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공감의 개념
제1장 공감이란 무엇인가 = 17
1. 공감 개념의 발달 = 17
2. 공감의 정의 = 22
3. 공감의 기원과 발달 = 33
1) 정신분석학과 신분석이론 = 33
2) 사회-인지론 = 34
3) 사회정서적 발달론 = 35
4. 공감과 유사 개념들 = 36
1) 공감과 동정 = 36
2) 공감과 투사 = 44
3) 공감과 동일시 = 45
제2장 공감의 구성 요소 = 47
1. 인지적 요소 = 48
2. 정서적 요소 = 52
3. 의사소통적 요소 = 57
4. 복합요소설(단계설) = 62
제2부 공감과 유관 변인의 관계
제3장 공감과 이타행동 = 71
1. 공감 - 이타주의 가설 = 71
2. 공감과 개인적 고통 = 73
3. 공감과 이타행동의 관계 = 76
1) 이기주의적 설명 = 76
2) 이타주의적 설명 = 79
4. 실험연구 = 82
1) 가설과 실험설계 = 83
2) 연구 결과 = 86
제4장 공감과 친사회행동 = 95
1. 공감의 구성 요소 = 98
1) 인지적 요소 = 99
2) 정서적 요소 = 99
2. 친사회행동 = 100
3. 공감의 구성 요소와 친사회행동의 관계 = 101
1) 선행연구 개관 = 102
2) 관계모형 = 108
4. 실증연구 = 109
1) 연구 문제 및 연구 결과 = 109
2) 종합 논의 = 119
제5장 공감과 기타 변인의 관계 = 131
1. 공감과 성 = 131
1) 그림/이야기방법 = 132
2) 질문지법 = 132
3) 비언어적 측정방법 = 133
4) 생리적 측정방법 = 134
5) 타인의 보고나 평정을 이용한 방법 = 134
2. 공감과 연령 = 136
1) 그림/이야기방법 = 136
2) 질문지법 = 137
3) 비언어적 측정방법 = 138
4) 생리적 측정방법 = 138
5) 타인의 보고나 평정을 이용한 방법 = 139
3. 공감과 대인관계변인 = 140
1) 공감과 설득/동의 획득 = 140
2) 공감과 타인에 대한 의사결정 = 141
3) 공감과 귀인/인상 형성 = 141
4) 공감과 관계 구축 = 142
5) 공감과 확인/지원적인 의사소통 = 144
4. 공감과 인지적인 특성 = 144
1) 공감과 여러 가지 인지적인 특성의 관계 = 144
2) 조력자의 공감과 인지적 특성의 관계 = 147
5. 공감과 행동적 특징 = 149
제3부 공감과 상담
제6장 상담에서 공감의 의미 = 155
1. 공감의 의미 = 156
1) 이해의 차원 = 156
2) 체험의 차원 = 158
3) 행동의 차원 = 160
4) 관계의 차원 = 161
2. 공감의 특성, 기능, 효과 및 상담자의 역할 = 162
1) 투사공감 = 162
2) 자아대상공감 = 165
3) 태도로서의 공감 = 167
4) 체험공감 = 170
5) 이중공감 = 174
6) 연합공감 = 178
7) 관계공감 = 181
제7장 공감적 이해의 전개 = 185
1. 공감적 이해의 의미 = 185
1) 달과 공주 = 186
2) 남자와 파리 = 188
3) 공주의 장신구 = 193
2. 공감적 이해력 향상 전략 = 199
1) 핵심 용어와 낱말의 이해 = 199
2) 고유 논리의 이해 = 200
3) 습관언어의 이해 = 202
4) 감각언어통로의 이해 = 203
5) 주의집중행동을 통한 이해 = 204
6) 상상을 통한 이해 = 209
제8장 공감적 보살핌의 실조 = 213
1. 모성실조와 공감적 보살핌 = 213
2. 부모의 공감적 보살핌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16
3. 공감적 보살핌의 실조가 미치는 영향 = 220
1) 유아기 = 220
2) 사춘기 및 청년기 = 226
4. 공감적 보살핌의 실조의 가역성 = 231
제4부 공감 연구 방법
제9장 공감 연구법 = 235
1. 공감과 상담효과 = 235
2. 공감에 관한 기존 연구의 문제 = 240
1) 평정의 관점 = 241
2) 녹음테이프의 사용 = 241
3) 평정자의 훈련 정도 = 241
4) 평정자의 성이 주는 영향 = 241
5) 시간표집 = 242
3. 새로운 공감 연구 방법론 = 245
1) 순환적 공감모형 = 246
2) 다차원적 공감모형 = 248
3) 경험적 공감모형 = 250
4) 의미의 과학모형 = 253
제10장 공감의 측정 = 257
1. 그림/이야기방법 = 259
1) 그림/이야기방법의 특성과 장단점 = 259
2) 척도 예 = 261
2. 질문지법 = 264
1) 질문지법의 특성과 장단점 = 264
2) 척도 예 = 265
3. 생체학적인 방법 = 281
1) 생체학적인 방법의 특성과 장단점 = 281
2) 척도 예 = 283
제5부 공감의 교육
제11장 공감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 289
1. 요소별 공감훈련 = 295
1) 준비훈련 = 295
2) 지각요소의 훈련 = 296
3) 정서적 공명요소 훈련 = 297
4) 인지요소 훈련 = 298
5) 의사소통요소 훈련 = 300
6) 전이와 유지를 위한 훈련 = 300
2. 의사소통기능에 따른 공감훈련 = 301
1) 교수적 - 체험적 훈련 = 301
2) 대인관계 생활실험실 = 306
3) 심리기능의 훈련 = 323
4) 프로그램화된 자기지도 = 328
제12장 공감교육의 최근 동향 = 337
1. 공감교육의 내용 = 338
1) 공감의 구성 요소 = 339
2) 공감의 성격 = 341
2. 공감교육의 방법 = 342
3. 공감교육의 대상 = 344
4. 학교 수업과 공감 = 346
5. 공감교육의 변화와 전망 = 348
제6부 공감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353
1. 논문의 증가 추세 = 355
2. 공감을 탐구한 분야들 = 356
3. 공감의 정의 = 357
4. 공감과 관련하여 탐구된 변인들 = 359
5. 공감 측정척도 = 361
1) 데이비스의 IRI 척도 = 362
2) 메흐라비안과 엡스타인, 브라이언트의 정서공감척도 = 363
3) 발렛-레너드의 순환공감척도 = 364
4) 카크허프의 공감적 반응척도 = 365
5) 기타 척도들 = 366
6. 연구 결과 = 367
1) 공감의 속성을 탐구한 연구 결과 = 368
2) 상담/심리치료와 관련된 연구 결과 = 377
3) 교육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84
4) 도덕적 행동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87
5) 대인관계와 관련된 연구 결과 = 391
6) 심리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92
7) 성, 연령과 관련된 연구 결과 = 394
8) 특정 집단의 공감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 결과 = 397
9) 기타 결과 = 397
7. 공감교육·훈련프로그램 = 399
8. 제언 = 405
1) 1980년대 논문들의 제언 = 405
2) 1990년대 논문들의 제언 = 405
3) 2000년대 논문들의 제언 = 407
9. 맺음말 = 410
참고문헌 = 413
찾아보기 =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