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NGO와 시민사회 : 이론, 모델, 정책

NGO와 시민사회 : 이론, 모델, 정책 (Loan 1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주성수
Corporate Author
한양대학교 . 제3섹터연구소.
Title Statement
NGO와 시민사회 : 이론, 모델, 정책 / 주성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부 ,   2004.  
Physical Medium
viii, 360 p. : 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ISBN
8972182443
General Note
색인: p. 355-36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33-354
000 00751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884807
005 20100806102401
007 ta
008 040617s2004 ulka AX 001a kor
020 ▼a 8972182443 ▼g 03330: ▼c \12000
035 ▼a KRIC0922429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88233 ▼l 111288234
082 0 4 ▼a 303.484 ▼2 21
090 ▼a 303.484 ▼b 2004f
100 1 ▼a 주성수 ▼0 AUTH(211009)126664
245 1 0 ▼a NGO와 시민사회 : ▼b 이론, 모델, 정책 / ▼d 주성수 지음.
260 ▼a 서울 : ▼b 한양대학교 출판부 , ▼c 2004.
300 ▼a viii, 360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500 ▼z 색인: p. 355-360
504 ▼a 참고문헌: p. 333-354
710 ▼a 한양대학교 . ▼b 제3섹터연구소.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11288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410357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511851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5118511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11288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4103570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511851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3.484 2004f Accession No. 15118511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주성수(지은이)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1989~2019)로 재직한 이후 지금은 명예교수로,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 편집위원장으로 있다. 시민사회에서는 1992년 경실련 사회복지위원회와 강동송파 경실련 공동대표, 1995년 한국자원봉사포럼 총무,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전문위원, 1998년 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기획위원, 1999년 KOPION 자문위원, 2007년 아시안프렌즈 이사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13년에는 서울시NPO지원센터 운영위원장, 2018년 국무총리실 시민사회발전위원회 법제도 분과위원장으로 일했다. 대학에서는 1997년 제3섹터연구소를 창설해 1차(2004~2006)와 2차(2008~2010)에 걸쳐 글로벌 시민사회연대 네트워크 CIVICUS의 48개국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조사분석에 한국 대표로 연구활동을 진행했다. 주요 저서로 『기업시민정신과 NGO』(2003),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2005), 『아래로부터의 시민사회』(2008),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임팩트』(2017), 『사회적경제: 이론, 제도, 정책』(2010, 2019 개정), 『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2019), 『글로벌 개발 임팩트 투자』(2020), 『사회적 가치 임팩트 투자』(2020), 『공공정책의 사회적 임팩트』(2022)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NGO와 시민사회』를 내면서 = Ⅴ
Ⅰ.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1. 시민사회의 다원적 의미 = 11
  1) 시민사회의 역사적 의미 = 12
  2) 시민사회의 현대적 의미 = 15
  3) 시민사회 용어들의 혼용 = 17
  4) 이 책의 시민사회 탐구 = 18
 2. 시민사회의 이론적 논의 = 19
  1) 다원주의와 사회운동 = 20
  2) 이론적 논의의 다양성 = 25
  3) 역사제도주의 이론 = 30
  4) 시민사회 연구접근법 = 32
 3. 시민사회의 이념적 시각 = 38
  1) 헤프너-재노스키의 분류 = 39
  2) 월저-디킨의 분류 = 40
  3) 하이든-반틸의 분류 = 42
  4) 에드워즈-폴리의 분류 = 44
 4. 시민사회의 다양한 얼굴 = 47
  1) 정치적 얼굴 = 48
  2) 문화적 얼굴 = 52
  3) 경제적 얼굴 = 54
Ⅱ. 시민사회와 NGO
 1. NGO란 무엇인가 = 59
  1)NGO의 역사적 발전 = 60
  2) NGO, NPO, VO, CSO = 66
  3) 시민사회 결사체 용어들 = 73
  4) 시민사회 결사체 유형 = 75
  5) 용어들의 국제적 통용 = 77
 2. 시민사회(NGO)의 정당성 = 83
  1) 법률적 정당성 = 83
  2) 정치적 정당성 = 84
  3) 사회적 정당성 = 85
  4) 경제적 정당성 = 86
 3. 시민사회(NGO)의 특성 = 87
  1) 크래머 등의 6대 특징 = 88
  2) 브래튼의 구성적 특성 = 88
  3) 샐러먼의 구조기능적 특성 = 89
  4) 로만의 역동적 특성 = 90
  5) NGO의 특성 논의 = 91
 4. 시민사회(NGO)의 기능 = 97
  1) 사회 공론의 장 = 98
  2) 국가·시장 견제 = 99
  3) 사회문제 해결 = 100
  4) 사회자본 생산 = 100
  5) 사회적 서비스 기능 = 101
 5. 시민사회(NGO)의 유형 = 102
  1) 세계은행의 CSO 분류 = 103
  2) EU의 사회경제 분류 = 104
  3) 국제NPO분류(ICNPO) = 105
  4) 영국의 자선섹터 분류 = 108
  5) 미국 세법의 NPO 분류 = 109
  6) 한국의 NGO/NPO 분류 = 110
Ⅲ. 시민사회와 제3섹터
 1. 국가, 시장, 시민사회 = 115
  1) 제3섹터로서의 시민사회 = 116
  2) 3대 섹터 메카니즘 비교 = 119
 2. 3대 섹터 모델 = 122
  1) 페스토프의 삼각관계 모델 = 122
  2) 빌리스 등의 수요공급 모델 = 123
 3. 4대 섹터 모델 = 126
  1) 빌리스의 4대 섹터 모델 = 126
  2) 바우어의 다양다색 모델 = 127
  3) 반 틸의 4대 섹터 모델 = 128
  4) 재노스키의 4대 섹터 모델 = 129
 4. 5대 섹터 모델 = 130
  1) 오커넬의 5대 섹터 모델 = 131
  2) 디킨의 5대 섹터 모델 = 136
  3) 코헨과 아라토의 5대 섹터 모델 = 137
  4) 워렌의 사회관계 모델 = 138
Ⅳ. 시민사회와 국가(정부)
 1.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 = 141
  1) 국가로부터의 독립영역 = 142
  2) 개인과 국가의 중개조직 = 144
 2. 정부와 NGO 관계 모델 = 148
  1) 보스웰의 7대 관계 유형 = 148
  2) 기드론 등의 4대 관계 유형 = 150
  3) 코스튼의 8대 관계 유형 = 152
  4) 제도적 다원주의 수용 = 153
 3. 공공정책과 시민사회 = 160
  1) 공급시각 : 공공정책의 확대 = 160
  2) 수요시각 : NGO 역량 증대 = 165
 4. NGO의 정책 영향력 = 167
  1) 정책 가버넌스 참여 = 168
  2) 정치적 기회 구조 = 169
  3) NGO의 운동 역량 = 172
  4) 법률적 기회와 NGO = 173
  5) NGO의 법률적 전략 = 177
Ⅴ. 시민사회와 시장(기업)
 1. 시장-시민사회 관계 = 182
  1) 시장에 대한 견제세력 = 182
  2) 신자유주의와 기업의 특권 = 185
  3) 신자유주의와 가버넌스 모델 = 190
 2.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 192
  1) 기업과 NGO 관계 = 193
  2) 기업시민정신의 의미 = 196
  3) 기업시민정신의 배경 = 198
  4) 기업시민정신의 원칙 = 200
 3. 사회발전 파트너십 전략 = 201
  1) 지역사회 이해당사자 모델 = 202
  2) 사회발전 파트너십 = 203
Ⅵ. 시민사회와 가버넌스
 1. 가버넌스와 시민사회 = 210
  1) 가버넌스란 무엇인가 = 210
  2) 세계화, 민주화, 분권화 = 211
  3) 국가 가버넌스의 분산 = 215
  4) 가버넌스와 시민사회 = 218
 2. 공공정책과 가버넌스 = 219
  1) 가버넌스 파트너 역할 = 220
  2) 개발 가버넌스 역할 = 221
  3) 정부의 책무성과 투명성 제고 = 222
  4) 정책과정에 대한 기여 = 225
  5) 정책집행과 공공서비스 제공 = 228
 3. NGO 역할의 조건과 한계 = 231
  1) 정책 파트너 역할의 조건 = 231
  2) NGO의 투명성과 책무성 = 233
  3) NGO의 한계와 정부의 역할 = 236
  4) 변혁의 주도 역할 과제 = 238
Ⅶ.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1. 글로벌 NGO 혁명 = 241
  1) '신자유주의 합의'의 실패 = 242
  2) 글로벌 NGO 혁명 = 244
  3) 시민과 시민사회의 등장 = 246
  4) 개발 패러다임의 이동 = 250
 2. 글로벌 가버넌스와 NGO = 253
  1) 세계화와 글로벌 가버넌스 = 254
  2) 세계화에 대한 NGO의 도전 = 257
  3) 초국적기업과 NGO 관계 = 264
  4) 글로벌 협약(Global Compact) = 269
 3. UN과 글로벌 NGO = 272
  1) 역사적 발전 배경 = 273
  2) 글로벌 NGO의 등장 = 276
  3) UN과 NGO의 관계 = 283
  4) UN-NGO 관계의 제도화 = 287
 4.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 = 289
  1) 글로벌 시민사회의 발전 = 290
  2) 글로벌 NGO의 역할 = 292
  3) 글로벌 NGO 활동의 한계 = 294
  4) 글로벌 시민사회의 한계 = 298
Ⅷ. 시민사회와 유토피아 : NGO 활동의 쟁점들
 1. 참여민주주의의 도전 = 302
  1)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 302
  2) 참여민주주의와 NGO = 306
  3)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 309
 2. 권익주창과 정치화 = 311
  1) NGO의 정치참여 논쟁 = 312
  2) NGO의 권익주창 활동 = 313
  3) 권익주창의 과두화 = 315
 3. 재정자립과 상업화 = 317
  1) 자원섹터 실패론 = 317
  2) 정부용역 경계론 = 319
  3) 사적 민주주의론 = 320
  4) 시민참여 부재론 = 322
 4. 시민없는 시민운동 = 325
  1) 시민의 간접참여 = 325
  2) 시민사회 쇠퇴론 = 327
  3) 시민참여 불평등 = 329
  4) 다수공익의 배제 = 331
참고문헌 = 333
찾아보기 = 35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이규연 (2023)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2023)
박보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