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9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883702 | |
005 | 20100806100425 | |
007 | ta | |
008 | 040412s2004 ggka 001a dkor | |
020 | ▼a 8946032219 ▼g 93910 : ▼c \18000 | |
035 | ▼a KRIC09266894 | |
040 | ▼d 211048 ▼d 211009 ▼a 211048 ▼c 211048 | |
049 | 1 | ▼l 111288666 ▼l 111288667 |
082 | 0 4 | ▼a 953.060922 |
090 | ▼a 953.060922 ▼b 2004 | |
100 | 1 | ▼a 김용달 ▼0 AUTH(211009)53163 |
245 | 1 0 | ▼a 한국독립운동의 인물과 노선 = ▼x (The) characters and political lin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d 김용달 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c 2004. | |
300 | ▼a 290 p. : ▼b 삽도.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625 |
500 | ▼a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0922 2004 | 등록번호 1112886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0922 2004 | 등록번호 1112886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953.060922 2004 | 등록번호 1410357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용달(지은이)
경기도 성남에서 태어나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근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기념관 연구원과 국가보훈처 연구관, 명지대학교·단국대학교·호서대학교 강사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북악사학회 회장과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을 거쳐 2019년 현재는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 <한국독립운동사강의>(공저, 1998) <이봉창 의사와 한국독립운동>(공저, 2002) <일제의 농업정책과 조선농회>(2003) <한국독립운동의 인물과 노선>(2004) <사실로 본 한국근현대사>(공저, 2005) <3·1운동기 서대문형무소와 학생운동>(공저, 200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8?농민운동>(2009) <일왕 궁성을 겨눈 민족혼 김지섭>(2011) <살신성인의 길을 간 의열투쟁가 김지섭>(2017) <백범의 길, 조국의 산하를 걷다>(공저, 2018)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특파원」(1999) 「청산리대첩에 대한 임시정부의 대응」(2000) 「안창호와 박은식의 민족운동론」(2003) 「해공 신익희와 대한민국」(2010) 「안창호의 민족운동과 민족운동지도론」(2012) 「광복전후 좌우 독립운동세력의 국가건설론」(2013)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의열단과 의열투쟁의 의의」(2014)

목차
목차 책머리에 = 3 1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인물 1장 안창호와 임시정부 국내특파원 = 13 1. 머리말 = 13 2. 안창호 내무총장 시기 특파원 파견 = 15 3. 이동녕 내무총장 시기 특파원 파견 = 28 4. 특파원의 활동 = 35 5. 맺음말 = 44 2장 박은식과 안창호의 민족운동론 = 47 1. 머리말 = 47 2. 성장환경과 근대 민족의식의 형성 = 48 3. 계몽운동 시기 박은식과 안창호 = 53 4. 독립운동 시기 박은식과 안창호 = 59 5. 맺음말 = 75 3장 신익희의 생애와 민족운동 = 77 1. 머리말 = 77 2. 家學과 신학문 수학 = 78 3. 망명 전 국내에서의 활동 = 83 4. 망명 후 중국에서의 활동 = 86 5. 환국 후 민족교육운동 = 94 6. 맺음말 = 98 2부 무장투쟁, 의열투쟁과 인물 4장 양기하의 생애와 무장투쟁 = 103 1. 머리말 = 103 2. 초기 만주에서의 활동 = 104 3. 상해 임정에서의 활동 = 108 4. 후기 만주에서의 활동 = 114 5. 맺음말 = 120 5장 김지섭의 생애와 이중교 투탄 의거 = 123 1. 머리말 = 123 2. 출생과 성장 = 124 3. 중국망명과 의열단 활동 = 130 4. 이중교 투탄 의거 = 141 5. 법적투쟁과 옥중투쟁 = 151 6. 순국 = 155 7. 맺음말 = 158 부록 : 「二重橋 爆彈犯 金祉燮 獄中記」 = 160 6장 이봉창의 일왕 저격 의거와 반향 = 167 1. 머리말 = 167 2. 생장과 일왕 저격 의거 = 168 3. 한국의 반향 = 177 4. 중국의 반향 = 183 5. 일본의 반향 = 187 6. 맺음말 = 190 3부 사회주의 독립운동과 인물 7장 김응섭과 한족노동당 = 195 1. 머리말 = 195 2. 한족노동당의 조직 = 196 3. 한족노동당의 활동 = 211 4. 맺음말 = 219 8장 백용구와 불이서선농장 소작쟁의 = 223 1. 머리말 = 223 2. 불이서선농장 설립과 농업조건 = 225 3. 초기 쟁의와 소작조합 결성 = 230 4. 쟁의 확대와 용천소작조합 변천 = 235 5. 맺음말 = 247 보론 : 민족개량주의 논리 이광수의 「민족개조론」검토 = 251 1. 머리말 = 251 2. 「민족개조론」의 발표배경 = 253 3. 「민족개조론」의체제와 내용 = 262 4. 「민족개조론」의 식민주의적 성격 = 266 5. 「민족개조론」에 대한 반향과 그 영향 = 271 6. 맺음말 = 274 찾아보기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