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와 언어학

언어와 언어학 (3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철수 , 1934- 문무영 , 1941- 박덕유 , 1959-
서명 / 저자사항
언어와 언어학 / 이철수 ; 문무영 ; 박덕유 [공]저.
발행사항
서울 :   역락 ,   2004.  
형태사항
383 p. : 삽도 ; 23 cm.
ISBN
8955562705
일반주기
색인: p. [375]-383  
부록: 국제음성기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67]-374
000 00814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881526
005 20100806091624
007 ta
008 040521s2004 ulka 001a kor
020 ▼a 8955562705 ▼g 93710: ▼c \14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85939 ▼l 111285940
082 0 4 ▼a 401 ▼2 21
090 ▼a 401 ▼b 2004j
100 1 ▼a 이철수 , ▼d 1934- ▼0 AUTH(211009)94055
245 1 0 ▼a 언어와 언어학 / ▼d 이철수 ; ▼e 문무영 ; ▼e 박덕유 [공]저.
260 ▼a 서울 : ▼b 역락 , ▼c 2004.
300 ▼a 383 p. : ▼b 삽도 ; ▼c 23 cm.
500 ▼z 색인: p. [375]-383
500 ▼a 부록: 국제음성기호
504 ▼a 참고문헌: p. [367]-374
536 ▼a 이 저서는 2003년도 인하대학교 저서발간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발간되었음.
700 1 ▼a 문무영 , ▼d 1941- ▼0 AUTH(211009)66403
700 1 ▼a 박덕유 , ▼d 1959- ▼0 AUTH(211009)12098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04j 등록번호 1112859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 2004j 등록번호 1112859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학의 깊은 이론이나 어려운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언어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도록 엮었다. 그리고 언어학의 기초적인 문제에 초점을 두어 대학생이면 누구나 敎養人으로서 갖추어야 할 학문의 基底가 될 수 있는 내용을 선택하여 집필하였다.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는 하루도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 언어가 있으므로 사회 안에서 인간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사회생활 속에서 각자 맡은 바 일을 추진해 나가는 것도 언어를 가지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 없이 생존은 해 나갈 수 있겠지만, 언어 없이 사회생활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언어는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습득되고 학습되는 것으로 인간은 무한한 언어를 생산하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서는 言語學의 깊은 이론이나 어려운 내용보다는 일반적인 언어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도록 엮었다. 그리고 어느 한 나라의 특정한 언어학의 내용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普遍的이고도 一般的인 언어학 내용을 이해하도록 했으며, 언어학의 기초적인 문제에 초점을 두어 대학생이면 누구나 敎養人으로서 갖추어야 할 학문의 基底가 될 수 있는 내용을 선택하여 집필하였다.
언어는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을 원활하게 해주는 수단이 되며, 언어학은 언어에 관한 연구로 여러 인접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정신생활에서도 기본적인 역할을 추구하며, 인간의 사회생활과 문화생활을 보다 풍요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서는 그 자체로서 가치를 가질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덕유(지은이)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문법 관련 저서 『국어의 동사상 연구』(1998) 『문법교육론』(1998) 『중세국어강해』(1999) 『문법교육의 탐구』(2002) 『학교문법론의 이해』(2006, 2009, 2012) 『한국어의 相 이해』(2007) 『중세국어문법의 이론과 실제』(2010, 2012, 2018) 『언어와 언어학』(2010) 『한국어문법의 이론과 실제』(2013) 『한국어학의 이해』(2016) 『이해하기 쉬운 문법교육론』(2017)

이철수(지은이)

<국어사의 연구>

문무영(지은이)

仁荷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대우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인간과 언어 = 11
 1.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 = 11
 2. 언어의 기원 = 16
제2장 언어와 언어학 = 29
 1. 언어의 정의와 특성 = 29
 2. 언어의 기능 = 39
 3. 언어학 = 47
제3장 언어의 음성구조 = 53
 1. 음성학의 개념과 유형 = 53
 2. 음성기관 = 58
 3. 언어음의 표시 = 60
 4. 모음체계 = 63
 5. 자음체계 = 72
 6. 음소 = 78
 7. 음절 = 80
 8. 운소 = 84
 9. 변별적 자질 = 94
제4장 언어의 형태구조 = 99
 1. 형태 = 99
 2. 형태소 = 103
 3. 형태음소 = 120
 4. 단어 = 125
 5. 단어형성 = 129
제5장 언어의 통사구조 = 149
 1. 통사론의 개념과 성격 = 149
 2. 전통적인 연구방법 = 150
 3. 구조주의 연구방법 = 155
 4. 변형-생성론 연구방법 = 164
제6장 언어의 담화구조 = 179
 1. 담화의 구성과 기능 = 179
 2. 장면에 따른 표현과 이해 = 181
 3. 담화분석 = 185
 4. 담화의 해석과 구성요소 = 191
제7장 의미론 = 205
 1. 의미 = 205
 2. 여러 가지 의미 유형 = 207
 3. 의미의 구조 = 213
 4. 의미변화 = 234
 5. 의미론 = 240
제8장 어휘와 어휘론 = 245
 1. 어휘 = 245
 2. 어휘의 연구 = 250
 3. 어휘의 체계 = 251
 4. 어휘의 계량 = 264
제9장 외래어원의 차용 = 273
 1. 언어적 차용 = 273
 2. 차용의 유형 = 279
 3. 차용의 영향 = 285
제10장 문자와 표기법 = 287
 1. 문자언어 = 287
 2. 문자의 발달 = 292
 3. 문자체계의 유형 = 301
 4. 문자소 = 304
 5. 정서법 = 305
제11장 지역 및 사회적 방언 = 309
 1. 방언의 성격 = 309
 2. 방언의 유형 = 314
 3. 방언의 연구 = 315
 4. 사회적 변이 = 321
제12장 언어의 변화 = 329
 1. 언어의 변천 = 329
 2. 언어변화의 유형 = 331
 3. 역사언어학 = 340
제13장 언어의 유형과 계통 = 351
 1. 유형적 분류 = 352
 2. 계통적 분류 = 361
부록 - 국제음성기호 = 364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37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