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0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882349 | |
005 | 20100806093339 | |
007 | ta | |
008 | 040305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80071124 ▼g 93330 : ▼c \12000 | |
035 | ▼a KRIC09236636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9 | 1 | ▼l 111286309 ▼l 111286310 |
082 | 0 4 | ▼a 419 ▼2 21 |
090 | ▼a 419 ▼b 2004 | |
100 | 1 | ▼a 이준우 ▼0 AUTH(211009)36068 |
245 | 1 0 | ▼a 수화통역 입문 / ▼d 이준우 저. |
246 | 0 1 | ▼a Introduction to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
260 | ▼a 서울 : ▼b 인간과복지 , ▼c 2004. | |
300 | ▼a 297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색인 : p.297 | |
504 | ▼a 참고문헌 : p.269-296 | |
536 | ▼a 이 책은 2003학년도 나사렛대학교 학술 연구비 지원을 받아 저술되었음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9 2004 | Accession No. 1112863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9 2004 | Accession No. 1112863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준우(지은이)
목사이면서 교수이고 사회복지사이다. 대학시절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마주한 청각장애인들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장애인과 함께하는 사회복지실천, 교회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지역사회복지실천에 헌신해왔다. 1989년 사단법인 베데스다선교회 교육간사로 출발해,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충현교회 청각장애인(에바다)부 지도교역자로,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사무국장으로, 1997년부터 2012년까지 남서울은혜교회 장애우위원회 지도목사를 역임하며 교회사회복지실천에 헌신하였다. 2016년부터는 지구촌교회 협동목사로 섬기고 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및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로 있으면서 ‘사람과 세상을 변혁시키며 행복을 창출하는데 기초가 되는 연구자로서의 삶’을 지향하며 사회복지 전문인력과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실천경험을 바탕으로 한 강의와 저술활동을 통해 보다 많은 이들에게 ‘크리스천 사회복지인(人)’으로서의 선한 영향력을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비전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라고 생각하며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회복지사, 열정이 넘쳐나는 수화통역사, 능력 있는 말씀을 선포하는 목사, 고뇌하며 연구하여 가르치는 교수로 활발히 활동해온 경험을 살려 삶 속에서 ‘복지선교’와 ‘복지목회’, ‘복지경영’, ‘수화언어 연구’ 사역을 소명으로 실천해나가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일러두기 = 7 책을 내면서 = 9 제1부 언어로서의 수화와 수화통역 = 17 제1장 한국수화의 이해 = 25 제2장 수화와 농 사회, 농 문화, 농 정체성 = 39 제3장 수화통역의 가치와 역사적 배경 = 77 제2부 수화통역의 기반 = 105 제4장 수화통역의 모델 = 111 제5장 언어능력과 지식기반 = 119 제6장 수화통역의 기술과 과정 = 127 제7장 언어적, 비언어적 요인 = 135 제3부 수화통역의 형태 = 137 제8장 흐름을 중심으로 한 구분 = 141 제9장 기능을 중심으로 한 구분 = 145 제10장 대상을 중심으로 한 구분 = 149 제4부 수화통역의 기술 = 153 제11장 수화통역 현장에 따른 다양한 기법 = 157 제12장 수화통역 기초훈련과 실천 = 173 제13장 수화통역사 양성 교육과정 = 183 제5부 수화통역사의 직무 = 209 제14장 수화통역사의 전문성과 역할 = 213 제15장 수화통역사의 윤리 = 219 제16장 수화통역사의 직무분석 = 239 참고문헌 = 269 색인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