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3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경일
서명 / 저자사항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 김경일...[등저].
발행사항
서울 :   역사비평사 ,   2004.  
형태사항
도판[8]장, 378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역비 동아시아연구 ; 2
ISBN
8976967097
일반주기
찾아보기: p. [363]-378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53]-362
000 00820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882300
005 20100806093209
007 ta
008 040213s2004 ulkaf b 001a kor
020 ▼a 8976967097 ▼g 93910: ▼c \20000
035 ▼a KRIC09138605
040 ▼a 211062 ▼d 211009
049 1 ▼l 111287940 ▼l 111287941 ▼l 192033736
082 0 4 ▼a 325.2530951
090 ▼a 325.2530951 ▼b 2004
245 0 0 ▼a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b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 ▼d 김경일...[등저].
246 0 1 ▼a Korean diaspora in Manchurian citi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260 ▼a 서울 : ▼b 역사비평사 , ▼c 2004.
300 ▼a 도판[8]장, 378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역비 동아시아연구 ; ▼v 2
500 ▼a 찾아보기: p. [363]-378
504 ▼a 참고문헌: p. [353]-362
700 1 ▼a 김경일 ▼0 AUTH(211009)2253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112879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112879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92033736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약헌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912015796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511609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112879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112879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6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92033736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박물관/ 청구기호 약헌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912015796 도서상태 열람불가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5.2530951 2004 등록번호 1511609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만주국 시기 중국 동북 3성의 핵심도시(봉천시, 신경시, 하얼빈시)로 이주한 도시이민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내용이다. 지금까지 만주 지역에 대한 연구가 연변 일대의 농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반면 이 책은 대도시의 조선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이주한인과 현지사회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양상에 주목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윤휘탁(지은이)

서강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위를 받았다. 중국 요녕대학과 남개南開대학에서 각각 고급진수생과 박사후과정Post-doc을 수료했다. 개혁 개방 이후, 특히 소련과 동구 유럽의 붕괴 이후 중국 사회에 출현한 ‘문화열文化熱’과 국가주의에 주목하던 그는 과거에 비판받았던 전통적인 중화주의 정신이 오늘날 현대적으로 다시 계승되고 있음을 깨닫기 시작했다. 2000년부터 ‘사회주의 정신 문명 건설론’과 ‘애국주의’에 관한 글을 발표한 그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연구재단에 몸담게 된 것을 계기로 ‘신중화주의’로 규정할 수 있는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와 한반도 사이의 상관성 문제를 연구했다. 동아대학교 연구교수와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위원을 역임했고, 현재는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만주국 연구>, <중일전쟁과 중국혁명>, <周邊から見た20世紀中國>(공저, 2002),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공저, 2002),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공저, 2004), <한중일이 함께 만든 미래를 여는 역사>(공저, 2005), <동아시아의 역사분쟁>(공저, 2006)이 있다.

김경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덕성여대 교수, 미국의 뉴욕주립대(Binghamton)와 프랑스의 파리 인간과학연구소(Maison des Sciences de L’Homme)에서 후기박사과정, 일본 도쿄대학 경제학부 객원연구원, 미국 버클리대학, 워싱턴대학 교류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사회사와 사회사상, 역사사회학, 동아시아론 등에 관심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한국노동운동사 2, 일제하의 노동운동: 1920-1945』(2004),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2004),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2004), 『이재유, 나의 시대 나의 혁명』(2007),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2012), 『노동』(2014), 『신여성, 개념과 역사』(2017), 『근대여성 12인, 나를 말하다』(2020),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비교 역사의 시각』(2020) 등의 논저가 있다.

임성모(지은이)

일본근현대사 전공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역서] 『변경에서 바라본 근대』(2006, 산처럼) 『전장의 기억』(2002, 이산) 『번역과 일본의 근대』(2000, 이산) 편저 『조선과 만주 총목차 인명색인』(2007, 어문학사)

이동진(지은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한림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학과 사회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공저로 『중국동북연구: 방법과 동향』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등이 있고, 논문으로 「신중국은 학습 중: 『학습(學習)』에 나타나는 건국초기 학습의 풍경들」 「기억 속의 신경 조선인: 기억과 정치 사이」 「민족, 지역, 섹슈얼리티: 만주국의 조선인 ‘성매매종사자’를 중심으로」 「표상으로서의 스포츠: 조만대항경기대회(朝滿對抗競技大會)를 사례로」 「민족과 국민 사이: 1940년의 체육행사에서 나타나는 만주국, 조선인, 공동체」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3
일러두기 = 14
서론 = 15
제1장 개관
 1. 만주 이민사회의 형성 = 28
 2. 이민사회의 구성과 그 특성 = 48
 3. 도시의 민족구성과 직업활동 = 72
제2장 봉천시의 민족구성과 조선인
 1. 봉천시의 형성과 민족구성 = 92
  1) 봉천시의 연혁과 발전과정 = 92
  2) 봉천시의 민족구성과 인구분포상의 특징 = 102
 2. 산업경제 분야의 민족구성 = 112
  1) 민족별 직업분포 현황 = 112
  2) 민족별 상업·금융실태 = 121
  3) 민족별 공업실태 = 131
  4) 민족별 무역 및 물자배급 실태 = 136
 3. 노동 분야의 민족구성 = 145
  1) 민족별 취업 및 노동시간 실태 = 145
  2) 민족별 임금실태 = 151
 4. 보건·사회교육 분야의 민족구성 = 163
  1) 민족별 보건복지 실태 = 163
  2) 민족별 교육실태 = 168
제3장 신경의 조선인 : 이산과 정착 사이
 1. 신경의 도시화 = 174
  1) 장춘의 구도시화 : 현성(縣城) = 174
  2) 철도와 도시화 : 신시가지(철도부속지와 상부지)의 건설 = 176
  3) 국도건설계획 : 신시가지(국도건설계획구역)의 건설 = 183
 2. 신경의 조선인 인구와 거주지역 = 187
  1) 조선인 이민자 수 = 187
  2) 조선인 이민자의 거주지역 = 190
 3. 신경 조선인의 직업과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징 = 200
  1) 신경 조선인의 직업구조 = 200
  2)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성 = 206
 4. 집단으로 통합 : '이중의 통합' = 214
  1) 조선인민회에서 협화회민족분회로 = 216
  2) 도시금융회에서 도시상공금융합작사로 = 223
  3) 보통학교에서 소학교로 = 226
  4) 언론 = 228
 5. 개인으로 통합 = 232
  1) 중등교육 = 233
  2) 고등교육 = 235
  3) 고등관 임용 = 241
 6. 집단으로 분리 = 244
  1) 집단적 통합과 집단적 분리의 이중성 = 244
  2) 교회 = 250
  3) 공동체체험 : 공연, 체육행사, 민족명절 = 253
  4) 동향 또는 동창 연줄망 = 256
 7. 개인으로 분리 : '이중의 배제' = 259
  1) '부정업자(不正業者)' = 259
  2) 민족차별 = 261
  3) 여성 = 263
 8. 귀환자와 잔류자 = 268
제4장 하얼빈의 조선인 사회
 1. 국제도시의 빛과 그림자 = 278
 2. 하얼빈의 도시 형성과 조선인 사회 = 281
  1) 하얼빈의 도시 형성 = 281
  2) 하얼빈의 조선인 사회 = 285
 3. 만주국의 수립과 하얼빈의 변용 = 289
  1) 하얼빈의 확장과 경제권 형성 = 289
  2) 중등철도 접수와 하얼빈 경제권의 쇠퇴 = 294
  3) 군사·정보거점으로서 하얼빈 = 298
 4. 만주국시기의 하얼빈 조선인 사회 = 302
  1) 하얼빈 조선인 사회의 사회인구학적 실태 = 302
  2) 하얼빈 조선인 사회의 제반 활동 = 312
 5. 만주국 체험의 그늘을 찾아서 = 332
결론
 1. 만주 이민사와 도시 이주사 = 336
 2. 도시 조선인 사회의 특징 = 342
 3. 친일·반일과 민족협화 = 346
 4. 잔류와 귀환 = 350
참고문헌 = 353
찾아보기 = 363


관련분야 신착자료

Ivanovna, Din Yuliya (2022)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