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884828 | |
005 | 20170220095747 | |
007 | ta | |
008 | 040617s2004 ulk 001c kor | |
020 | ▼a 8932014841 ▼g 94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288279 ▼l 111288280 |
082 | 0 4 | ▼a 801 ▼a 809/.923 ▼2 23 |
085 | ▼a 801 ▼2 DDCK | |
090 | ▼a 801 ▼b 1982c ▼c 40 | |
100 | 1 | ▼a Ricœur, Paul, ▼d 1913- ▼0 AUTH(211009)143535 |
245 | 1 0 | ▼a 시간과 이야기. ▼n 3, ▼p 이야기된 시간 / ▼d 폴 리쾨르 지음 ; ▼e 김한식 옮김 |
246 | 1 9 | ▼a Temps et récit. ▼n 3, ▼p Le temps raconté |
246 | 3 9 | ▼a Temps raconté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2004 | |
300 | ▼a 600 p. ; ▼c 23 cm | |
440 | 0 0 | ▼a 현대의 문학 이론 ; ▼v 40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Narration (Rhetoric) |
650 | 0 | ▼a Time in literature. |
650 | 0 | ▼a Mimesis in literature. |
650 | 0 | ▼a Plots (Drama, novel, etc.) |
650 | 0 | ▼a History ▼x Philosophy |
700 | 1 | ▼a 김한식, ▼e 역 ▼0 AUTH(211009)94958 |
900 | 1 0 | ▼a 리쾨르, 폴,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112882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112882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511653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511653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112882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112882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511653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1982c 40 | Accession No. 1511653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폴 리쾨르의 대표적인 저작으로, 철학적 관점에서 문학 연구들의 성과를 포용하였고, 철학적 해석학의 넓은 틀 속에서 허구 이야기뿐 아니라 역사 이야기를 함께 다루면서 거대한 시간-이야기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구조주의의 독점으로부터 벗어나 철학의 방향을 재정립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다.
<시간과 이야기>는 모두 3권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은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라는 부제 아래 1부와 2부로 묶여져 있다. 1부에서는 시간에 대한 이론과 이야기에 대한 이론을 개별적으로 검토하면서 궁극적으로는 둘을 종합하여, 이야기한다는 실천 행위가 어떻게 인간의 실존적이며 윤리적인 조건과 의미를 밝히는 데 기여하는가를 탐구한다.
2부에서는 역사 기술에서의 이야기와 시간의 형상화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모든 역사 기술은 서술성을 바탕으로 하며, 궁극적으로는 역사적 시간이 갖는 서술성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 4부는 4년을 지나 2004년 3월 출간되었는데, '이야기된 시간'이라는 부제 아래 시간성의 모순에 서술성의 시학이 어떻게 답하고 있으며 그 유효성과 한계는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1장은 지금껏 시간의 모순성을 심화시킨다고 여겨진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우주론적 관점이 상보적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 이야기하는 행위가 어떤 창조적 수단을 통해 시간성의 모순에 답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시간성의 모순이 드러내는 주요한 난점들을 총 7개의 절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다뤘다. 1절에서 4절까지는 '역사'와 '허구'는 각기 다른 존재론적 목표를 겨냥하고 있으나 시간을 재형상화하는 작업을 통해 서로 만나고 있음을 밝히고 5절에서는 대상 지시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했다.
마지막 2개의 절에서는 시간의 단일성의 아포리아에 의해 야기된 문제를 다뤘고, 결론에서는 서술성의 시학이 답할 수 없는 시간성의 모순이 여전히 존재함을 시간성의 몇 가지 아포리아를 통해 되짚어 강조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폴 리쾨르(지은이)
1913년 프랑스 남동부 발랑 시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집안은 독실한 프로테스탄트 가정이었다. 2세 때 부모가 사망하여 브르타뉴 렌느 시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하고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5년 파리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였고 유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자로 알려진 가브리엘 마르셀에게 철학과 신학을 배웠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독일군에 잡혀 스위스에서 5년간 포로생활을 하였다. 당시 후설의 저서들을 탐독한 것이 계기가 되어 후설 연구가로도 알려졌다. 1950년 후설의 《현상학의 이념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프랑스에 소개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현상학을 통하여 인간 존재의 유한성을 밝히고 그러한 유한성으로 초월적 존재인 신을 해명하려고 노력하였다. 1948∼1956년 스트라스부르대학, 1956년부터는 파리대학 철학교수로 재직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 Le volontaire et l’involontaire》(1949)에서 의지에 관한 현상학적 기술을, 《유한성과 죄악 가능성 Finitude et culpabilit?》(1960)에서 종교적인 상징에 대한 해석학을, 《해석에 대하여 De l’interpr?tation》(1965)에서 프로이트를 재해석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였다. 1966년 그리스도교 좌파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하여 낭트대학으로 자리를 옮겼으나, 1968년 학생혁명이 좌절되자 급진적인 학생들과 지식인들로부터 외면당하여 1970년 해임되었다. 그 뒤 시카고대학과 파리대학을 중심으로 강의와 저술활동을 하였다. 이후 그 동안 몰두했던 해석학의 주제도 상징에서 텍스트로 바뀌게 되었다. 그는 상징언어에 대한 해석의 폭이 너무 좁다고 여겨, 텍스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 존재를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 1975년에 《살아 있는 메타포 La m?taphore vive》를, 1983·1984·1985년에 연속으로 《시간과 이야기 Temps et r?cit 1, 2, 3》를 펴냈다. 1990년에는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Soi-m?me comme un autre》을, 1992년에는 대표 논문을 모은 《강좌 Lecture》를 출간하였다. 2005년 별세하였다.
김한식(옮긴이)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와 동 대학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이야기의 시학과 수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프랑스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학과 철학의 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문학 이론과 폴 리쾨르의 해석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해석의 에움길-폴 리쾨르의 해석학과 문학』(문학과지성사, 2019)이 있으며, 폴 리쾨르의 『시간과 이야기』(전 3권, 문학과지성사)를 번역했다.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옮긴이의 말 제4부 이야기된 시간 제1장 시간성의 모순 1. 정신의 시간과 세계의 시간 - 아우구스티누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쟁 2. 직관적 시간과 보이지 않는 시간 - 칸트 대 후설 시간의 드러남 : 내적 시간 의식의 현상학에 대한 후설의 "강의" 시간의 비가시성 : 칸트 3. 시간성, 역사성, 시간 내부성 - 하이데거와 "통속적" 시간 개념 해석학적 현상학 마음 씀과 시간성 시간화 : 다가옴, 있었음, 있게 함 역사성 시간 내부성 "통송적" 시간 개념 제2장 이야기의 시항 - 역사, 허구, 시간 1. 체험된 시간과 보편적 시간 사이에서 - 역사적 시간 달력의 시간 세대의 연속 : 동시대인, 선조 그리고 후손 사료, 문서, 흔적 2. 허구와 시간에 관한 상상의 변주 역사적 시간의 중립화 체험된 시간과 세계의 시간 사이의 균열에 관한 변주 형상학의 내적 아포리아들에 관한 변주 상상의 변주와 이상형 3. 역사적 과거의 실재성 동일자의 특징 아래 - 현재 속에서 과거의 "재실행" 탙자의 특징 아래 - 과거의 부정적 존재론? 유사자의 특징 아래 - 비유적인 접근? 4. 텍스트의 세계와 독자의 세계 시학에서 수사학으로 텍스트와 독자 사이의 수사학 독서의 현상학과 미학 5. 역사와 허구의 교차 역사의 허구화 허구의 역사화 6. 헤겔을 포기함 헤겔의 유혹 불가능한 총체적인 매개 7. 역사 의식의 해석학으로 미래, 그리고 미래의 과거 과거에-의해-영향받는-존재 역사적 현재 결론 1. 시간성의 첫번째 아포리아 - 서술적 정체성 2. 시간성의 두번째 아포리아 - 총체성과 총체화 3. 가늠할 수 없는 시간의 아포리아와 이야기의 한계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시간과 이야기 - 총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