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71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883094 | |
005 | 20100806095216 | |
007 | ta | |
008 | 030404s2003 ulka 000a kor | |
020 | ▼a 8980400888 ▼g 93370 : ▼c \12000 | |
035 | ▼a KRIC08627641 | |
040 | ▼a 211062 ▼d 211009 | |
049 | 1 | ▼l 111288927 ▼l 111288928 |
082 | 0 4 | ▼a 371.3 ▼2 21 |
090 | ▼a 371.3 ▼b 2003o | |
100 | 1 | ▼a 서근원 ▼0 AUTH(211009)134980 |
245 | 1 0 | ▼a 수업을 왜 하지? : ▼b 꼼꼼하게 들여다본 아홉 개의 수업 장면 / ▼d 서근원 지음. |
260 | ▼a 서울 : ▼b 우리교육 , ▼c 2003. | |
300 | ▼a 232 p. : ▼b 삽도 ; ▼c 23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03o | Accession No. 1112889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03o | Accession No. 11128892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월간 교육전문지 「초등 우리교육」2001년 3월호부터 12월호까지 1년 동안 '함께 나누는 수업 이야기'로 연재되었던 것을 간추리고 살찌워 펴낸 것이다. 연재물은 전국 곳곳의 초등학교를 찾아가 수업을 관찰하고, 탐방한 기록으로 수업 교사와의 인터뷰가 실려 있다.
책은 총 9편의 수업 이야기를 소개한다. 외진 시골 학교에서부터 대도시의 학교에 이르기까지 갖가지의 수업 조건과 수업 방법을 찾아다녔다. 각 장의 부제는 그 장에서의 문제의식을 간추려 보여준다. 가령 '교사의 불안, 성장의 힘', '업무와 수업 사이에서', '행동주의 수업의 득과 실' 등등이다.
소개된 수업 사례가 다 성공한 케이스는 아니다. 취재기는 '수업을 잘하는 기술'과 '수업을 망치는 폐단'을 아우른다. 수업이 잘된 경우는 어떤 점에서 그러한가 다시 점검하고, 수업이 잘 진행되지 못한 경우는 무엇이 문제였는지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는다. 수업내용은 학생과 선생의 대화문으로 짜여져 현장감 있다.
이 책의 장점은, 초등학교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을 다시 되돌아보고 생각하게 하는 데 있다. 책에 소개된 9가지 사례를 보면서 자신의 수업을 상기하게 하고, 어떤 모범 답안을 찾아 수업을 꿰어 맞추는 게 아니라 '좋은 수업이란 무엇일까?'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게 한다. 나아가 '교사란 학생들에게 어떤 사람일까, 그리고 학생들은 교사에게 어떤 존재일까' 등 직업에 대한 생각을 깊게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서근원(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 심화 과정) 졸업 서울 무학, 구암, 대림초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후 연수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대우) 청주교육대학교 연구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현재) [주요 저서] 수업을 왜 하지?(2003, 우리교육)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2009,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2012, 강현출판사)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2012, 강현출판사)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 (1): 상식 밖의 교육학(2012, 강현출판사) 나를 비운 그 자리에 아이들을(2012, 교육과학사)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와 교육, 그리고 질적 연구(2013, 교육과학사)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2013, 교육과학사) 풀뿌리 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2016, 교육과학사)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2018, 교육과학사) 칼날처럼 읽고, 봄바람처럼 말하라: 교육학자의 토론과 토론문(2020, 교육과학사) 학교혁신의 선구자들: 슬픈 희망의 교육 생애사(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2020, 교육과학사)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4 이 책을 추천하며 = 6 1. 어느 수업 풍경 하나 - 산골 학교의 복식수업으로 보는 우리 교육 = 13 2. '나의 수업'을 찾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 공립 초등학교에서의 수업, 그 딜레마 = 30 3. 수업에서 교사는 무엇을 경험하는가? - 교사의 불안, 성장의 힘 = 61 4. 교사는 왜 수업에 전념할 수 없는가? - 업무와 수업 사이에서 = 88 5. 교사는 왜 학생을 통제하는가? - 통제와 흥미 유도 = 123 6. 학생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 행동주의 수업의 득과 실 = 141 7. 수업 방법은 배움을 보장하는가? - 수업 방법의 매력과 함정 = 167 8.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가? - 다시 생각하는 좋은 수업 = 187 9. 나는 무엇을 위해서 수업을 했는가? - 만남에 이르는 수업을 꿈꾸며 = 207 후기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