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지식정보사회와 디지털지식경제
제1장 디지털 지식정보사회의 개념과 발전 = 3
1.1. 디지털 지식정보사회의 개념 = 5
1.2. 디지털 지식정보사회의 발전과 자원활용 = 6
1.2.1. 원시사회와 경제자원 = 7
1.2.2. 농업사회와 경제자원 = 8
1.2.3. 공업사회와 경제자원 = 9
1.2.4. 디지털 지식정보사회와 경제자원 = 10
제2장 디지털 지식정보사회의 특징 = 23
2.1. 생활기반의 변화와 사이버티즌 = 25
2.2. 지식정보의 시대 = 27
2.3. 통신네트워크와 전자제품의 융합 = 27
2.4. 생산자와 소비자의 변화 = 28
2.5. 경제적인 변화 = 30
2.6. 정보통신기술의 특징과 역기능 = 31
2.6.1. 정보통신기술의 특징 = 31
2.6.2. 정보통신기술의 역기능 - 정보화 교육 측면 = 33
2.6.3. 정보통신기술의 역기능 - 정보통신윤리 측면 = 38
2.7. 정보통신윤리와 예절 = 43
2.7.1. 정보통신윤리 = 43
2.7.2. 정보통신예절 - 네티켓 = 44
2.7.3. 네티즌 기본정신과 행동강령 = 49
제3장 정보와 지식경제 = 51
3.1. 정보와 지식 = 53
3.1.1. 데이터와 정보 = 53
3.1.2. 지식의 구성요소와 개념도 = 54
3.1.3. 지식과 정보의 차이 = 57
3.1.4. 지식의 속성과 특징 = 60
3.2. 지식경제와 지적 자본 = 63
3.2.1. 지식기반경제 플로와 특징 = 63
3.2.2. 지적 자산과 자본 = 74
3.3. 신경제현상과 뉴비즈니스 = 82
3.3.1. 신경제현상 = 82
3.3.2. 뉴비즈니스 패러다임 = 86
제2편 디지털지식경제의 인프라
제4장 디지털경제와 지식경영 = 95
4.1. 디지털지식과 경제 = 97
4.1.1. 디지털혁명 = 97
4.1.2. 디지털지식 = 99
4.1.3. 디지털경제 = 101
4.2. 지식경영 = 109
4.2.1. 지식경영의 본질과 필요성 = 109
4.2.2. 지식근로자와 지식경영의 성공요인 = 116
4.2.3. 지식경영 사례 = 121
4.2.4. 지식경영 기업들의 공통점 = 126
제5장 디지털경제와 전자상거래의 변화 = 131
5.1. 디지털경제의 변화 = 133
5.1.1. 디지털경제의 시장구조 변화 = 133
5.1.2. 디지털경제의 산업구조 변화 = 137
5.2. 전자상거래의 변화 = 140
5.2.1. 전자상거래에 따른 시장구조의 변화 = 140
5.2.2. 전자상거래의 모형과 산업구조의 변화 = 143
제6장 디지털경제와 인프라구축 = 149
6.1. 디지털경제와 기업의 변화 = 151
6.1.1. 전통산업의 디지털화 = 151
6.1.2. 디지털경제와 전자상거래 = 154
6.2. 디지털시대와 인적 자원의 변화 = 157
6.2.1. 근로의 패러다임 변화 = 157
6.2.2. 디지털경제로의 전환과 고용 = 158
6.3. 디지털경제와 정부의 변화 = 163
6.3.1. 정부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 163
6.3.2. 지식국가 = 164
제3편 디지털지식경제와 국가경쟁력
제7장 국내 지식경제의 현황 = 179
7.1. 국내 지식경제의 현황 = 181
7.1.1. 지식지표적 접근 = 181
7.1.2. 국가별 현황비교 = 182
7.2. 산업별 현황분석 = 191
7.2.1. 분석방법 = 191
7.2.2. 분석결과 = 191
7.3. 제조업의 사례 = 194
7.3.1. OECD 국가의 제조업 현황 = 194
7.3.2. 국내 지식기반 제조업 현황 = 197
제8장 지식경제화 전략의 국제적 고찰과 시사점 = 207
8.1. 캐나다 = 209
8.1.1. 캐나다 경제의 문제점 = 209
8.1.2. 경제성장전략 내용 = 209
8.1.3. 정책적 시사점 = 211
8.2. 미국 = 213
8.2.1. 경제환경의 변화 = 213
8.2.2. 산업현황 = 214
8.2.3. 지식기반산업의 육성전략 = 217
8.2.4. 정책적 시사점 = 225
8.3. 일본 = 226
8.3.1. 이행배경 = 226
8.3.2. 산업현황 = 227
8.3.3. 신성장산업 육성정책 = 228
8.3.4. 정책적 시사점 = 229
8.4. 싱가포로 = 231
8.4.1. 이행배경 = 231
8.4.2. 산업육성전략 = 234
8.4.3. 이행상황에 대한 평가 = 240
8.4.4. 정책적 시사점 = 242
제9장 지식경제의 현실적 과제와 대응방안 = 247
9.1. 디지털경제의 긍정적인 효과 = 249
9.1.1. 소비자의 효용증대 = 249
9.1.2. 기업의 생산성 증대 = 250
9.1.3. 국가의 경제성장 및 고용증대 = 253
9.2. 디지털경제의 부정적인 효과 = 254
9.2.1. 디지털격차 = 254
9.2.2. 전통산업과 디지털산업 간의 괴리 = 257
9.2.3. 정보보호 = 258
9.3. 국가경쟁력 강화방안 = 259
9.3.1. 지식과 정보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기반조성 = 259
9.3.2.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인재의 육성 = 261
9.3.3. 정부와 기업 및 산업의 디지털화 = 262
9.3.4. 효율적 정책운용 = 264
제4편 디지털지식경제의 법·제도
제10장 지식경제의 특징과 법적 문제 = 271
10.1. 지식경제의 특징 = 273
10.1.1. 직접적인 네트워크 = 273
10.1.2. 쌍방향성 네트워크 = 274
10.1.3. 국경을 초월한 네트워크 = 275
10.2. 지식경제하에서의 법적 문제 = 275
10.2.1. 지적재산권자의 보호문제 = 275
10.2.2.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문제 = 276
10.2.3. 인터넷상의 공적 규제 = 278
10.2.4. 전자상거래의 법률문제 = 279
제11장 지식경제와 지적재산권법 = 283
11.1. 도메인네임 = 285
11.1.1. 도메인네임의 의의 = 285
11.1.2. 도메인네임의 선정방식 = 285
11.1.3. 도메인네임의 부당사용 = 286
11.1.4. 국제적인 도메인네임의 분쟁해결 = 292
11.2. 비즈니스방법특허 = 293
11.2.1. 비즈니스방법특허의 의의 = 293
11.2.2. 비즈니스방법특허의 특허성 = 294
11.2.3. 비즈니스방법특허의 요건 = 296
11.2.4. 국제문제 = 299
11.3.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책임 = 300
11.3.1. 저작권 침해책임에 대한 학설개관 = 301
11.3.2. 미국의 디지털밀레니엄저작권법 = 302
11.3.3. 일본의 저작권 침해책임 법리 = 303
11.3.4. 미국·일본의 저작권 침해책임 법리의 비교 = 305
11.3.5.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저작권 침해책임에 대한 우리 나라의 법리 = 306
11.3.6. 온라인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제한 = 314
제12장 지식경제와 공정거래법 = 323
12.1. 지식경제하의 네트워크시장 = 325
12.1.1. 네트워크시장의 의의 = 325
12.1.2. 네트워크시장의 특질 = 325
12.1.3. 공정거래법적 관점에서의 네트워크시장 = 326
12.2. 네트워크시장에 대한 공정거래법의 적용 = 327
12.2.1. 수요독점의 문제 = 327
12.2.2. 조달방법에 따른 위법성 여부 = 327
12.2.3. 조달사이트에서의 구입의무 = 329
12.2.4. 조달사이트에의 참가제한 = 329
12.2.5. 참가자 간의 정보교환 = 330
12.2.6. 구매거절을 통한 담합 = 330
12.2.7. 거래거절 = 331
12.2.8. 부당염매 = 333
12.2.9. 부당한 고객유인행위 = 334
12.2.10. 끼워팔기 = 335
제13장 지식경제와 전자상거래 = 341
13.1. 전자상거래의 서론적 고찰 = 343
13.1.1. 전자상거래의 의의 = 343
13.1.2. 전자상거래의 특징 = 343
13.2. 전자상거래의 개별적인 법률문제 = 334
13.2.1. 전자상거래의 의사표시 = 344
13.2.2. 전자서명 = 348
13.2.3. 인증제도와 인증기관 = 349
13.2.4. 전자화폐 = 352
13.2.5.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보호 = 355
참고문헌 = 365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