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몰입교육의 이론과 실제

영어몰입교육의 이론과 실제 (Loan 5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용구 홍영기
Title Statement
영어몰입교육의 이론과 실제 / 강용구 ; 홍영기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대전 :   보성 ,   2004.  
Physical Medium
307 p. ; 23 cm.
ISBN
8989891337
General Note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수록
000 00611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884894
005 20100806102608
007 ta
008 040617s2004 tjk 000a kor
020 ▼a 8989891337 ▼g 9374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88704 ▼l 111288705
082 0 4 ▼a 428.007 ▼2 21
090 ▼a 428.007 ▼b 2004b
100 1 ▼a 강용구 ▼0 AUTH(211009)69934
245 1 0 ▼a 영어몰입교육의 이론과 실제 / ▼d 강용구 ; ▼e 홍영기 공저.
260 ▼a 대전 : ▼b 보성 , ▼c 2004.
300 ▼a 307 p. ; ▼c 23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홍영기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 2004b Accession No. 11128870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 2004b Accession No. 1112887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강용구(지은이)

<의사소통적 영어수업>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영어교육의 새 동향 : 몰입교육 = 11
 1. 몰입교육(immersion education)의 기원 = 13
 2. 다양한 상황에 이용되고 있는 몰입교육 = 14
 3. 몰입교육의 특징 = 15
 4. 캐나다의 몰입교육 = 16
 5. 싱가포르의 몰입교육 = 23
 6. 홍콩의 몰입교육 = 29
제2장 의사소통능력의 이론적 고찰 = 37
 1. 언어능력(competence)과 언어수행(performance) = 37
 2.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38
 3. 의미 잠재력(meaning potential)으로서의 언어 = 41
제3장 의사소통중심 언어교수법 = 45
 1. 의사소통중심 언어교수법(CLT)의 배경 = 45
 2. CLT의 일반적 특성 = 48
 3. 의사소통적 학습 목표(objectives) = 60
 4. 의사소통적 교육과정(syllabus) = 65
제4장 이해되는 학습자료(comprehensible input) = 71
 1. 학습자료(input)의 중요성 = 71
 2. 학습자료 가설(Input Hypothesis) = 75
 3. 근사 발달 지대(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79
 4. 언어적 맥락(linguistic context)과 비언어적 맥락(extralinguistic context) = 81
 5. 예측 개념(notion of expectancy) = 84
제5장 교재(text)와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89
 1. 상황적 사실주의(situational realism) = 93
 2. 연습문제(exercise)의 문제점 = 104
 3. 대화(dialog)와 상황적 사실주의(situational realism) = 126
 4. 언어적 사실주의(linguistic realism) = 133
제6장 사실적 구두 표현(realistic oral interpretation) = 151
 1. 발음지도의 문제점 = 154
 2. 축소(reduction) = 157
 3. 동화(assimilation) = 163
 4. 축약(contraction) = 168
제7장 의사소통 중심적 교수·학습 방안 = 171
 1. 교수·학습 방안 작성의 원칙 = 173
 2. Master plan의 작성 요령 = 188
 3. 학습지도 세안(sub-plan)의 구성 = 190
부록 = 247
Bibliography = 30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