2) 아동이 내면에 깔린 생각이나 사고과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87
   3) 정서적인 고통으로부터 카타르시스적 위안을 얻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88
   4) 아동이 정서의 신체적 표현을 통해 강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88
   5) 아동이 과거 문제와 사건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88
   6) 아동에게 현재와 과거의 사건에 대한 통찰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89
   7) 아동이 새로운 행동을 개발하는 모험을 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90
   8) 아동이 새로운 행동을 연습하고 특별한 생활 상황에 대비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90
   9) 아동에게 자아 개념과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91
   10) 아동의 의사소통기술이 향상되도록 도와주기 위해 상상적 가장놀이를 사용하는 방법 = 291
  6. 상상적 가장놀이의 적합성 = 292
 제25장 게임 = 293
  1. 게임을 할 때 필요한 재료 = 295
  2. 게임 사용의 목표 = 297
  3. 게임을 사용하는 방법 = 297
   1) 저항하거나 상담을 꺼리는 아동과 상담 관계를 확립하기 위한 게임의 사용 = 297
   2) 제한, 한계와 다른 사람의 기대 등에 대한 아동 자신의 반응을 탐색하도록 돕기 위한 게임의 사용 = 298
   3) 대근육과 소근육, 운동능력, 시ㆍ지각 능력에 관한 자신의 장단점을 발견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게임의 사용 = 300
   4) 아동이 과제에 참여하고 집중하며, 끈기 있게 해내는 능력을 탐색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게임의 사용 = 301
   5) 아동이 협동, 협조와 같은 사회적 기술을 익히고, 실망, 실패와 성공에 대한 적절한 반응의 학습을 돕기 위한 게임의 사용 = 301
   6) 아동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기술을 습득하도록 돕기 위한 게임의 사용 = 302
   7) 특별한 문제나 생활사(가정폭력, 성학대, 낯선 이에 대한 위험 등)에 대한 교육적인 수단으로서의 게임의 사용 = 303
  4. 게임의 적합성 = 303
제5부 워크시트 사용하기
 제26장 자아 존중감 형성 훈련 = 309
  1. 자기자신 발견하기 = 314
  2. 강점과 제한점 = 315
  3. 미래를 위한 목표 = 317
 제27장 사회적 기술 훈련 = 327
  1. 감정을 확인하고 표현하기 = 330
   1) 자신의 감정을 확인하도록 돕기 = 331
   2) 다른 사람의 감정을 확인하도록 돕기 = 331
   3)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도록 돕기 = 332
  2. 타인과 의사소통하기 = 334
   1) 친구 사귀기 = 334
   2) 따돌림 = 336
   3) 갈등 해결하기 = 336
  3. 자기관리 = 337
   1) 침착하기 = 338
   2) 결과들 = 339
   3) 자기 자신을 지지하기 = 340
  4. 요약 = 341
 제28장 자기보호를 위한 행동 교육 = 360
  1. 아동이 적절한 경계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 = 360
   1) 발달적 경계 = 361
   2) 가족 경계 = 361
   3) 사회적 경계 = 363
   4) 문화적 경계 = 363
  2. 신체적 손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도록 돕는 것 = 364
   1) 가정 폭력 = 364
   2) 성학대 = 364
   3) 또래 압력 = 365
   4) 또래 관계 = 365
  3. 아동이 정서적 손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도록 돕는 것 = 366
   1) 비밀 지키기 = 366
   2) 희생되기 = 367
   3) 의사소통 기술 = 368
  4. 자기보호를 위한 행동 교육에서 워크시트 사용하기 = 368
   1) 적절한 경계 세우기 = 369
   2) 신체적 보호를 위한 행동 = 371
   3) 정서적 보호를 위한 행동 = 372
제6부 결론
참고문헌 = 388
찾아보기 (인명) = 393
찾아보기 (사항) = 40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