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심리검사의 기초
제1장 심리검사의 개념과 분류 = 27
1. 심리검사의 개념 = 27
2. 심리검사의 역사 = 28
1) 지능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 = 28
[1] Galton의 연구 = 28
[2] Cattell의 연구 = 28
[3] Binet의 연구 = 29
2) 지능검사의 발달 = 30
[1] Standford-Binet 개인 지능검사 = 30
[2] Wechsler 개인 지능검사 = 33
[3] Army α Test - β Test = 33
[4] 적성검사의 발달 = 34
[5] 지능측정이론의 발달 = 35
3) 성격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 = 36
[1] 자기보고식 검사 = 36
[2] 투사법 = 38
[3] 태도 측정이론의 발달 = 46
3. 심리검사의 분류 = 47
1) 측정영역에 의한 분류 = 47
[1] 지능검사 = 47
[2] 학력검사 = 48
[3] 적성검사 = 48
[4] 성격검사 = 49
[5] 흥미검사 = 49
2) 측정방법에 의한 분류 = 50
[1] 기구에 의한 검사 = 50
[2] 종이와 연필에 의한 검사 = 50
3) 목적·용도에 의한 분류 = 50
제2장 심리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53
1. 바람직한 심리검사의 준거 = 53
2. 표준화 = 53
3. 신뢰도 = 54
1) 신뢰도의 개념 = 54
[1] 고전 진점수이론 = 54
[2] 고전 진점수이론으로부터 도출된 결론 = 55
[3] 신뢰도의 정의 = 56
2) 검사 - 재검사 신뢰도 = 57
[1] 개념 = 57
[2] 검정절차 = 57
3) 평행형검사 신뢰도 = 59
[1] 개념 = 59
[2] 검정절차 = 59
4) 반분신뢰도 = 59
[1] 개념 = 59
[2] Spearman-Brown 공식의 유도과정 = 60
[3] 검정절차 = 61
5) 내적 일관성 신뢰도 = 62
[1] 개념 = 62
[2] Cronbach α계수 = 62
[3] Kuder-Richardson의 신뢰도계수 = 64
[4] Hoyt의 신뢰도계수 = 65
6) 점수차의 신뢰도 = 67
[1] 개념 = 67
[2] 검정절차 = 68
7) 채점자 신뢰도 = 68
[1] 개념 = 68
[2] 검정절차 = 68
8)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69
4. 타당도 = 69
1) 타당도의 개념 = 69
[1] 고전적 진점수이론에 입각한 정의 = 69
[2] 해석적 정의 = 70
[3] 신뢰도와 타당도와의 관계 = 70
2) 내용타당도 = 70
[1] 개념 = 70
[2] 유형 및 검정절차 = 70
3) 준거관련 타당도 = 71
[1] 개념 = 71
[2] 예언타당도 계수 = 71
[3] 공인타당도 계수 = 72
4) 구인타당도 = 72
[1] 개념 = 72
[2] 검정절차 = 72
5) 요인타당도 = 73
[1] 개념 = 73
[2] 검정절차 = 73
6) 다특성·다방법타당도 = 74
[1] 개념 = 74
[2] 종류 = 74
[3] 검정방법 = 74
7) 교차타당도 = 75
[1] 개념 = 75
[2] 검정절차 = 77
8) 타당도계수의 표현과 해석법 = 76
[1] 상관계수법 = 76
[2] 결정계수법 = 76
[3] 신뢰구간법 = 76
[4] 이관계수법 = 77
[5] 축소화에 대한 교정법 = 77
[6] 최대의 타당도계수 = 78
[7] 검사의 길이와 타당도계수 = 78
9)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9
제3장 심리검사의 규준점수 = 80
1. 규준점수의 의미 = 80
1) 원점수의 특성 = 80
[1] 측정수준 = 80
[2] 원점수의 정의 = 82
2) 규준집단 = 83
2. 규준점수의 유형 = 84
1) 백분위 점수 = 84
[1] 백분위 점수의 의미 = 84
[2] 백분위 점수의 장단점 = 84
[3] 백분위 점수의 계산 = 85
[4] 원점수와 백분위 점수의 비교 = 87
2) 표준점수 = 88
[1] 표준점수의 의미 = 88
[2] 표준점수의 장단점 = 93
제4장 심리검사의 표준화 = 95
1. 표준화의 개념과 표준화 검사의 특징 = 95
1) 검사도구의 표준화 = 95
2) 절차의 표준화 = 96
3) 채점 및 해석의 표준화 = 96
2. 표준화 검사의 선택과 실시법 = 97
1) 선택의 기준 = 97
[1] 검사도구의 타당도 = 97
[2] 검사도구의 신뢰도 = 97
[3] 규준점수 = 97
[4] 검사실시의 용이성 = 98
[5] 채점의 용이성 = 98
[6] 기타 조건 = 98
2) 검사의 실시법 = 98
[1] 분위기 및 동기조성 = 98
[2] 지시의 정확화 = 98
[3] 실시시간 = 99
[4] 결과의 해석 = 99
[5] 검사지 처리 = 99
[6] 유의점 = 99
3) 표준화 검사의 활용 = 100
3. 표준화 검사의 제작과정과 방법 = 100
1) 검사 제작계획의 수립 = 100
[1] 검사목적의 확립 = 100
[2] 검사개요의 작성 = 100
[3] 문항작성을 위한 준비 = 101
2) 문항의 작성 = 102
[1] 문항 작성자에게 필요한 소양 = 102
[2] 검사내용 2원 분류표와 문항의 작성 = 102
[3] 문항의 형식 = 102
3) 예비검사의 실시와 그 통계적 처리 = 103
[1] 예비검사 실시의 중요성과 그 과제 = 103
[2] 예비실시 = 103
[3] 예비실시 결과에 대한 문항양호도 검증 = 104
4) 표준화검사의 편집 = 104
5) 표준화 실시와 규준의 작성 = 105
[1] 표집선택의 문제 = 105
[2] 표준화의 실시와 유의점 = 105
[3] 규준의 작성 = 106
6) 검사 액세서리의 작성 = 106
[1] 검사요강 = 106
[2] 채점판의 준비 = 107
제5장 심리검사상의 오차와 반응문제 = 108
1. 심리진단 검사상의 오차문제 = 108
1) 오차의 유형 = 108
[1] 해석적 오차 = 108
[2] 외인적 오차 = 108
[3] 검사자 오차 = 109
[4] 항상적 오차 = 109
2) 측정오차의 발생 요인 = 109
[1] 측정도구 요인 = 109
[2] 측정과정 요인 = 109
[3] 피검사자 요인 = 110
2. 피검사자의 반응특성 = 110
1) 허위반응 = 110
2) 반응경향 = 111
제2부 심리적 개인차 특성의 이론적 고찰
제6장 지능 = 115
1. 지능의 개념 = 115
1) Binet의 지능관 = 115
2) Wechsler의 지능관 = 116
3) 지능에 관한 정의의 유형 = 116
[1] 지능이란 추상적인 사고능력이다 = 116
[2] 지능이란 학습능력이다 = 117
[3] 지능은 적응력이다 = 117
[4] 지능은 총합적·전체적 능력이다 = 117
[5] 지능이란 지능검사에 의해서 측정된 것이다 = 117
2. 지능의 분류 = 118
1) Thorndike의 분류 = 118
[1] 추상적 지능 = 118
[2] 구체적 지능 = 118
[3] 사회적 지능 = 118
2) Viaud의 분류 = 118
[1] 실용적 지능 = 119
[2] 개념적·논리적 지능 = 119
3) Hebb의 분류 = 119
[1] 지능 A = 119
[2] 지능 B = 119
4) Jensen의 분류 = 120
[1] 수준Ⅰ의 지능 = 120
[2] 수준Ⅱ의 지능 = 120
5) Cattell의 분류 = 120
3. 지능의 구조 = 121
1) Spearman의 양요인설 = 121
2) Thurstone의 다요인설 = 122
3) Guilford 지능구조 입체모형설 = 124
[1] 내용 = 125
[2] 조작 = 125
[3] 소산 = 125
4) Vernon의 계층군 요인설 = 126
4. 지능의 발달 = 126
5. 지능과 제변인과의 관계 = 127
1) 지능과 학력과의 관계 = 127
[1] 지능과 학업 성적간의 상관 = 127
[2] 학력에 관계있는 지능 요인 = 128
2) 지능과 성격과의 관계 = 128
[1] 성격특성과 지능 = 128
[2] IQ상승자의 성격 = 128
3) 지능과 가정환경 = 128
[1]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지능 = 128
[2] 부모의 교육적 관심 및 훈련과 아동의 지능 = 129
4) 지능과 기타 변인과의 관계 = 129
[1] 지능과 성차 = 129
[2] 지능과 종족차 = 129
[3] 지능과 출생 순위차 = 130
[4] 지능과 지역차 = 130
[5] 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 130
6. 지능검사 결과의 해석상의 유의점 = 130
1) 인간이해의 보조수단 = 130
2) 지능검사의 신뢰도 문제 = 131
3) 지능검사의 타당도 문제 = 133
제7장 적성 = 134
1. 적성의 개념 = 134
1) 넓은 뜻의 개념 = 134
2) 좁은 뜻의 개념 = 135
[1] 적성과 지능 = 136
[2] 적성과 학력 = 137
2. 적성의 요인구조 = 138
제8장 창의성 = 143
1. 창의성의 개념 = 143
1) Getzels와 Jackson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 143
2) 창의성의 정의 = 144
3) 창의성의 구성요인 = 145
2. 창의성의 발달과 유형 = 146
1) 창의성의 발달 = 146
2) 창의성 검사와 지능검사간의 관계 = 147
3) 창의성의 유형 = 148
[1] 표현적 창의성 = 148
[2] 기술적 창의성 = 148
[3] 발명적 창의성 = 148
[4] 창출적 창의성 = 148
[5] 혁신적 창의성 = 148
4) 창의성과 성격 특성 = 148
3. 창의의 과정 = 149
1) 창의성 개발의 원리 = 149
[1] 기본 전제 = 149
[2] 기본 원리 = 149
2) 창의의 과정 = 149
[1] 준비기 = 149
[2] 잠복기 = 150
[3] 해명기 = 150
[4] 검증기 = 150
4. 영재 = 150
1) 영재의 개념 = 150
2) 영재 선발의 준거 = 151
[1] 지능지수 = 151
[2] 지능 및 창의성 = 151
3) Terman의 영재 연구 = 152
4) 영재에 관한 신화 = 152
제9장 성격 = 154
1. 성격의 개념 = 154
2. 성격에 관한 기본 가정 = 156
1) 성격의 항상성과 변용성 = 156
[1] 성격의 항상성 = 156
[2] 성격의 변용성 = 156
2) 성격의 가지성과 불가지성 = 156
[1] 성격의 가지성 = 156
[2] 불가지성 = 156
3) 성격의 결정성과 자유성 = 157
[1] 성격의 결정성 = 157
[2] 성격의 자유성 = 157
3. 성격형성 요인 = 157
1) 유전적 요인 = 157
[1] 가계 연구법 = 157
[2] 쌍생아 연구법 = 158
2) 생리적 요인 = 158
[1] 신경계 기능 = 158
[2] 내분비 기능 = 159
3) 가정환경 요인 = 159
[1] 양육태도 = 159
[2] 출생순위 = 159
[3] 가정의 분위기 = 161
4. 성격 유형론 = 161
1) 고전적 유형론 = 161
[1] Hippocrates-Galenus의 유형론 = 161
[2] Kant의 유형론 = 162
[3] Wundt의 유형론 = 163
2) Jung의 유형론 = 164
[1] 분석심리학적 입장 = 164
[2] 성격의 유형 = 164
[3] 신경증적 성격유형 = 165
3) Kretschmer의 유형론 = 165
[1] 체격형 = 165
[2] 성격의 유형 = 166
5. 성격 특성론 = 168
1) Allport의 성격특성론 = 168
[1] 특성의 개념 = 168
[2] 특성의 형태 = 168
[3] 공통특성과 개인특성 = 169
[4] 건강한 성격 = 170
2) Cattell의 성격특성론 = 171
[1] 기본 입장 = 171
[2] 원천특성과 표면특성 = 172
6. 발달적 성격론 = 172
1) Fueud의 정신분석학적 이론 = 172
[1] 인간의 의식수준 = 172
[2] 본능적 욕구 = 173
[3] 성격의 구조 = 174
[4] 성격의 발달 = 178
2) Erikson의 심리사회 발달론 = 185
[1] 기본적 입장 = 185
[2] 심리사회 발달의 8단계 = 186
7. 행동주의적 성격론 = 193
1) 고전적 조건형성론 = 193
[1] Pavlov의 조건반사 = 193
[2] Watson의 공포 조건형성 = 194
[3] 신경증의 학습 = 194
[4] 불합리한 선호감정의 학습 = 195
[5] 조건형성된 신체발작 = 195
2) 조작적 조건형성론 = 196
[1] 도피행동과 회피행동 = 196
[2] 학습된 무력감 = 197
[3] 실패의 결과로서의 무력감 = 197
[4] 미신의 학습 = 198
3) 사회 학습이론 = 199
[1] 공격성의 학습 = 199
[2] 성역할의 학습 = 199
[3] 자기강화를 통한 자기규제의 학습 = 200
[4] 친사회적 행동의 학습 = 201
8. 인본주의적 성격론 = 201
1) Maslow의 자아실현 성격이론 = 201
[1] 인본주의적 입장 = 201
[2] 동기에 관한 계층적 이론 = 202
[3] 결손동기와 성장동기 = 205
2) Rogers의 현상학적 성격론 = 206
[1] 기본적 입장 = 206
[2] 자아이론 = 207
[3] 훌륭한 삶의 성격적 요소 = 210
9. 성격장애 = 211
1) 성격장애의 개념과 분류 = 211
[1] 성격장애의 개념 = 211
[2] DSM-Ⅲ에 의한 분류 = 212
2) 편집(망상)성 성격장애 = 213
3) 정신분열성 성격장애 = 213
4)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 214
5)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 214
6) 자기애적 성격장애 = 215
7) 반사회적 성격장애 = 216
[1] 학령기 및 사춘기 초반의 행동 = 216
[2] 성인기의 행동 = 217
8) 경계성 성격장애 = 217
9) 회피성 성격장애 = 218
10) 의존적 성격장애 = 218
11) 강박성 성격장애 = 219
12) 피동·공격성 성격장애 = 220
13) 내향성 성격장애 = 220
10. 신경증 = 221
1) 신경증의 개념 = 221
2) 불안신경증 = 221
3) 강박성 신경증 = 222
4) 전환성 신경증 = 222
5) 해리성 신경증 = 223
[1] 심인성 기억상실증 = 224
[2] 심인성 둔주 = 224
[3] 다중성격 = 225
6) 공포 신경증 = 226
7) 갱년기 우울신경증 = 227
11. 정신병 = 228
1) 정신병의 개념과 분류 = 228
2) 정신분열증 = 228
[1] 일반적 특징 = 228
[2] 정신분열증의 유형 = 230
3) 정동장애 = 232
[1] 일반적 특징 = 232
[2] 정동장애의 구체적 증상 = 233
4) 편집증 = 235
[1] 일반적 특징 = 235
[2] 피해망상 = 235
[3] 과대망상 = 236
제3부 표준화 검사
제10장 지능검사 = 239
1. 지능검사의 종류와 지능 표시법 = 239
1) 지능검사의 종류 = 239
[1] 피검사자의 수에 따라 = 239
[2] 측정재료에 따라 = 239
[3] 검사시간 제한의 유무에 따라 = 239
[4] 측정수준에 따라 = 240
[5] 검사문제의 구성에 따라 = 240
[6] 적용범위에 따라 = 240
2) 지능의 표시법 = 240
[1] 정신연령 = 240
[2] 퍼센타일 순위 = 240
[3] 지능편차치 = 241
[4] 지능지수 = 241
[5] 편차지능지수 = 242
2. Wechsler의 지능검사 = 242
1) WISC의 검사 내용 = 244
[1] 언어검사 = 244
[2] 동작검사 = 244
2) WAIS의 검사 내용 = 244
[1] 언어검사 = 244
[2] 동작검사 = 245
3) 검사의 실시법 = 245
4) 검사결과의 해석 = 245
[1] 언어성 IQ와 동작성 IQ비교 = 245
[2] 소검사간의 상호비교 = 246
[3] 검사반응의 질적 분석 = 248
3. MENSA의 천재·수재판별 지능검사 = 249
1) A형 검사 = 249
2) B형 검사 = 256
3) 규준점수 그래프 = 267
4. 우리 나라 지능검사의 종류 = 268
1) 지능검사의 종류 = 268
2) 코리언 테스팅센터(K. T. C)발행의 집단지능 검사 = 269
[1] 검사대상 = 269
[2] 검사의 구성 내용 = 269
[3] 검사의 측정 요인 = 270
3) 한국 가이던스 발행의 개인지능 검사 = 271
[1] K-WAIS의 제작과 구성 내용 = 272
[2] 소검사의 구성과 측정영역 = 273
4) K. T. C. 발행의 창의성 검사 = 274
[1] 창의성 측정요인 = 274
[2] 검사의 내용과 형식 = 275
제11장 적성검사 = 277
1. 적성검사의 기능과 종류 = 277
1) 적성검사의 기능 = 277
2) 적성검사의 종류 = 278
3) GATB = 278
4) 적성검사의 양호도 = 278
2. 우리 나라 적성검사의 종류 = 279
1) 노동부 발행의 일반작업 적성검사 = 279
[1] 검사구성과 측정요인 = 280
[2] 검사 실시방법 = 282
[3] 검사결과 처리방법 = 282
[4] 직업적성 유형의 진단 = 283
2) 중앙적성연구소 발행의 적성진단 검사 = 285
[1] 검사의 특징 = 285
[2] 검사의 형식 = 285
[3] 적용범위 = 286
[4] 검사의 구성내용 = 286
3)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발행의 적성검사 = 288
[1] 검사의 특징 = 289
[2] 검사의 구성과 측정요인 = 289
제12장 성격검사 = 290
1. MMPI = 290
1) 검사의 특징 = 290
2) 검사의 형식 = 291
3) 집단 검사용 소책자형의 검사실시법 = 291
4) MMPI의 구성 척도 = 292
[1] 타당성 척도 = 292
[2] 임상척도 = 292
5) 검사의 내용과 실시법 = 292
[1] 검사의 내용 = 292
[2] 검사의 실시방법 = 294
6) 검사결과의 채점 및 프로파일 작성 = 295
[1] 답안지 검열 = 295
[2] 척도별 채점 = 295
[3] K교정 = 295
[4] 표준점수(T)환산 = 296
[5] 프로파일의 작성 = 296
[6] 프로파일의 기호화 = 296
7) 검사결과의 해석법 = 298
[1] 타당도 척도의 해석법 = 298
[2] 임상척도의 프로파일 형태 = 303
[3] 개별 임상척도의 해석법 = 305
[4] 2개 척도 상승형의 해석법 = 310
[5] 3개 척도 상승형의 해석법 = 315
[6] 해석상의 유의점 = 316
8) 검사 사례 = 320
[1] 사례 A = 320
[2] 사례 B = 322
[3] 사례 C = 323
2. 16 성격요인 검사 = 324
1) 16 성격요인 검사특성 = 324
2) 16개 성격특성에 관한 양극성 요인구조의 의미와 해석법 = 326
[1] A요인 = 326
[2] B요인 = 326
[3] C요인 = 327
[4] E요인 = 327
[5] F요인 = 328
[6] G요인 = 328
[7] H요인 = 329
[8] I요인 = 329
[9] L요인 = 330
[10] M요인 = 330
[11] N요인 = 331
[12] O요인 = 331
[13] Q₁요인 = 332
[14] Q₂요인 = 332
[15] Q₃요인 = 333
[16] Q₄요인 = 333
3. CPI = 334
1) CPI의 특징 = 334
2) 검사척도의 내용 = 334
[1] 제1군 : 심리적 안정감, 우월성, 자신의 정도 = 334
[2] 제2군 : 사회화, 성숙성, 책임감의 강도 = 336
[3] 제3군 : 성취능력과 지적능력의 정도 = 337
[4] 제4군 : 지적인 형태 및 흥미의 양식 = 338
3) 검사 방법 = 338
4) 검사결과의 타당성 = 339
[1] Gi 지표 = 339
[2] Wb 지표 = 339
[3] Cm 지표 = 339
5) 프로파일의 해석 = 339
[1] 프로파일의 높이 = 339
[2] 척도군 상호비교 = 340
[3] 최고·최저 척도 = 340
[4] 프로파일의 내적 변이성 = 340
4. 아이젱크 성격검사 = 340
1) P(정신병적 경향성 척도) = 340
2) E(외향성·내향성 척도) = 341
3) N(신경증적 경향성 척도) = 341
4) L(허위성 척도) = 341
5. 상황-특성 불안 검사 = 341
1) 상황 불안검사의 척도 구성 = 342
2) 특성 불안검사의 척도 구성 = 342
3) STAI 규준표 = 343
6. 우리 나라 성격검사의 종류 = 344
1) K. T. C. 발행의 일반 성격검사 = 344
[1] 특징 = 345
[2] 검사의 내용 = 345
2) K. T. C. 발행의 자아개념 검사 = 346
[1] 검사의 목적 = 346
[2] 검사의 내용과 형식 = 346
[3] 점수의 의미와 해석 = 347
3) K. T. C. 발행의 인성·정서진단검사 = 351
[1] 특징 = 351
[2] 검사의 내용 = 351
4) 한국심리검사연구소 발행의 MBTI = 354
[1] 특징 = 354
[2] 검사의 목적 = 354
[3] 검사의 내용 = 354
[4] 검사의 실시방법 = 357
[5] 채점방법과 점수해석법 = 357
[6] 검사결과의 해석 = 359
제4부 투사법
제13장 Rorschach Test = 369
1. Ink-Blots Card의 내용 = 369
2. 검사 실시법 = 374
1) 준비 = 374
2) 검사의 시행 = 375
[1] 검사사태의 조정 = 375
[2] 지시 = 377
[3] 자유반응단계 = 378
[4] 질문단계 = 380
[5] 한계음미단계 = 383
3. 분류법 = 385
1) 분류의 대상 = 385
[1] 답인가 또는 주석인가의 문제 = 385
[2] 반응의 바꿈과 부정의 문제 = 386
[3] 독립된 반응인가 설명인가의 문제 = 386
2) 주분류와 부분류 = 387
[1] 주분류와 부분류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 = 387
[2] 주분류에 있어서의 규정 = 387
[3] 부분류에 있서어의 규정 = 388
3) 반응영역 = 388
[1] 전체반응 = 388
[2] 보통 부분반응 = 391
[3] 보통 대부분 및 보통 소부분반응 = 392
[4] 이상 부분반응 = 392
[5] 간격(공백)반응 = 397
4) 반응결정인 = 398
[1] 주된 카테고리 = 398
[2] 주결정인 = 398
[3] 부결정인 = 399
[4] 두 개 이상의 결정인 = 399
[5] 형태반응 = 400
[6] 운동반응 = 400
[7] 음영반응 = 404
[8] 색채반응 = 406
5) 반응 내용 = 408
[1] 반응 내용의 주된 카테고리 = 408
[2] 평범반응과 독창반응 = 409
6) 형태수준의 평가 = 410
[1] 평가의 대상이 되는 반응 = 410
[2] 평가의 관점 = 411
[3] 평정척도 = 411
[4] 종합적 판정의 방법 = 412
4. 정리법 = 415
1) 분류표의 기입 = 415
2) 카테고리별 정리 = 415
[1] 기초정리표 = 416
[2] 요약정리표 = 417
3) 구체적인 예시 = 421
[1] 피검사 Y에 관한 자료 = 421
[2] 자유 반응단계와 질문단계 = 422
[3] 한계음미단계 = 423
[4] 반응의 분류 = 423
[5] 정리(채점) = 426
5. 해석법 = 427
1) 해석의 전제 = 427
[1] 해석의 과정 = 427
[2] 해석의 기초 = 428
2) 각 카테고리의 해석 = 429
[1] 반응영역의 의미성 = 429
[2] 반응결정인의 의미성 = 432
[3] 반응내용의 의미성 = 436
[4] 반응수·반응시간 등의 의미성 = 438
[5] 형태수준의 의미성 = 440
3) 각 카테고리간의 비율관계의 해석 = 440
4) 계열분석 = 442
[1] 계열분석 = 442
[2] 각 카드의 특징 = 443
5) 종합적 해석 = 446
[1] 체험형 = 446
[2] 지적인 측면의 평가 = 448
[3] 정서적 측면의 평가 = 450
[4] 검사보고서의 작성 = 452
제14장 TAT = 453
1. TAT 도판의 구성 내용 = 453
2. TAT 검사 절차와 방법 = 454
1) 실시시기와 검사장면 = 454
[1] 실시시기 = 454
[2] 검사장면 = 454
[3] 검사자료 = 461
2) 피검사에 대한 지시내용 = 461
[1] 첫번째 검사시의 지시내용 = 461
[2] 두 번째 검사시의 지시내용 = 461
[3] 백지도판에 대한 지시내용 = 461
3) 검사반응에 대한 질문 = 462
[1] 중도질문 = 462
[2] 종료질문 = 462
4) 반응기록 = 463
[1] 이야기 내용의 기록 = 463
[2] 반응시간의 기록 = 463
[3] 피검사의 행동 관찰기록 = 463
3. 검사결과의 분석법 : 욕구-압력 관계의 분석 = 464
1) 주된 분석요인 = 464
[1] 주인공 = 464
[2] 주인공의 행동 : 욕구 = 464
[3] 환경자극 : 압력 = 470
[4] Cathexes = 474
[5] 내적 상태 = 474
[6] 해결행동의 양식 = 475
[7] 결과 = 475
2) 부가 분석요인 = 475
[1] 수검태도 = 475
[2] 지시사항의 준수여부 = 475
[3] 피검자 이야기 및 그림의 관계 = 476
[4] 지각 내용 = 476
[5] 언어서술 양식 = 476
4. 분석결과의 정리 = 477
5. 해석의 방법 = 477
1) 종합적 해석 = 477
[1] 일반적 절차 = 477
[2] 구체적 사례 = 479
2) 도판별 해석 = 480
[1] 도판 9BM의 반응과 해석사례 = 480
[2] 도판 11의 반응과 해석사례 = 480
3) Masserman과 Balken의 지수법 = 481
[1] 지수산출법 = 481
[2] 증후군별 특징 = 482
6. 보고서 작성 = 483
제15장 BGT = 485
1. BGT 도판의 구성내용 = 485
2. 검사의 실시방법 = 487
1) 실시방법 = 487
2) Pascal-Suttell식 채점법 = 488
3. 채점 절차와 방법 = 489
1) 각 도형별 채점의 구체적 기준 = 489
[1] 도형 1 = 489
[2] 도형 2 = 489
2) 전체구조의 채점기준 = 491
[1] 도형 A의 위치 = 491
[2] 도형들의 중첩 = 491
[3] 도형의 편포 - 2점 = 491
[4] 구획선의 사용 - 8점 = 491
[5] 도형배열의 순서 - 2점 = 491
[6] 배열의 무질서 - 8점 = 492
[7] 배열의 상대적 크기 - 8점 = 492
3) 채점의 예 = 492
[1] 도형 1 = 492
[2] 도형 2 = 493
[3] 도형 3 = 494
[4] 도형 4 = 494
[5] 도형 5 = 495
[6] 도형 6 = 496
[7] 도형 7 = 497
[8] 도형 8 = 497
[9] 전체구도 = 498
4. 규준표 = 499
5. Koppitz의 아동용 BGT = 501
1) 실시와 채점 방법 = 501
2) 아동용 BGT 채점 항목 = 502
3) 규준 점수 = 502
[1] 학년별 규준 = 502
[2] 연령별, 성별 규준 = 503
6. 구체적인 사례 = 503
제16장 HTP묘화 검사법 = 505
1. HTP묘화 검사의 실시법 = 505
1) 검사의 특징 = 505
[1] 검사의 발달 = 505
[2] 검사의 기본 가정 = 506
2) 실시 절차 = 506
2. 형식분석과 Hammer식 해석법 = 506
1) 계열성 = 506
2) 그림의 크기 = 507
3) 화필의 압력 = 507
4) 그림의 위치 = 507
5) 대칭성 = 508
6) 운동 = 508
7) 세부 = 508
3. 내용분석과 해석법 = 508
1) 집 그림 = 508
[1] 지붕 묘사 = 508
[2] 벽 묘사 = 509
[3] 출입문 묘사 = 509
[4] 창문 묘사 = 509
[5] 굴뚝과 연기묘사 = 510
[6] 기타 묘사 = 410
2) 나무의 그림 = 511
[1] 나무줄기 묘사 = 511
[2] 나뭇가지 묘사 = 511
[3] 나뭇잎 묘사 = 512
[4] 나무뿌리의 묘사 = 512
[5] 기타 묘사 = 512
3) 인물화 = 513
[1] 머리 묘사 = 513
[2] 얼굴 묘사 = 513
[3] 입과 입술 묘사 = 513
[4] 턱 묘사 = 514
[5] 눈 묘사 = 514
[6] 눈썹 묘사 = 515
[7] 귀 묘사 = 515
[8] 모발 묘사 = 515
[9] 코 묘사 = 515
[10] 목 묘사 = 516
[11] 유방 묘사 = 516
[12] 어깨 묘사 = 516
[13] 엉덩이 묘사 = 517
[14] 허리 묘사 = 517
[15] 팔 묘사 = 517
[16] 손 묘사 = 518
[17] 손가락 묘사 = 518
[18] 다리 = 519
[19] 발가락 = 519
[20] 의복 = 519
[21] 단추 = 519
[22] 호주머니 = 520
[23] 넥타이 = 520
[24] 신발(구두) = 520
제17장 Baum 검사 = 521
1. Baum검사의 특징 = 521
2. 검사 방법 = 522
3. 해석 규준 = 522
1) 나무그림의 검토체계 = 523
2) 공간상징 = 524
3) 뿌리 = 524
4) T형의 줄기 = 524
5) 줄기의 밑부분 = 525
6) 음영표현 = 525
7) 줄기의 윤곽 = 526
8) 줄기 껍질 = 526
9) 똑바른 평행스런 줄기 = 527
10) 줄기의 길이와 관부의 크기 = 527
11) 줄기 밑쪽으로 늘어진 관부 = 528
12) 관부 밑에 줄기 낮은 쪽으로 나온 가지 = 528
13) 공이나 구름형의 관부 = 529
14) 가지의 중심 = 529
15) 가지의 모양 = 529
16) 가늘고 복잡하게 뻗은 가지망 = 530
17) 잎 = 530
18) 떨어지는 잎 = 530
19) 떨어진 열매, 떨어지는 열매 = 531
20) 열매 = 531
제18장 DAP 검사 = 532
1. DAP의 특징 = 532
2. 검사 방법 = 533
3. 해석 규준 = 536
1) 그림의 형식 = 536
[1] 그림의 순서 = 536
[2] 그림의 크기 = 536
[3] 그림의 위치 = 537
2) 그림의 내용 = 537
3) 그림의 선 = 537
4) 인물화의 신체부위 = 537
제19장 단어 연상검사 = 539
1. 단어 연상검사의 특징 = 539
2. 검사 방법 = 540
3. 해석 방법 = 541
제20장 문장 완성검사 = 543
1. 검사의 특징 = 543
2. 검사의 방법 = 543
3. 해석 방법 = 544
1) 반응유형 = 544
2) 해석 방법 = 546
[1] 해석의 준거 = 546
[2] 유의 사항 = 546
제5부 작업검사
제21장 Kr$$\ddot a$$epelin 검사 = 549
1. 검사의 특징 = 549
2. 기본 가설 = 550
1) 작업곡선에 비치는 기본 요인 = 550
2) 작업과정에 미치는 정신적 요인 = 551
3. 검사 방법 = 552
4. 검사결과의 채점 = 553
1) 검사결과의 정리 = 553
2) 채점 방법 = 553
5. 해석 방법 = 554
1) 수량적 해석 = 554
2) 질적 해석 = 555
[1] 정형성 경향 = 555
[2] 비정형성 경향 = 555
제6부 심리검사의 척도구성법
제22장 척도구성법 = 559
1. Thurstone의 방법 = 560
1) 척도구성의 절차 = 560
[1] 의견의 수립 = 560
[2] 판정자 그룹의 구성 = 560
[3] 판정자의 의견분류 = 561
2) 척도구성법 = 562
[1] 척도와 다의성의 계산 = 562
[2] 척도의 구성 = 563
3) Thurstone방법에 의한 척도구성의 예 = 563
2. Likert의 방 법 = 564
1) 척도구성의 절차 = 564
2) 표준편차법의 적용 = 565
3) 신뢰도 검증 = 568
3. Guttman의 방법 = 569
1) 척도구성의 특징 = 569
2) 척도반응형의 분석 = 570
3) 재현성의 분석 = 572
4. Osgood의 SD법 = 573
1) SD법의 특징과 실시방법 = 573
2) 의미판별방법 = 576
[1] 평균치에 의한 분석 = 576
[2] 거리군집 분석법 = 577
제7부 집단내의 인간관계 진단법
제23장 사회성측정법 = 581
1. 사회성측정법의 특징 = 581
1) 사회성측정법의 장단점 = 581
[1] 사회성측정법의 정의 = 581
[2] 사회성측정법의 장단점 = 582
2) Sociometry의 종류 = 583
[1] 지기 테스트 = 583
[2] Sociometric 테스트 = 583
[3] 자발성 테스트 = 583
[4] 상황 테스트 = 585
[5] 역할연기 테스트 = 585
2. 사회성측정법의 절차와 방법 = 585
1) Sociometric test의 구성법 = 585
[1] Sociometric test의 형식 = 585
[2] Sociometric test 구성상의 유의점 = 586
[3] Sociometric test의 선택기준의 유형과 형태 = 587
[4] 사용할 기준의 수와 선택 허용수의 문제 = 589
2) Sociometric test의 실시법 = 589
[1] 실시자의 조건 = 589
[2] 실시의 시기와 대상 = 590
[3] 피조사자의 이름 기입의 문제 = 590
3) Sociometric test 결과의 분석법 = 591
[1] 소시오그램에 의한 분석법 = 591
[2] Sociomatrix에 의한 분석법 = 594
[3] 지수에 의한 분석법 = 597
[4] 통계적 방법에 의한 분석법 = 599
참고 문헌 = 601
찾아 보기 =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