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GO와 시민사회』를 내면서 = Ⅴ
Ⅰ.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1. 시민사회의 다원적 의미 = 11
1) 시민사회의 역사적 의미 = 12
2) 시민사회의 현대적 의미 = 15
3) 시민사회 용어들의 혼용 = 17
4) 이 책의 시민사회 탐구 = 18
2. 시민사회의 이론적 논의 = 19
1) 다원주의와 사회운동 = 20
2) 이론적 논의의 다양성 = 25
3) 역사제도주의 이론 = 30
4) 시민사회 연구접근법 = 32
3. 시민사회의 이념적 시각 = 38
1) 헤프너-재노스키의 분류 = 39
2) 월저-디킨의 분류 = 40
3) 하이든-반틸의 분류 = 42
4) 에드워즈-폴리의 분류 = 44
4. 시민사회의 다양한 얼굴 = 47
1) 정치적 얼굴 = 48
2) 문화적 얼굴 = 52
3) 경제적 얼굴 = 54
Ⅱ. 시민사회와 NGO
1. NGO란 무엇인가 = 59
1)NGO의 역사적 발전 = 60
2) NGO, NPO, VO, CSO = 66
3) 시민사회 결사체 용어들 = 73
4) 시민사회 결사체 유형 = 75
5) 용어들의 국제적 통용 = 77
2. 시민사회(NGO)의 정당성 = 83
1) 법률적 정당성 = 83
2) 정치적 정당성 = 84
3) 사회적 정당성 = 85
4) 경제적 정당성 = 86
3. 시민사회(NGO)의 특성 = 87
1) 크래머 등의 6대 특징 = 88
2) 브래튼의 구성적 특성 = 88
3) 샐러먼의 구조기능적 특성 = 89
4) 로만의 역동적 특성 = 90
5) NGO의 특성 논의 = 91
4. 시민사회(NGO)의 기능 = 97
1) 사회 공론의 장 = 98
2) 국가·시장 견제 = 99
3) 사회문제 해결 = 100
4) 사회자본 생산 = 100
5) 사회적 서비스 기능 = 101
5. 시민사회(NGO)의 유형 = 102
1) 세계은행의 CSO 분류 = 103
2) EU의 사회경제 분류 = 104
3) 국제NPO분류(ICNPO) = 105
4) 영국의 자선섹터 분류 = 108
5) 미국 세법의 NPO 분류 = 109
6) 한국의 NGO/NPO 분류 = 110
Ⅲ. 시민사회와 제3섹터
1. 국가, 시장, 시민사회 = 115
1) 제3섹터로서의 시민사회 = 116
2) 3대 섹터 메카니즘 비교 = 119
2. 3대 섹터 모델 = 122
1) 페스토프의 삼각관계 모델 = 122
2) 빌리스 등의 수요공급 모델 = 123
3. 4대 섹터 모델 = 126
1) 빌리스의 4대 섹터 모델 = 126
2) 바우어의 다양다색 모델 = 127
3) 반 틸의 4대 섹터 모델 = 128
4) 재노스키의 4대 섹터 모델 = 129
4. 5대 섹터 모델 = 130
1) 오커넬의 5대 섹터 모델 = 131
2) 디킨의 5대 섹터 모델 = 136
3) 코헨과 아라토의 5대 섹터 모델 = 137
4) 워렌의 사회관계 모델 = 138
Ⅳ. 시민사회와 국가(정부)
1.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 = 141
1) 국가로부터의 독립영역 = 142
2) 개인과 국가의 중개조직 = 144
2. 정부와 NGO 관계 모델 = 148
1) 보스웰의 7대 관계 유형 = 148
2) 기드론 등의 4대 관계 유형 = 150
3) 코스튼의 8대 관계 유형 = 152
4) 제도적 다원주의 수용 = 153
3. 공공정책과 시민사회 = 160
1) 공급시각 : 공공정책의 확대 = 160
2) 수요시각 : NGO 역량 증대 = 165
4. NGO의 정책 영향력 = 167
1) 정책 가버넌스 참여 = 168
2) 정치적 기회 구조 = 169
3) NGO의 운동 역량 = 172
4) 법률적 기회와 NGO = 173
5) NGO의 법률적 전략 = 177
Ⅴ. 시민사회와 시장(기업)
1. 시장-시민사회 관계 = 182
1) 시장에 대한 견제세력 = 182
2) 신자유주의와 기업의 특권 = 185
3) 신자유주의와 가버넌스 모델 = 190
2.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 192
1) 기업과 NGO 관계 = 193
2) 기업시민정신의 의미 = 196
3) 기업시민정신의 배경 = 198
4) 기업시민정신의 원칙 = 200
3. 사회발전 파트너십 전략 = 201
1) 지역사회 이해당사자 모델 = 202
2) 사회발전 파트너십 = 203
Ⅵ. 시민사회와 가버넌스
1. 가버넌스와 시민사회 = 210
1) 가버넌스란 무엇인가 = 210
2) 세계화, 민주화, 분권화 = 211
3) 국가 가버넌스의 분산 = 215
4) 가버넌스와 시민사회 = 218
2. 공공정책과 가버넌스 = 219
1) 가버넌스 파트너 역할 = 220
2) 개발 가버넌스 역할 = 221
3) 정부의 책무성과 투명성 제고 = 222
4) 정책과정에 대한 기여 = 225
5) 정책집행과 공공서비스 제공 = 228
3. NGO 역할의 조건과 한계 = 231
1) 정책 파트너 역할의 조건 = 231
2) NGO의 투명성과 책무성 = 233
3) NGO의 한계와 정부의 역할 = 236
4) 변혁의 주도 역할 과제 = 238
Ⅶ.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1. 글로벌 NGO 혁명 = 241
1) '신자유주의 합의'의 실패 = 242
2) 글로벌 NGO 혁명 = 244
3) 시민과 시민사회의 등장 = 246
4) 개발 패러다임의 이동 = 250
2. 글로벌 가버넌스와 NGO = 253
1) 세계화와 글로벌 가버넌스 = 254
2) 세계화에 대한 NGO의 도전 = 257
3) 초국적기업과 NGO 관계 = 264
4) 글로벌 협약(Global Compact) = 269
3. UN과 글로벌 NGO = 272
1) 역사적 발전 배경 = 273
2) 글로벌 NGO의 등장 = 276
3) UN과 NGO의 관계 = 283
4) UN-NGO 관계의 제도화 = 287
4.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 289
1) 글로벌 시민사회의 발전 = 290
2) 글로벌 NGO의 역할 = 292
3) 글로벌 NGO 활동의 한계 = 294
4) 글로벌 시민사회의 한계 = 298
Ⅷ. 시민사회와 유토피아 : NGO 활동의 쟁점들
1. 참여민주주의의 도전 = 302
1)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 302
2) 참여민주주의와 NGO = 306
3)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 309
2. 권익주창과 정치화 = 311
1) NGO의 정치참여 논쟁 = 312
2) NGO의 권익주창 활동 = 313
3) 권익주창의 과두화 = 315
3. 재정자립과 상업화 = 317
1) 자원섹터 실패론 = 317
2) 정부용역 경계론 = 319
3) 사적 민주주의론 = 320
4) 시민참여 부재론 = 322
4. 시민없는 시민운동 = 325
1) 시민의 간접참여 = 325
2) 시민사회 쇠퇴론 = 327
3) 시민참여 불평등 = 329
4) 다수공익의 배제 = 331
참고문헌 = 333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