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언어와 언어학
1.1 인간과 언어 = 11
1.2 동물의 언어와 인간의 언어 = 13
1.2.1 꿀벌의 통신 방법 = 13
1.2.2 구조 이원성 = 16
1.2.3 창조성 = 20
1.2.4 기타 특성 = 24
1.3 언어의 보편성과 개별성 = 27
1.3.1 언어보편성을 가정하는 근거 = 27
1.3.2 보편성과 개별성의 관계 = 30
1.4 언어습득 = 31
1.4.1 토박이 화자의 언어 지식 = 31
1.4.2 언어 습득의 신비 = 35
1.4.3 모방과 강화 = 36
1.4.4 가설-검증 이론 = 39
1.4.5 언어습득장치 = 41
1.4.6 언어능력 최초상태와 안정상태 = 42
1.5 언어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 = 45
1.5.1 내재적 언어와 외재적 언어 = 46
1.5.2 보편문법과 개별문법 = 48
1.5.3 절대적 보편성과 상대적 보편성 = 50
1.5.4 보편문법의 연구 방법과 구성 = 54
1.5.5 보편문법과 설명적 타당성 = 59
1.5.6 문법적 능력과 화용적 능력 = 65
1.5.7 문법기술의 모형 = 69
1.5.8 기술문법과 규범문법 = 73
1.5.9 경험과학의 연구방법론 일반 = 75
제2장 음운론
2.1 음성학 = 84
2.1.1 음성학의 종류 = 85
2.1.2 조음음성학 = 86
2.2 음운론 =110
2.2.1 음소 = 111
2.2.2 음절 = 122
2.2.3 초분절 음소 = 124
2.2.4 변별적 자질 = 131
제3장 형태론
3.1 형태소 = 143
3.1.1 형태소의 정의와 종류 = 143
3.1.2 형태소의 분석 방법 = 145
3.1.3 변이형태 = 147
3.2 조어법과 굴곡법 = 153
3.2.1 굴곡접사와 파생접사 = 153
3.2.2 굴곡접사의 문법적의미 = 156
3.2.3 조어법 = 160
제4장 통사론
4.1 통사론 = 167
4.1.1 문장의 구성성분구조 = 167
4.1.2 구절구조 규칙 = 171
4.1.3 형태소 삽입 = 178
4.1.4 변형규칙 = 181
4.2 변형생성문법과 촘스키 이론의 변천 = 188
4.2.1 문법의 발달사 = 188
4.2.2 촘스키 이론의 변천 = 194
제5장 의미론
5.1 의미의 의미 = 226
5.1.1 지시적 의미론 = 227
5.1.2 심리주의 의미론 = 229
5.1.3 의미의 유형 = 231
5.2 어휘 의미론 = 243
5.2.1 어휘장 이론 = 243
5.2.2 성분 분석 = 251
5.2.3 어휘 구조 = 253
5.3 논리와 의미 = 264
5.3.1 명제논리 = 265
5.3.2 술어논리 = 278
5.4 화용론 = 289
5.4.1 화행 = 290
5.4.2 전제 = 295
5.4.3 함축 = 298
제6장 언어의 계통과 변화
6.1 언어의 계통적 분류 = 307
6.2 언어의 변화 = 321
6.2.1 음운의 변화 = 324
6.2.2 문법의 변화 = 326
6.2.3 의미의 변화 = 336
제7장 언어학의 인접 과학
7.1 심리언어학 = 348
7.2 언어철학 = 357
7.2.1 첫째 유형의 경우 = 358
7.2.2 둘째 유형의 경우 = 361
7.3 사회 언어학 = 366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