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감학 : 어제와 오늘

공감학 : 어제와 오늘 (10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성희, 1957-
서명 / 저자사항
공감학 : 어제와 오늘 / 박성희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04  
형태사항
462 p. ; 25 cm
ISBN
8975489841
서지주기
참고문헌(p. 413-447)과 색인수록
000 00603namcc2200217 c 4500
001 000000884775
005 20120207114403
007 ta
008 040617s2004 ulk b 001c kor
020 ▼a 897548984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89048 ▼l 111289049
082 0 4 ▼a 152.41 ▼2 22
085 ▼a 152.41 ▼2 DDCK
090 ▼a 152.41 ▼b 2004b
100 1 ▼a 박성희, ▼d 1957- ▼0 AUTH(211009)143652
245 1 0 ▼a 공감학 : ▼b 어제와 오늘 / ▼d 박성희 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04
300 ▼a 462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13-447)과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11289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1128904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51213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512135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112890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1128904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51213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청구기호 152.41 2004b 등록번호 1512135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성희(지은이)

서울대학교 교육학과(학사, 석사, 박사)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상담실 책임연구원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상담학과 객원교수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상담학과(ECPS) 객원교수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 교수 *저서 공감(이너북스, 2009) 현명한 아버지가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가야북스, 2008) 마시멜로 이야기에 열광하는 불행한 영혼들을 위하여(이너북스, 2008) 한국 문화와 상담(공저, 학지사, 2008) 고전에서 상담 지식 추출하기(학지사, 2008) 황희처럼 듣고 서희처럼 말하라(이너북스, 2007) 동화로 열어가는 상담이야기(학지사, 2007)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공감의 개념
 제1장 공감이란 무엇인가 = 17
  1. 공감 개념의 발달 = 17
  2. 공감의 정의 = 22
  3. 공감의 기원과 발달 = 33
   1) 정신분석학과 신분석이론 = 33
   2) 사회-인지론 = 34
   3) 사회정서적 발달론 = 35
  4. 공감과 유사 개념들 = 36
   1) 공감과 동정 = 36
   2) 공감과 투사 = 44
   3) 공감과 동일시 = 45
 제2장 공감의 구성 요소 = 47
  1. 인지적 요소 = 48
  2. 정서적 요소 = 52
  3. 의사소통적 요소 = 57
  4. 복합요소설(단계설) = 62
제2부 공감과 유관 변인의 관계
 제3장 공감과 이타행동 = 71
  1. 공감 - 이타주의 가설 = 71
  2. 공감과 개인적 고통 = 73
  3. 공감과 이타행동의 관계 = 76
   1) 이기주의적 설명 = 76
   2) 이타주의적 설명 = 79
  4. 실험연구 = 82
   1) 가설과 실험설계 = 83
   2) 연구 결과 = 86
 제4장 공감과 친사회행동 = 95
  1. 공감의 구성 요소 = 98
   1) 인지적 요소 = 99
   2) 정서적 요소 = 99
  2. 친사회행동 = 100
  3. 공감의 구성 요소와 친사회행동의 관계 = 101
   1) 선행연구 개관 = 102
   2) 관계모형 = 108
  4. 실증연구 = 109
   1) 연구 문제 및 연구 결과 = 109
   2) 종합 논의 = 119
 제5장 공감과 기타 변인의 관계 = 131
  1. 공감과 성 = 131
   1) 그림/이야기방법 = 132
   2) 질문지법 = 132
   3) 비언어적 측정방법 = 133
   4) 생리적 측정방법 = 134
   5) 타인의 보고나 평정을 이용한 방법 = 134
  2. 공감과 연령 = 136
   1) 그림/이야기방법 = 136
   2) 질문지법 = 137
   3) 비언어적 측정방법 = 138
   4) 생리적 측정방법 = 138
   5) 타인의 보고나 평정을 이용한 방법 = 139
  3. 공감과 대인관계변인 = 140
   1) 공감과 설득/동의 획득 = 140
   2) 공감과 타인에 대한 의사결정 = 141
   3) 공감과 귀인/인상 형성 = 141
   4) 공감과 관계 구축 = 142
   5) 공감과 확인/지원적인 의사소통 = 144
  4. 공감과 인지적인 특성 = 144
   1) 공감과 여러 가지 인지적인 특성의 관계 = 144
   2) 조력자의 공감과 인지적 특성의 관계 = 147
  5. 공감과 행동적 특징 = 149
제3부 공감과 상담
 제6장 상담에서 공감의 의미 = 155
  1. 공감의 의미 = 156
   1) 이해의 차원 = 156
   2) 체험의 차원 = 158
   3) 행동의 차원 = 160
   4) 관계의 차원 = 161
  2. 공감의 특성, 기능, 효과 및 상담자의 역할 = 162
   1) 투사공감 = 162
   2) 자아대상공감 = 165
   3) 태도로서의 공감 = 167
   4) 체험공감 = 170
   5) 이중공감 = 174
   6) 연합공감 = 178
   7) 관계공감 = 181
 제7장 공감적 이해의 전개 = 185
  1. 공감적 이해의 의미 = 185
   1) 달과 공주 = 186
   2) 남자와 파리 = 188
   3) 공주의 장신구 = 193
  2. 공감적 이해력 향상 전략 = 199
   1) 핵심 용어와 낱말의 이해 = 199
   2) 고유 논리의 이해 = 200
   3) 습관언어의 이해 = 202
   4) 감각언어통로의 이해 = 203
   5) 주의집중행동을 통한 이해 = 204
   6) 상상을 통한 이해 = 209
 제8장 공감적 보살핌의 실조 = 213
  1. 모성실조와 공감적 보살핌 = 213
  2. 부모의 공감적 보살핌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16
  3. 공감적 보살핌의 실조가 미치는 영향 = 220
   1) 유아기 = 220
   2) 사춘기 및 청년기 = 226
  4. 공감적 보살핌의 실조의 가역성 = 231
제4부 공감 연구 방법
 제9장 공감 연구법 = 235
  1. 공감과 상담효과 = 235
  2. 공감에 관한 기존 연구의 문제 = 240
   1) 평정의 관점 = 241
   2) 녹음테이프의 사용 = 241
   3) 평정자의 훈련 정도 = 241
   4) 평정자의 성이 주는 영향 = 241
   5) 시간표집 = 242
  3. 새로운 공감 연구 방법론 = 245
   1) 순환적 공감모형 = 246
   2) 다차원적 공감모형 = 248
   3) 경험적 공감모형 = 250
   4) 의미의 과학모형 = 253
 제10장 공감의 측정 = 257
  1. 그림/이야기방법 = 259
   1) 그림/이야기방법의 특성과 장단점 = 259
   2) 척도 예 = 261
  2. 질문지법 = 264
   1) 질문지법의 특성과 장단점 = 264
   2) 척도 예 = 265
  3. 생체학적인 방법 = 281
   1) 생체학적인 방법의 특성과 장단점 = 281
   2) 척도 예 = 283
제5부 공감의 교육
 제11장 공감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 289
  1. 요소별 공감훈련 = 295
   1) 준비훈련 = 295
   2) 지각요소의 훈련 = 296
   3) 정서적 공명요소 훈련 = 297
   4) 인지요소 훈련 = 298
   5) 의사소통요소 훈련 = 300
   6) 전이와 유지를 위한 훈련 = 300
  2. 의사소통기능에 따른 공감훈련 = 301
   1) 교수적 - 체험적 훈련 = 301
   2) 대인관계 생활실험실 = 306
   3) 심리기능의 훈련 = 323
   4) 프로그램화된 자기지도 = 328
 제12장 공감교육의 최근 동향 = 337
  1. 공감교육의 내용 = 338
   1) 공감의 구성 요소 = 339
   2) 공감의 성격 = 341
  2. 공감교육의 방법 = 342
  3. 공감교육의 대상 = 344
  4. 학교 수업과 공감 = 346
  5. 공감교육의 변화와 전망 = 348
제6부 공감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353
 1. 논문의 증가 추세 = 355
 2. 공감을 탐구한 분야들 = 356
 3. 공감의 정의 = 357
 4. 공감과 관련하여 탐구된 변인들 = 359
 5. 공감 측정척도 = 361
  1) 데이비스의 IRI 척도 = 362
  2) 메흐라비안과 엡스타인, 브라이언트의 정서공감척도 = 363
  3) 발렛-레너드의 순환공감척도 = 364
  4) 카크허프의 공감적 반응척도 = 365
  5) 기타 척도들 = 366
 6. 연구 결과 = 367
  1) 공감의 속성을 탐구한 연구 결과 = 368
  2) 상담/심리치료와 관련된 연구 결과 = 377
  3) 교육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84
  4) 도덕적 행동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87
  5) 대인관계와 관련된 연구 결과 = 391
  6) 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92
  7) 성, 연령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94
  8) 특정 집단의 공감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 결과 = 397
  9) 기타 결과 = 397
 7. 공감교육·훈련프로그램 = 399
 8. 제언 = 405
  1) 1980년대 논문들의 제언 = 405
  2) 1990년대 논문들의 제언 = 405
  3) 2000년대 논문들의 제언 = 407
 9. 맺음말 = 410
참고문헌 = 413
찾아보기 = 449


관련분야 신착자료

양옥경 (2022)
Ackerman, Diane (2023)
차미혜 (2022)
Haibach-Beach, Pamela S. (2024)
Goldstein, E. Bru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