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출문 = 1
1. 서론 = 1
1.1. 국어 실태 지수의 개념 = 1
1.2. 국어 실태 지수의 필요성 = 1
1.3. 국어 실태 지수 산출 방법 = 2
1.4. 연구 진행 절차 = 3
1.5. 논의의 구성 = 4
2. 국어 실태와 국어 실태 지수 = 5
2.1. 국어 실태 = 5
2.1.1. 국어 실태의 개념 = 5
2.1.2. 국어 실태와 국어 문화 = 6
2.2. 국어 실태 지수 = 10
2.2.1. 지수의 일반 속성 = 11
2.2.2. 국어 실태 지수의 속성 = 13
3. 국어 실태 지수의 구성과 산출 방법 = 17
3.1. 구성과 세부 지표 = 18
3.1.1. 국어 의식 = 18
3.1.2. 국어 능력 = 20
3.1.3. 국어 사용 = 21
3.2. 산출 방법 = 24
3.2.1 국어 의식 = 24
3.2.2. 국어 능력 = 25
3.2.3. 국어 사용 = 25
4. 국어 의식 = 27
4.1. 조사 개요 = 27
4.1.1. 설문지의 구성 = 27
4.1.2. 설문 조사 방법 = 32
4.2. 설문 결과 분석 = 33
4.2.1. 설문 결과 개요 = 33
4.2.2. 응답자 특성별 설문 결과 분석 = 38
4.2.3. 문항별 설문 결과 분석 = 53
4.3. 국어 의식 지수 = 61
4.3.1. 산출 개요 및 방법 = 61
4.3.2. 국어 의식 지수 산출 = 62
4.4. 의의 및 한계 = 64
5. 국어 능력 = 66
5.1. 조사 개요 = 66
5.1.1. 국어능력측정시험의 목적과 지향 = 66
5.1.2. 평가의 일반 원칙 = 68
5.1.3. 평가 내용과 영역 = 68
5.1.4. 평가 방향과 방법 = 71
5.2. 국어능력측정시험 문제 구성과 해설 = 73
5.2.1. 국어능력측정시험 문제 구성 = 73
5.2.2. 국어능력측성시험 문제 해설 = 76
5.3. 조사 결과 = 89
5.3.1. 응시 현황 = 89
5.3.2. 채점 결과에 나타난 주요 특징과 경향 = 92
5.3.3. 통계 자료 및 분석 = 94
5.4. 국어 능력 지수 = 102
5.5. 의의 및 한계 = 102
6. 국어 사용 = 104
6.1. 조사 개요 = 104
6.1.1. 국어 사용의 하위 영역 = 104
6.1.2. 조사 대상 언어 요소 = 105
6.2. 하위 영역별 조사 방법 = 107
6.2.1. 신문 = 107
6.2.2. 방송 = 109
6.2.3. 인터넷 = 111
6.2.4. 상표 = 113
6.2.5. 대중가요 = 114
6.3. 조사 결과 분석 = 115
6.3.1. 신문 기사 = 116
6.3.2. 방송 프로그램명 = 120
6.3.3. 인터넷 게시판 = 121
6.3.4. 상표명 = 123
6.3.5. 대중가요 가사 = 125
6.4. 국어 사용 지수 = 126
6.5. 의의 및 한계 = 129
7. 결론 = 131
붙임 1. 국어 의식 지수 산출 자료 = 137
붙임 2. 국어 능력 지수 산출 자료 = 151
가. 유의 사항 = 153
나. 듣기 대본 = 155
다. 문제지 = 163
붙임 3. 국어 사용 지수 산출 자료 = 187
가. 신문 = 189
나. 방송 = 208
다. 인터넷 = 215
라. 상표 = 228
마. 대중가요 =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