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내용 = 4
가. 여성정책정보화에 대한 개념적 논의 = 4
나. 여성정책 정보전달체계 및 수행 업무 분석 = 4
다.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의 모형 및 개발방안 제시 = 4
3. 연구방법 = 5
가. 문헌연구 = 5
나. 설문조사 = 5
다. 여성정책담당자 및 관계 전문가 심층면접 및 자문회의 = 7
라. 국내외의 정책정보전달시스템의 사례분석 = 8
4. 연구의 제한점 = 8
제Ⅱ장. 이론적 배경 = 9
제1절 여성정책과 여성정보화 = 11
1. 여성정책의 개념 및 추진체계 = 11
가. 여성정책의 기본개념 = 11
나. 여성정책의 특수성 = 11
다. 여성정책관련 기구 및 조직 = 12
라. 여성정책의 추진체계 = 14
마. 여성정책기본계획의 추진체계 = 14
2. 여성정보화 및 여성정책정보화 = 17
가. 여성정보화 = 17
나. 여성정책정보화 = 19
제2절 전자정부와 지식정보화 = 21
1. 전자정부의 개념 = 21
2. 기존의 정부와 전자정부의 차이점 = 24
3. 전자정부 구현의 문제점과 구현방향 = 26
제3절 정보화 전략계획과 지식관리 = 31
1. 여성정보화 전략계획(ISP) = 31
2. 지식관리시스템(KMS) = 34
가. KMS의 개념과 성격 = 34
나. KMS의 추진전략 = 36
다. 우리나라의 정부지식관리시스템 = 38
3. 정책정보종합관리시스템 = 41
가. 정책정보종합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 = 41
나. 정책정보종합관리시스템의 특성 = 42
다. 정책정보종합시스템의 내용 = 43
제4절 시사점 = 46
제Ⅲ장. 여성정책정보 전달체계 분석 = 49
제1절 여성정책정보 전달체계 현황 = 51
1. 여성정책업무의 내용 = 51
2. 여성정책업무 수행환경 = 54
가. 여성정책업무의 수행과정 = 55
나. 여성정책업무수행의 장애요인 = 57
다. 여성정책정보관련 웹 사이트 운영현황 = 59
3. 여성정책정보 수집현황 = 62
가. 여성정책정보수집의 용이성 = 62
나. 여성정책정보의 획득경로 = 63
다. 온라인상의 여성정책정보소스 = 66
4. 여성정책업무관련 인터넷활용 현황 = 68
가. 여성정책정보의 제공여부 = 68
나. 여성정책업무관련 인터넷활용 현황 = 69
제2절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의 필요성과 활용가능성 = 75
1. 여성정책정보의 공유현황 = 75
2. 여성정책정보의 관리 = 77
3.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78
4.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을 통해 얻고자 하는 정보 = 79
5.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에 대한 기대 = 84
6. 시사점 = 86
제Ⅳ장. 사례분석 = 89
제1절 국내사례 = 91
1. 농림부 = 91
가. 농림지식관리시스템의 개념 = 91
나. 현황 = 92
다. 문제점과 개선방안 = 95
2. 노동부 = 101
가. 노동부 지식관리시스템의 개념 = 101
나. 현황 = 101
다. 지식활동 우수자 선정계획 = 103
3. 시사점 = 105
제2절 국외사례 = 106
1. 호주의 여성정책정보 네트워크 = 106
2. 호주의 여성네트워크 = 108
3. 호주의 지방정부 네트워크 = 110
4. 시사점 = 113
제Ⅴ장.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의 개발방향 = 115
제1절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 모형 = 117
1.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의 필요성 = 117
2.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의 개발전략 = 119
3.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 모형 및 활용방안 = 121
제2절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 개발방안 = 124
1. 법·제도적 기반 마련 = 124
2. 여성정책정보의 명확화 = 125
3. 여성정책업무의 표준화 = 126
4. 실시간 활용을 위한 기반 마련 = 127
5.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재원 확충 = 128
6. 시스템 운영을 위한 인력 및 조직의 구성 = 129
7. 평가체계 확립 = 130
제Ⅵ장. 결론 = 133
참고문헌 = 141
부록 = 145
부록 1. 16개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과제 현황 = 147
부록 2. 여성정책정보 전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설문지 =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