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본 연구의 정의 = 6
3. 연구내용 = 7
가.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문헌 연구 = 7
나. 해외 여성정책네트워크 사례 조사 = 8
다. 국내 여성정책네트워크 사례 조사 = 9
라. 국내 여성정책네트워크 구축 위한 제언 = 9
4. 연구방법 = 10
가.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 10
나. 해외 사례조사 = 10
다. 국내 사례조사 = 11
라. 분야별 여성정책네트워크 구축 위한 전문가 자문과 워크숍 = 11
5. 정책적 기대효과 = 11
6. 연구기간 = 12
제Ⅱ장 이론적 배경 = 13
1. 거버넌스 개념의 대두 = 15
2. 정책네트워크의 정의 및 특징 = 18
가. 거버넌스를 위한 실험으로서의 정책네트워크 = 18
나. 정책네트워크의 정의 및 특징 = 19
다. 정책네트워크와 정부위원회의 차이 = 21
3. 정책네트워크 출현의 배경 및 역할 = 24
가. 정책네트워크의 배경 = 24
나. 새로운 참여기제로서의 정책네트워크의 역할 = 25
4. 정책네트워크의 분류 = 26
가. 유럽연합의 정책네트워크 분류 = 26
나. Rhodes의 정책네트워크 분류 = 28
다. Schneider와 Ingram의 정책네트워크 분류 = 28
라. Mingus의 정책네트워크의 분류 = 29
마. Marsh와 Rhodes의 정책네트워크 분류 = 30
5. 정책네트워크 관리 및 운영 = 31
가. 효율적인 정책네트워크를 위한 요소들 = 32
나. 정책네트워크의 관리자의 역할 = 33
다. 네트워크 접근의 단계별 작업 가이드 = 35
라. 네트워크의 장애요인과 극복 전략 = 36
제Ⅲ장 해외 여성정책네트워크 사례 = 37
1. 일본의 여성정책네트워크 = 39
가. 남녀평등추진연계회의 : Liaison Conference for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Egalite Network) = 39
나. 남녀평등한 미래 사회를 위한 패널 : Panel of Future of a Gender-Equal Society = 41
다. 적극적 조치에 대한 패널 : Panel on Positive Action = 43
라. 여성의 도전을 지원하는 패널 : Panel on the Networks to Support Women's Challenges = 44
마. 북경행동강령에 대한 일본의 책무성 증진 코커스 : Beijing Japan Accountability Caucus(Beijing JAC) = 46
2. 피지의 '국가여성발전계획 이행 및 점검위한 태스크 포스 : The National Women's Plan of Action Task-forces' = 46
가. 성 주류화 태스크 포스 : Gender Mainstreaming Task-force = 47
나. 법률 검토 태스크 포스 : Review of Laws Task-force = 47
다. 의사결정의 균형 태스크 포스 : Balancing Decision Making Task-force = 47
라. 소규모 경영 태스크 포스 : Micro Enterprise Development Task-force = 47
마. 여성에 대한 폭력 근절 태스크 포스 : Violence Against Women Task-force = 47
3. 베트남의 여성정책네트워크 = 49
가. 젠더정책자문네트워크 : Network of Gender Consultants = 49
나. 성평등 활동 파트너십 : Gender Action Partnership = 50
4. 호주의 '가정폭력방지를 위한 파트너십 : Partnership Against Domestic Violence' = 51
가. 역사 = 51
나. 목적 = 51
다. 구성 = 51
라. 활동 = 52
마. 기타 사업 = 52
바. 법적, 제도적 근거 = 53
사. 파트너십의 두 번째 단계 = 54
5. 유럽연합의 여성정책네트워크 = 55
가. 性과 고용네트워크 : Gender and Employment Network = 56
나. 보육네트워크 : Childcare Network = 58
다. 가정과 직장의 조화 네트워크 : Families and Work European Network = 59
라. 여성과 남성의 평등대우에 대한 EC법의 적용에 대한 법적 전문가 네트워크 : Network of Legal Experts on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Law on Equal Treatment Between Women and Men = 59
마. 유럽 여성과학자 정책 담당자 네트워크 : 헬싱키 그룹(Helsinki Group) = 60
바. 유럽 여성과학자 플랫폼 : European Platform of Women Scientists = 62
사. 기타 여성정책과 관련한 정책대화(policy dialogue) 기제 = 64
6. 프랑스의 여성정책네트워크 = 65
가. 유럽연합 차원의 네트워크 = 65
나. 지역여성정책을 위한 네트워크 = 66
다. 정책이슈별 네트워크 = 66
7. 도미니카 공화국 '빈곤퇴치를 위한 사회적 자문 : Social Consultancy of the Poverty Reduction Strategy(PRSP)' = 68
가. 설립 = 68
나. 구성 = 68
다. 목적 및 기능 = 68
라. 기대 효과 = 69
마. 주관부처 및 관련 기구의 역할 = 69
바. 활동 = 71
사. 교훈 = 72
제Ⅳ장 국내 여성정책네트워크 사례 = 75
1. 여성부 호주제 폐지위한 민·관 합동 네트워크 : 호주제폐지특별기획단 = 77
가. 추진배경 = 77
나. 추진 경과 = 78
다. 목적 = 78
라. 구성 = 79
마. 활동 = 79
바. 회의 = 80
사. 기획단 운영에서 여성부의 역할 = 86
아. 분석 = 86
2. 여성부 성매매방지대책기획단 = 87
가. 추진 배경 = 87
나. 추진경과 = 88
다. 성매매방지기획단 구성 및 운영 = 89
라. 실무작업팀 회의 결과 = 91
마. 회의 안건 = 93
바. 성매매방지기획단 1차 회의 = 97
사. 분석 = 98
3. 경기도 여성인적자원협의체 = 99
가. 추진배경 = 99
나. 법/제도적 근거 = 99
다. 추진 개요 = 100
라. 분과별 소관과제 및 분과위원 = 101
마. 추진체계 = 103
바. 기대효과 = 103
사. 주요 활동 = 103
아. 분석 = 107
4. 충청북도 여성취업지원협의회 = 109
가. 설치 배경 = 109
나. 구성 = 110
다. 기능 = 111
라. 활동 = 111
마. 공무원의 역할 = 111
바. 성과 = 111
사. 어려운 점 = 112
아. 분석 = 113
5. 충청북도 충북여성포럼 = 113
가. 설치배경 = 114
나. 구성 = 114
다. 활동 = 115
라. 공무원의 역할 = 116
마. 성과 = 116
바. 어려운 점 = 117
사. 분석 = 118
6. 지역사회의 여성폭력방지협의체 = 119
가. 서울시 여성폭력방지 지역별 네트워크 = 119
나. 충청북도 여성상담협의체 = 120
다. 제주도 여성상담협의체 = 121
라. 분석 = 123
7. 광역시도 여성정책전담부서의 정책네트워크 = 124
제Ⅴ장 국내 여성정책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쟁점 및 제언 = 131
1. 해외 여성정책네트워크 사례를 통한 시사점 = 133
가. 정책네트워크의 주제 및 구성 = 133
나. 정책네트워크 주관부서/기구의 역할 = 135
다. 정책네트워크 운영 방식 = 136
2. 정책네트워크의 쟁점과 관련한 제언 = 137
가. 기존의 대표적인 민간 참여기제 - 정부 위원회 - 의 한계 = 137
나. 시민 참여의 의미 = 140
다. 시민 참여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와 파트너십 = 141
제Ⅵ장 결론 = 153
참고문헌 = 161
부록 = 169
부록 1. 정책네트워크 보충 사례 = 171
부록 2. 국내 광역자치단체 및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전화 인터뷰지침 = 178
부록 3. 해외 사례조사 질문 = 179
부록 4. 인터넷을 통한 사례조사 대상자 명단 =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