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심리학 역사의 소개 = 1
심리학과 그 역사 = 2
왜 역사를 공부하는가? = 4
왜 심리학의 역사를 공부하는가? = 6
역사에서의 주요 논제들 = 8
낡은 역사 대 새로운 역사 = 8
확대경 : Edwin G. Boring(1886∼1968) = 13
역사 편찬 : 역사 공부와 역사 서술 = 18
역사적 자료의 출처 = 18
역사 서술의 문제 = 20
역사적 진실에 대한 접근 = 25
제2장 철학적 배경 = 31
심리학의 오랜 과거 = 32
Descartes, 그리고 현대 철학과 현대 과학의 시작 = 32
Descartes와 합리론 = 34
Descartes적 체계 : 합리론, 생득설, 기계론적 상호작용론 = 36
원문발췌 : Descartes의 심신 상호작용론 = 38
영국 경험론의 주장과 연합주의자들 = 42
John Locke(1632∼1704) : 영국 경험론의 시초 = 43
George Berkeley(1685∼1753) : 시각에 적용된 경험론 = 49
영국 연합주의 = 52
확대경 : 철학자 길러내기 = 58
John Stuart Mill(1806∼1873) : 심리과학의 문턱에서 = 59
경험론에 대한 합리론의 대응 = 64
Gottfried Wilhelm Leibnitz(1646∼1716) = 64
Immanuel Kant(1724∼1804) = 66
전체적으로 보기 = 66
제3장 신경생리학적 배경 = 71
계몽운동기의 선구적 과학 = 72
감각생리학 = 73
반사 작용 = 73
Bell-Magendie 법칙 = 74
특수 신경 에너지 = 76
Helmholtz : 생리학자의 생리학자 = 77
뇌 기능의 국재화 = 83
Gall과 Spurzheim의 골상학 = 83
확대경 : 골상학 마케팅 = 87
Flourens와 절제술 = 88
임상적 방법 = 90
원문발췌 : Broca가 언어중추를 발견하다 = 91
전기자극을 통한 뇌지도 제작 = 94
신경계와 행동에 대한 20세기 초의 연구 = 96
뉴런설 = 96
Charles Sherrington 경 : 시냅스 = 97
Karl Lashley : 학습과 피질 = 98
제4장 Wundt와 독일 심리학 = 107
독일의 교육 = 108
실험심리학의 문턱에서 : 정신물리학 = 109
Ernst Weber(1795∼1878) = 109
Gustav Fechner(1801∼1889) = 112
Fechner의 『정신물리학 요강』 = 114
Wundt가 신심리학을 확립하다 = 115
Wilhelm Wundt(1832∼1920) : 새로운 과학을 창조하다 = 116
신심리학에 대한 Wundt의 구상 = 119
Wundt의 실험실 들여다보기 = 121
확대경 : 라이프치히의 한 미국인 = 125
새로 쓰는 역사 : 새롭고 개선된 모습의 Wilhelm Wundt = 127
Wundt가 남긴 유산 = 130
신심리학이 퍼져나가다 = 131
Hermann Ebbinghaus(1850∼1909) : 기억에 대한 실험 연구 = 131
원문발췌 : 기억과 망각에 관한 Ebbinghaus의 연구 = 132
G. E. M$$\ddot u$$ller(1850∼1934) : 실험주의자의 전형 = 139
Oswald K$$\ddot u$$lpe(1862∼1915) : 뷔르츠부르크 학파 = 141
제5장 Darwin의 세기 : 진화론적 사고 = 147
종의 문제 = 148
Darwin(1809∼1882) 과 진화론 = 149
한 박물학자의 탄생 = 149
비글호의 항해 = 151
Darwin의 이론의 진화 = 155
Darwin과 심리학의 역사 = 162
비교심리학의 기원 = 162
정서표현의 진화에 대한 Darwin의 견해 = 162
확대경 : Douglas Spalding과 본능에 대한 실험 연구 = 165
George Romanes(1848∼1894) : 일화적 연구법 = 167
Conwy Lloyd Morgan(1852∼1936) : 절약의 원리 = 168
개인차의 연구 = 170
Francis Galton(1822∼1911) : 만능과학자 = 171
원문발췌 : 측정, 심상, 그리고 연합에 대한 Galton의 연구 = 175
Darwin의 세기에 대한 조망 = 180
제6장 미국 심리학의 개척자들 = 183
19세기 미국의 심리학 = 184
능력심리학 = 184
현대적인 대학교 = 186
William James(1842∼1910) : 미국 최초의 심리학자 = 187
인격 형성기 = 188
하버드 대학교 시절의 삶 = 189
미국 심리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교과서를 저술하다 = 191
원문발체 : 정서에 관한 William James의 이론 = 195
후기의 James = 199
William James를 정리하면 = 201
G. Stanley Hall(1844∼1924) : 심리학의 전문직종화 = 201
Hall의 어린 시절과 교육 = 203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클라크 대학교로 = 204
클라크 대학교에서의 심리학 = 206
확대경 : 미로학습과제의 개발 = 207
Mary Whiton Calkins(1863∼1930) : 남성 독점에 대한 도전 = 212
Calkins의 삶과 연구 = 213
다른 여성 개척자들 : 알려지지 않은 삶 = 217
새로운 세기의 신심리학 = 220
제7장 구성주의와 기능주의 = 225
Titchener의 심리학 : 구성주의 = 226
옥스포드에서 라이프치히로, 그리고 다시 코넬로 가다 = 226
코넬 대학교에서 실험심리학을 퍼뜨리다 = 228
원문발췌 : Titchener의 구성주의 = 234
확대경 : 내성 자세 = 239
의식 경험의 요소 = 241
심리학에 대한 Titchener의 공헌에 관한 평가 = 242
미국의 심리학 : 기능주의 = 244
시카고 대학교의 기능주의자들 = 246
콜럼비아 대학교의 기능주의자들 = 253
제8장 신심리학의 응용 = 267
응용에 대한 압력 = 268
정신검사 운동 = 270
James McKeen Cattell(1860∼1944) : 미국판 Galton = 270
Alfred Binet(1857∼1911) : 지능검사의 탄생 = 274
Henry H. Goddard(1866∼1957) : Binet의 검사를 미국으로 들여오다 = 278
확대경 : Kallikak 가계 = 280
Lewis M. Terman(1877∼1956) : IQ의 표준화 = 284
Robert M. Yerkes(1876∼1956) : 군대 검사 프로그램 = 288
지능에 관한 논쟁 = 294
심리학을 사업에 적용하기 = 297
Hugo M$$\ddot u$$nsterberg(1863∼1916) : 응용심리학의 다양성 = 298
원문발췌 : Hugo M$$\ddot u$$nsterberg와 직원 선발 = 300
다른 선도적인 산업심리학자들 = 305
제9장 게슈탈트 심리학 = 313
게슈탈트 심리학의 기원과 전개 = 314
Max Wertheimer(1880∼1943) : 게슈탈트 심리학의 창시 = 315
Koffka(1886∼1941)와 K$$\ddot o$$hler(1887∼1967) : 게슈탈트 심리학의 공동창시자 = 318
확대경 : K$$\ddot o$$hler가 독일 스파이였을까? = 319
게슈탈트 심리학과 지각 = 322
지각체제화 원리 = 322
행동적 환경 대 지리적 환경 = 325
정신물리학적 동형이성 = 325
인지와 학습에 대한 게슈탈트 접근 = 326
원문발췌 : 영장류의 통찰에 관한 K$$\ddot o$$hler의 연구 = 326
생산적 사고에 관한 Wertheimer의 이론 = 332
인지에 관한 다른 게슈탈트 연구 = 333
Kurt Lewin(1890∼1947) : 게슈탈트적 시각의 확장 = 335
Lewin의 젊은 시절과 이력 = 335
장 이론 = 337
발달심리학자로서의 Lewin = 340
사회심리학자로서의 Lewin = 343
Lewin에 대한 평가 = 347
미국에서의 게슈탈트 심리학에 대한 조망 = 348
제10장 행동주의의 기원 = 353
행동주의의 내력 = 354
Pavlov의 생애와 업적 = 356
한 생리학자의 성장 = 356
Pavlov 실험실에서의 연구 = 357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연구 = 358
Pavlov와 소련인들 = 363
Pavlov와 미국인들 = 365
확대경 : 잘못 묘사된 Pavlov의 실험장치 = 365
John B. Watson과 행동주의의 창시 = 367
시카고의 젊은 기능주의자 = 368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온 기회 = 371
원문발췌 : Watson과 Rayner의 꼬마 Albert 연구 = 375
광고계에서의 새로운 삶 = 382
행동주의의 대중화 = 383
Watson의 행동주의에 대한 평가 = 385
제11장 행동주의의 전개 = 389
Watson 이후의 행동주의 = 390
논리실증주의와 조작주의 = 391
신행동주의 = 393
Edward C. Tolman(1886∼1959) : 목적 지향적 행동주의 = 395
Tolman의 체계 = 396
Tolman의 연구 프로그램 = 399
Tolman에 대한 평가 = 404
Clark Hull(1884∼1952) : 가설연역적 체계 = 406
Hull의 체계 = 410
Hull에 대한 평가 = 412
B. F. Skinner(1904∼1990) : 급진적 행동주의 = 415
원문발췌 : 스키너 상자의 탄생 = 417
행동의 실험적 분석 = 423
행동 공학 = 425
확대경 : Skinner식 유토피아 = 426
Skinner에 대한 평가 = 428
행동주의에 대한 조망 = 429
제12장 정신분석과 임상심리학 = 433
정신병자에 대한 초기의 치료 = 434
'계몽운동적' 개혁 : Pinel, Tuke, 그리고 Rush = 434
정신병원의 개혁 : Dix와 Beers = 437
메즈머리즘과 최면 = 439
메즈머리즘과 동물 자기 = 439
메즈머리즘에서 최면술로 = 441
최면술 논쟁 = 442
Sigmund Freud(1856∼1939) : 정신분석학의 창시 = 445
초기의 삶과 교육 = 446
정신분석학의 창시 = 450
확대경 : Freud의 측근 : 충성과 분열 = 453
원문발췌 : 정신분석학에 대해 Freud가 클라크 대학교에서 한 강연 = 455
정신분석 이론의 진화 = 461
미국 심리학자들의 정신분석학 수용 = 463
Freud에 대한 조망 = 465
미국에서의 임상심리학 = 467
Lightner Witmer(1867∼1956) : 심리학 최초의 클리닉 설립 = 468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임상심리학 = 470
20세기 중반의 임상심리학과 심리치료 = 472
제13장 전후에 등장한 인지심리학 = 481
인지심리학이 (다시) 도래하다 = 482
인지심리학의 뿌리 = 482
여러 영향들의 수렴 = 488
확대경 : 정말로 혁명이었을까? = 492
마법의 수, 선택적 여과기, 초점 도박, TOTE 단위 = 494
원문발췌 : Neisser, 인지심리학에 관하여 = 500
인지심리학의 전파 = 505
실용주의로의 회귀 : 생태학적 타당성의 문제 = 506
인지과학 = 507
인지심리학에 대한 조망 = 510
제14장 심리학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기 = 515
심리학의 성장과 다양성 = 516
심리학사에서의 여성 = 517
심리학사에서의 소수집단 = 519
현대 심리학의 추세 = 523
뇌와 행동 = 524
진화심리학 = 526
전문직 심리학 = 528
하나의 심리학인가 아니면 여러 개의 심리학인가? = 530
용어해설 = 535
참고문헌 = 549
주제별 찾아보기 = 569
인명별 찾아보기 = 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