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영어교육의 새 동향 : 몰입교육 = 11
1. 몰입교육(immersion education)의 기원 = 13
2. 다양한 상황에 이용되고 있는 몰입교육 = 14
3. 몰입교육의 특징 = 15
4. 캐나다의 몰입교육 = 16
5. 싱가포르의 몰입교육 = 23
6. 홍콩의 몰입교육 = 29
제2장 의사소통능력의 이론적 고찰 = 37
1. 언어능력(competence)과 언어수행(performance) = 37
2.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38
3. 의미 잠재력(meaning potential)으로서의 언어 = 41
제3장 의사소통중심 언어교수법 = 45
1. 의사소통중심 언어교수법(CLT)의 배경 = 45
2. CLT의 일반적 특성 = 48
3. 의사소통적 학습 목표(objectives) = 60
4. 의사소통적 교육과정(syllabus) = 65
제4장 이해되는 학습자료(comprehensible input) = 71
1. 학습자료(input)의 중요성 = 71
2. 학습자료 가설(Input Hypothesis) = 75
3. 근사 발달 지대(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79
4. 언어적 맥락(linguistic context)과 비언어적 맥락(extralinguistic context) = 81
5. 예측 개념(notion of expectancy) = 84
제5장 교재(text)와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89
1. 상황적 사실주의(situational realism) = 93
2. 연습문제(exercise)의 문제점 = 104
3. 대화(dialog)와 상황적 사실주의(situational realism) = 126
4. 언어적 사실주의(linguistic realism) = 133
제6장 사실적 구두 표현(realistic oral interpretation) = 151
1. 발음지도의 문제점 = 154
2. 축소(reduction) = 157
3. 동화(assimilation) = 163
4. 축약(contraction) = 168
제7장 의사소통 중심적 교수·학습 방안 = 171
1. 교수·학습 방안 작성의 원칙 = 173
2. Master plan의 작성 요령 = 188
3. 학습지도 세안(sub-plan)의 구성 = 190
부록 = 247
Bibliography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