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화소설연구 / 김려실[교토대학 인간환경학 박사과정 재학중,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Ⅰ. 서론 = 8
Ⅱ. 영화소설의 발생 = 10
가. '조선서 처음 되는 영화소설' = 10
나. 영화와 소설의 결합 = 15
다. 〈아리랑〉이라는 사건 = 22
Ⅲ. 영화소설의 형식과 특징 = 25
가. '살 없는 뼈 소설' = 25
나. 영화소설의 형식과 매체에 따른 분화 = 29
다. 혼성양식으로서의 영화소설 = 36
Ⅳ. 영화소설의 변천 = 42
가. 영화는 소설을 정복하였나 = 42
나. 오늘날의 영화소설 = 45
Ⅴ. 작품분석 = 49
가. 시나리오문학을 통한 영화의 간접연구 = 49
나. 〈아리랑〉과 항일민족영화의 형성 = 54
Ⅵ. 결론 = 62
참고문헌 = 64
영화색채의 이데올로기 연구 / 김종국[동국대, 영상원 강사, 동국대 영화과 박사]
Ⅰ. 서론 = 73
가. 문제제기 = 73
나. 연구목적 및 방법 = 77
다. 논문의 구성 = 79
Ⅱ. 영화색채의 지배적 경향 = 82
가. 색채 테크놀로지와 이데올로기 = 82
나. 리얼리즘과 스펙터클로서의 색채 = 86
Ⅲ. 영화색채의 대안적 양식 = 93
가. 영화색채의 대안적 사용과 분절화 = 93
나. 주체의 혼돈과 탈중심적인 파랑 = 102
Ⅳ. 영화색채의 문화정치적 의미 = 113
가. 의미의 다수성을 향한 색채 = 113
나. 저항 혹은 즐거움의 쾌락 : 노랑 = 119
다. 혼돈 속 전시된 이미지 : 파랑 = 131
Ⅴ. 결론 = 140
참고문헌 = 143
후기 라깡적 정신분석과 영화 관람성 윤리의 재정립 / 박제철[중앙대학교 강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
Ⅰ. 머리말 : 잃어버린 관람성의 "구체적 보편성"을 찾아서 = 154
Ⅱ. 기존 정신분석적 관람성 연구들과 그 불만들 = 158
가. 영화-장치 혹은 봉합된 관람성의 무의식 = 158
나. 영화-환상 혹은 억압된 무의식적 관람성의 회귀 = 168
Ⅲ. 무의식의 증상에서 주체의 증환으로 = 179
가. 증상이라는 뫼비우스 띠 : 욕망에서 향유로 = 179
나. 이데올로기의 통과와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 = 188
Ⅳ. 향유의 잔여들과 영화적 봉합 작용 = 196
가. 봉합 개념과 그것의 변증법적 운명들 = 196
나. 봉합하는 영화적 증상의 유령들 : 응시, 비가시음성체 = 204
Ⅴ. 관람성의 실재의 윤리적 행위로의 이행과 다른/여성적 향유 = 215
Ⅵ. 맺음말 : 관람성의 이율배반의 통과와 비평의 윤리적 행위 = 230
조기영화수용자의 기대 및 성과가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이종철[충북대학교, 극동대학교 강사, 충북대학교 경영학 박사]
Ⅰ. 서론 = 240
가. 문제의 제기 = 240
나. 연구의 목적 = 241
다. 연구의 대상 및 범위 = 242
라.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242
Ⅱ. 이론적 배경 = 244
가. 영화의 개황 = 244
나. 혁신의 수용과 확산 = 247
다. 기대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56
라. 기대, 성과 및 만족 = 277
마. 구전활동 = 283
바. 도입변수들에 대한 본 연구의 관점 = 290
Ⅲ. 연구모형과 가설 = 292
가. 연구모형 = 292
나. 연구가설의 설정 = 293
Ⅳ. 실증분석 = 305
가.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305
나.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306
다. 분석결과 = 312
Ⅴ. 결론 = 330
가. 연구의 요약 = 330
나. 연구의 시사점 = 331
참고문헌 = 336
별첨 자료 = 358
하드코어 포르노에 대한 연구 : 노동계급의 '정치적 재구성'을 중심으로 / 하승우[영상원 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전문사]
Ⅰ. 포르노 장르 연구 = 366
가. 성 과학 = 366
나. 하드코어 포르노의 스타일 = 370
다. 〈백지영 비디오〉 = 374
라. 포르노와 남성 판타지(관객성) = 376
Ⅱ. 노동계급의 '정치적 재구성' = 394
가. 예비적 고찰 = 394
나. 포스트모던 국가형태(postmodern state-form) = 403
다. 자유의 새로운 공간 = 407
Ⅲ. 지역적 번역 가능성 = 421
가. 자본의 '정치적' 분열 전략과 아시아의 섹스 = 421
나. 근대성 형성과 외설성의 관계 = 422
참고문헌 =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