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03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00884199 | |
005 | 20100806101156 | |
007 | ta | |
008 | 040531s2004 ulk 001a kor | |
020 | ▼a 8981441324 ▼g 03900: ▼c \25000 | |
035 | ▼a KRIC09337839 | |
040 | ▼a 211019 ▼d 211009 ▼d 211010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21.094 ▼2 21 |
090 | ▼a 321.094 ▼b 2004 | |
100 | 1 | ▼a Wende, Peter , ▼d 1936- |
245 | 1 0 | ▼a 혁명의 역사 / ▼d 페터 벤데 엮음 ; ▼e 권세훈 옮김. |
246 | 1 9 | ▼a Grosse Revolutionen der Geschichte : von der Fru@hzeit bis zur Gegenwart. |
260 | ▼a 서울 : ▼b 시아출판사 , ▼c 2004. | |
300 | ▼a 527 p. ; ▼c 25 cm. | |
440 | 0 0 | ▼a 뤼마니떼 총서 ; ▼v 2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부록 : 출전. 저자 약력 [외]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505 | |
504 | ▼a 서지적 각주 수록 | |
534 | ▼p 원본출판사항: ▼c Munchen : C.H. Beck, c2000 . ▼z 3406467032 (alk. paper) | |
650 | 0 | ▼a Revolutions ▼x history |
700 | 1 | ▼a 권세훈 , ▼d 1958- , ▼e 역 ▼0 AUTH(211009)90827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094 2004 | Accession No. 11128962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1.094 2004 | Accession No. 1410361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에크하르트 헬무트(지은이)
2004년 현재 뮌헨대학교 근대사 교수이다. 런던의 독일역사연구소에서 활동했고, 크리스트 처치칼리지의 파울러해밀턴 특별 연구원을 거쳤다. 지은 책으로는 <민족주의 앞의 민주주의?>와 <언론자유: 근대 초기 영국의 역사>가 있다.
헤르만 벨렌로이터(지은이)
2004년 현재 괴팅엔대학교 중세 및 근대사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하엘 바그너(지은이)
역사학 및 영문학을 수학하고 2004년 현재 기센대학교 교수로 있다.
악셀 쾨르너(지은이)
1967년 태어나 본, 베를린, 리용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음악학을 수학했다. 2004년 현재 런던대학교 교수로 있다.
디터 하인(지은이)
1951년 태어나 2004년 현재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근대사를 가르치고 있다.
베아트리스 부비에(지은이)
2004년 현재 다름수타트 공과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브라운슈바이크-본 협회 소속의 사회사연구소 연구원이다. 19세기와 20세기의 독일 및 프랑스 역사 연구를 위한 '독일-프랑스 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있다.
디트리히 바이라우(지은이)
1942년 동프로이센의 하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1994년 이래로 튀빙엔대학교 동유럽 역시 및 지역학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핵심 연구분야는 18-19세기 러시아 역사와 19-20세기 폴란드 역사이다.
마이클 손힐(지은이)
<국내 전기신사전> 연구위원 및 2004년 현재 옥스퍼드대학교 근대사학과 교수로 있다.
클라우스 쉔호벤(지은이)
1942년 태어나 뷔르츠부르크와 뮌헨대학교에서 역사학, 정치학, 독문학을 공부헸다. 1984년 이후 2004년 현재까지 만하임대학교 정치학 및 시대사 교수를 맡고 있다.
호르스트 피취만(지은이)
1940년 브레만에서 태어나서 1985년 이후 2004년 현재까지 함부르크대학교 라틴아메리카 역사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토마스 헤베러(지은이)
1947년 오펜바흐에서 태어나 브레멘대학교 중국학과 경제학 교수, 트리어대학교 동아시아 정치학교수를 역임했다. 2004년 현재 두이스브르크대학교 동아시아 정치학교수 및 동아시아학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파울 루프트(지은이)
2004년 현재 중동센터 수석 강사 및 영국 더햄대학교에서 이슬람 역사 연구를 하고 있다.
페터 벤데(엮은이)
1936년 독일에서 태어나 1972년부터 1994년까지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의 근대사 교수로 재직하였다. 1994년 이래로 런던의 독일역사연구소를 이끌고 있다.
권세훈(옮긴이)
고려대학교 독문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사를 거쳐, 주독일 한국문화원장을 역임했다. 옮긴 책으로 『릴케 단편집』, 『영혼의 수레바퀴』, 논문으로는 「테오도르 레싱과 신화로서의 역사」,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간구조」, 「카프카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서문 : 혁명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 5 1. 영국 혁명(1640∼1660년) / 페터 벤데(Peter Wende) = 22 찰스 1세와 의회·신교도 간의 갈등과 대립 = 26 혁명의 1단계 : 의회 권력의 공세 = 31 혁명의 2단계 : 내전 끝에 의회 승리 = 35 혁명의 3단계 : 찰스 1세 처형과 공화제 수립 = 37 지배 계급 내부 권력 투쟁의 한계 = 41 영국 혁명이 '청교도혁명'이라 불리는 이유 = 43 2. 명예혁명(1688∼1689년) / 에크하르트 헬무트(Eckhart Hellmuth) = 48 왕위 계승 배제 위기 = 53 명예혁명의 '뜨거운' 단계 = 58 권리선언 승인 = 63 대외 파급 효과 = 69 완고한 종교 체제와 결별 = 71 3. 미국 혁명(1763∼1787년) / 헤르만 벨렌로이터(Hermann Wellenreuther) = 76 영국 국왕과 결별 선언 = 80 미국 혁명의 급진성과 보수성 = 94 정체성 규정 = 100 4. 프랑스 혁명(1789∼1799년) / 미하엘 바그너(Michael Wagner) = 104 혁명의 정치적 발전 과정 = 108 혁명의 위기 = 118 5. 1830년 7월 혁명 : 프랑스와 유럽 / 악셀 쾨르너(Axel K o ·· rner) = 126 민족 해방 투쟁과 프랑스 = 129 유럽의 사회·정치적 불안정 시기 = 133 파리와 지방 도시에서 일어난 혁명 = 137 유럽에서 일어난 혁명 = 142 사회·정치적 운동의 역사에서 단절의 의미를 지닌 1830년 = 152 6. 독일 혁명(1848∼1849년) / 디터 하인(Dieter Hein) = 156 3월 혁명 = 160 혁명과 급진주의 = 164 혁명의 원동력 = 168 국가와 혁명 = 170 입헌 혁명 = 173 반혁명의 승리 = 176 혁명의 성공과 좌절 = 178 7. 파리 코뮌(1871년) / 베아트리스 부비에(Beatrix Bouvier) = 180 티에르 정부에 대한 공화파의 봉기 = 185 파리 코뮌을 보는 두 시각 : 혁명인가 반란인가 = 192 8. 볼셰비키 혁명(1917∼1921년) / 디트리히 바이라우(Dietrich Beyrau) = 200 인민 혁명에서 나타난 볼셰비키의 전술과 전략 = 203 민주주의 독재 = 209 배급 경제와 조직 권력 = 214 유럽과의 연관 관계와 볼셰비즘의 보편적 호소력 = 219 9. 독일 혁명(1918∼1919년) / 클라우스 쉔호벤(Klaus Sch o ·· nhoven) = 224 혁명 이전의 개헌 = 231 잇달은 반란 = 234 유혈 혁명으로 격화 = 238 독일 혁명의 한계 = 242 10. 멕시코 혁명(1910∼1940년) / 호르스트 피취만(Horst Pietschmann) = 246 역사학적 문제이자 '매혹적인 사건' = 249 포르피리오 시대(1876∼1910년) = 252 혁명의 군사적 국면(1910∼20년) = 258 권력을 통한 혁명(1920∼40년) = 266 11. 중국 혁명(19세기 후반∼1957년) / 위르겐 오스터하멜(J u ·· rgen Osterhammel) = 272 '총체적' 혁명의 모범 사례 = 275 태평천국 운동에서 시작된 '혁명의 물결' = 279 중국 공산당의 혁명 전략 = 288 '인민의 바다'에서 이루어진 중국 혁명 = 291 12. 이집트 혁명(1952∼1962년) / 마이클 손힐(Michael Thornhill) = 294 영국의 점령 정책 = 298 혁명의 배경 = 302 비밀 조직 '자유장교단' 결성 = 308 혁명 배후 인물 나세르의 전면 등장 = 311 혁명의 대외적 영향 = 315 13. 쿠바 혁명(1958∼1959년) / 나콜라우스 베르츠(Nikolaus Werz) = 318 1953년의 몬카다 병영 습격 = 323 그란마 원정과 시에라 마에스트라의 파르티잔 투쟁 = 327 혁명군 총공세와 바티스타의 도주 = 330 쿠바 혁명의 영향 = 332 14. 문화대혁명(1966∼1976년) 현대 중국의 정신적 외상 / 토머스 헤베러(Thomas Heberer) = 338 정치 문화와 '문화혁명' = 344 역사적 출발점 = 345 다섯 갈래의 기초적 원인들 = 347 문화혁명의 전개 과정 = 351 문화혁명의 부정적 여파 = 361 마오쩌둥의 역할과 구상 = 363 혁명에서 개혁으로 = 366 15. 68혁명 / 아서 마윅(Arthur Marwick) = 370 미국, 서독,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학생 운동 = 374 전쟁터가 된 5월의 파리 = 378 파리 학생 봉기의 여파 = 384 문화적 혁명으로 본 68혁명 = 392 16. 이슬람 혁명(1979년) / 파울 루프트(J. Paul Luft) = 398 '백색혁명'의 문제점 = 401 이란의 서구화에 맞선 호메이니 = 406 경제 불황에 이은 정치적 혼란 = 416 국왕의 몰락과 이슬람 공화국의 등장 = 423 17. 동독의 89혁명 / 하르트무트 츠바르(Hartmut Zwahr) = 430 혁명의 '전환점' = 433 혁명으로 인한 구조 붕괴 = 434 대중 동원과 대중 행동 = 436 '독일은 하나된 조국이다!' = 444 평화적 혁명과 독일 통일 = 447 부록 = 453 출전 = 454 저자 약력 = 467 해제 : 근대 세계와 혁명 / 김동택 = 475 옮긴이의 말 : 혁명과 인간의 삶 - 모든 혁명은 현재진행형이다 = 509 인명 찾아보기 = 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