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07namccc200325 k 4500 | |
001 | 000000882118 | |
005 | 20100806092817 | |
007 | ta | |
008 | 040407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89790182 ▼g 94330: ▼c \25000 | |
020 | 1 | ▼a 8989790190(세트) |
035 | ▼a KRIC09291855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d 244002 ▼d 211010 | |
082 | 0 4 | ▼a 331.8809519 ▼2 21 ▼a 331.880953 |
090 | ▼a 331.880953 ▼b 2004 ▼c 1 | |
245 | 0 0 | ▼a 한국노동운동사 . ▼n 1 , ▼p 근대 노동자계급의 형성과 노동운동 : 조선후기~1919 / ▼d 강만길 [외저]. |
246 | 1 4 | ▼a (高麗大노동문제연구소)한국노동운동사 |
246 | 3 4 | ▼a 한국노동운동사 |
260 | ▼a 서울 : ▼b 지식마당 , ▼c 2004. | |
300 | ▼a 264 p. : ▼b 삽도 ; ▼c 23 cm. | |
490 | 0 0 | ▼a 한국노동운동사대전집 |
500 | ▼a 공저자: 최윤오, 박은숙, 하원호, 곽건홍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만길 |
700 | 1 | ▼a 최윤오 |
700 | 1 | ▼a 박은숙 |
700 | 1 | ▼a 하원호 |
700 | 1 | ▼a 곽건홍 |
710 | ▼a 고려대학교 . ▼b 노동문제연구소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1128488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5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112884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113376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410354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511630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1128488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05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112884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113376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410354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1.880953 2004 1 | 등록번호 1511630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강만길(지은이)
1933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에 일제강점 말기와 해방정국을 경험하며 역사공부에 뜻을 두게 되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일하다 1967년 고려대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72년 ‘유신’ 후 독재정권을 비판하는 각종 논설문을 쓰면서 서서히 현실비판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광주항쟁 직후 항의집회 성명서 작성과 김대중으로부터의 학생선동자금 수수 혐의 등으로 구금되었다가 고려대에서 해직되었다. 1984년 4년 만에 복직하여 강단으로 돌아온 이후 정년퇴임하는 1999년까지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저술활동을 통해 진보적 민족사학의 발전에 힘을 쏟았으며, 2001년 상지대학교 총장을 맡아 학교운영 정상화와 학원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대중정권부터 노무현정권까지 약 10년간 통일고문을 역임했고,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 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0년 역사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 내일을 여는 역사 』 를 창간해 지금까지 발간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하원호(지은이)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학과 석사.박사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한국근대경제사연구>, <일제말 조선사회와 민족해방운동> 등이 있다.
곽건홍(지은이)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에 학예연구관으로 입사,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에 근무하면서 기록관리 혁신에 참여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기록관리과장,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기록수집과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남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록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가기록관리위워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아카이브와 민주주의, 문화유산기관과 문화정치, 기록학의 대중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동아시아의 아카이브 비교연구』, 『일제의 노동정책과 조선노동자』, 『한국 국가기록 관리의 이론과 실제』, 『일상 아카이브의 발견』(공저), 『한국노동운동사 1』(공저) 등이 있다.
최윤오(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학과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논저로는 『한국노동운동사』, 『조선후기 토지소유권의 발달과 지주제』 등의 저서와 「유럽중심주의 역사인식의 반성과 비판」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박은숙(지은이)
전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연구원과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지냈으며, 2016년 현재 고려대학교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근대로 이행하는 시기에 살았던 사람들의 신분과 직업 변화, 갑신정변과 역사의 저편에 묻혀버린 혁명가(행동대원)들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자본주의 세계 체제가 작동하는 가운데 진행된 전통적 도시 공간의 변모와 재편, 도시민 생활과 가치관의 변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전통 사회에서 근현대 사회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역사의 뒤안길에 있었던 상놈(常漢)이 시민사회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재일기』(1891~1911)를 통해 분원의 변화와 사기장 이야기, 격변의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일상사와 흥망성쇠, 백성의 눈에 비친 국가와 시대의 비극, 개인의 삶 속으로 들어온 시대의 폭력 등을 그려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갑신정변 연구』, 『시장의 역사』, 『김옥균, 역사의 혁명가, 시대의 이단아』, 『한국노동운동사』 등이 있고, 번역서로 『추안급국안 중 갑신정변 관련자 심문·진술 기록』이 있다.

목차
[Volume. 1]---------- 목차 총설 = 9 제1장 조선후기 고용노동의 발달과 쟁고(爭雇) 운동 제1절 토지와 노동력의 상품화 = 28 제2절 17·18세기 고용노동의 전개와 발달 = 34 제3절 쟁고(爭雇) 운동과 반봉건투쟁 = 52 제4절 조선후기 고용노동의 성격 = 76 제2장 개항 이후 근대적 노동자층의 생성과 저항 제1절 개항과 경제구조의 변동 = 83 제2절 근대적 임노동자층의 생성과 그 존재형태 = 98 제3절 임금노동자층의 저항운동 = 117 제3장 갑오농민전쟁 이후 노동자의 존재형태와 노동운동 제1절 농민층 분해와 자본주의적 관계의 성장 = 153 제2절 노동자층의 존재형태와 근대적 노동운동의 출현 = 186 제4장 1910년대 노동자의 존재형태와 노동운동 제1절 일제의 경제정책과 노동자 존재형태 = 209 제2절 노동운동의 전개와 3·1 운동 = 224 참고문헌 = 244 찾아보기 =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