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개정판

거시경제학 개정판 (5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오상근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오상근 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4.  
형태사항
xvi, 462 p. : 챠트 ; cm.
ISBN
8910204540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50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80487
005 20100806084959
007 ta
008 040510s2004 ulkd 1a kor
020 ▼a 8910204540 ▼g 93320 : ▼c \25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21094526 ▼f 과학 ▼l 121094527 ▼f 과학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4
100 1 ▼a 오상근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오상근 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4.
300 ▼a xvi, 462 p. : ▼b 챠트 ; ▼c cm.
500 ▼a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4 등록번호 1210945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4 등록번호 1210945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오상근(지은이)

<합리적 부채비율 조정방안>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소개
  1. 거시경제학 소개 = 5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5
  2. 기초 개념 및 분석도구 = 7
   수요와 공급 = 8
   곡선의 이동 대 곡선상의 이동 = 9
   균형과 균형의 변화 = 10
    방법론 : Heuristics = 13
 제2장 거시경제활동의 측정
  1. 재화시장 = 19
   국내총생산(GDP) = 19
    GDP와 GNI간의 관계 = 23
    지하경제(underground economy) = 24
   물가 = 25
    물가지수계산 예 = 27
  2. 노동시장 = 29
   실업 = 29
  3. 금융시장 = 30
   통화량 = 30
   이자율 = 30
  4. 외환시장 = 31
   국제지수와 환율 = 31
    돈가치 = 33
    유용한 개념 = 33
 제3장 거시경제학의 기본모형
  1. 총수요와 총공급의 원리 = 41
   총수요곡선과 곡선의 이동요인 = 41
   총공급곡선과 곡선의 이동요인 = 42
  2. 저축과 투자 = 44
  3. 모형의 적용 = 46
   총수요곡선의 이동효과 = 46
   총공급곡선의 이동효과 = 47
   장기 경제성장(순수성장) = 49
   장단기 총공급곡선과 필립스곡선 = 49
   성장과 인플레이션 = 52
   국제수지와 환율의 변동 = 53
   소국경제의 환율 결정과 변동 = 55
  4. 거시경제 학설과 이론적 골격 = 58
   거시경제학의 발전과정 = 58
   이론적 골격 = 62
제2편 경제의 단기변동
 제4장 총수요변화와 국민소득, 이자율
  1. 재화시장과 IS = 74
   단순모형 = 74
    균형조건식의 표현방식 = 75
    승수효과는 요술 방망이인가? 정부는 만능이 아니야! = 79
    주요 심리지표 = 81
    "사회불안이 경제 힘 뺀다" = 82
   이자율, 투자 그리고 IS곡선 = 83
   화폐시장과 LM곡선 = 88
    IS방정식과 LM방정식 = 91
  2. 실물과 화폐부문의 동시균형 = 92
  3. IS-LM모형의 활용 = 93
   '구축효과'우려 높아진다 = 95
  4. 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98
   특수한 형태의 IS-LM곡선의 경우 = 100
   재정정책의 통화량변화효과 = 105
    '화폐'=돈이란 = 111
    자본의 성격 = 114
 제5장 단기의 개방거시모형
  1. 개방경제의 중요성 = 125
   해외요인의 중요성 = 125
   국제수지계정과 측정원리 = 126
   항등관계로부터 얻어지는 사실들 = 126
    무역 손실액 사상최대 = 128
  2. 소국개방경제의 단기모형 = 129
   개방경제 IS-LM모형 : 먼델-플레밍 모형 = 129
   소국개방경제의 IS곡선 = 131
    이자율평가이론(interest parity condition)의 활용 = 132
   소국개방경제의 LM곡선 = 133
  3. 모형의 활용 = 134
   소국경제의 환율 및 국민소득 결정 = 134
   소국경제 분석 = 136
   국가위험과 환율의 과민반응 = 144
   물가의 변동 = 145
    美쌍둥이 적자, 환율위협 = 147
    '재정, 경상수지 적자'=쌍둥이 적자 = 148
    IMF정책의 실패와 교훈 = 149
    금융위기와 IMF처방 = 150
 제6장 총수요·총공급과 경제변동
  1. 총공급의 역할 = 160
   총공급곡선의 형태와 의미 = 160
  2. 단기총공급곡선의 형태에 대한 이론적 모형 = 163
   경직적 임금모형 = 163
   노동자 착각모형 = 166
   불완전 정보모형 = 169
   경직적 가격모형 = 171
   불완전 정보모형과 경직적 가격모형의 시사점 = 172
  3. 총수요·총공급 일반균형 = 174
   IS-LM, AD-AS분석의 종합적 이해 = 174
   총수요·총공급 변화와 물가-산출 변동 = 179
   총공급관리정책 = 186
 제7장 기대변수의 도입과 단기변동
  1. 기대변수의 역할과 여러 학설 = 194
   기대의 역할 = 195
   기대형성에 관한 가설 = 195
    동태적 분석의 예비지식 = 200
  2. 기대변수가 첨가된 AD-AS모형 = 202
   동태적 총수요·총공급 곡선 = 202
  3. 응용 = 204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총수요 확대효과 = 205
   기대와 자연실업률가설 : 정책무력성 정리 = 209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의 영향 = 211
  4. NCM과 NKM의 정책효과의 차이 = 213
   신고전학파(NCM) : 가격신축성+합리적 기대가설 = 213
   신케인즈학파(NKM) : 가격비신축성+합리적 기대가설 = 213
   예상치 못한 정책의 효과 = 216
   확장적 정책이 총생산을 하락시킬 수 있을까 = 216
   전통적 모형과 새로운 모형의 비교 = 217
   정책적 시사점 = 220
제3편 동태적 경제문제와 안정화 정책
 제8장 인플레이션, 실업 및 불황
  1.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 232
   인플레이션의 원인 = 233
  2.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236
   부와 소득분배의 왜곡 = 238
   실질 경제활동의 왜곡 = 239
  3. 인플레이션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 = 240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한 논란 = 240
    초 인플레이션의 역사 = 242
    근원(핵심) 인플레이션(core inflation) = 244
  4. 실업과 인플레이션간의 관계 : 필립스곡선 = 245
   필립스곡선의 정책적 의미는 : 상충관계 = 245
    Jobless Recovery = 248
  5. 불황과 침체 = 250
   deflation의 정의 = 251
   디플레이션의 발생과 지속 = 251
    Deflation에 대한 IMF 2003년 보고서 = 254
    이력효과/이골현상/기억효과 = 258
    디플레 과잉경고는 '기우' = 259
    유동성 함정 사례 = 260
 제9장 경기변동
  1. 경기변동의 중요성 = 267
   경기변동의 중요성 = 267
  2. 경기변동의 정의 및 측정 = 268
   경기변동의 정의 = 268
   경기변동의 특징 = 270
  3. 경기변동이론 = 271
   경기변동이론의 발전 = 272
    투자와 경기변동 = 284
 제10장 안정화 정책
  1. 안정화 정책 논란 = 290
   적극론과 소극론 = 290
   목표와 수단간의 관계 = 291
  2. 안정화 정책은 왜 성공하기 힘든가 = 291
   달성시간과 수단의 적합성 = 292
   불확실성과 정책시행상의 시차 = 293
   루카스 비판 : 무지와 기대의 변득에 따른 어려움 = 294
  3. 정책수행의 방식 = 295
   원칙과 자유재량 = 295
   원칙과 재량의 조화 = 297
    Taylor 원칙 = 305
  4. 안정화 정책으로서의 통화정책 = 308
   경기대응적 정책의 필요성 = 308
   인플레이션 억제비용 = 309
   고통없는 인플레이션 억제정책 = 309
    고통없는 인플레이션 억제정책은 가능한가 = 312
   선제적 통화정책의 필요성 = 313
    정보통신(IT)기술혁신과 통화정책 = 314
    통화정책 바로 알자 = 316
  5. 재정정책의 안정화 기능 = 324
   자동안정장치 = 324
   반론 : 리카디언 등가원리 = 326
    우리나라 재정정책의 개선방향 = 329
    재정의 경기조절기능 강화 필요성 = 330
    경제이슈 = 331
    정부역할의 재정립 = 333
    정부적자와 정부부채 = 335
   결론 = 337
 제11장 경제성장
  1. 경제성장의 요인 = 346
   자본축적 = 346
    안정상태(steady state)란 = 346
   성장회계 = 347
  2. 솔로우 성장모형 = 349
   기본가정 = 350
    성장률 격차의 의미 = 355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 357
   안정상태와 소비의 황금률조건 = 358
  3. 내생적 성장이론 = 360
  4. 여타의 모형들 = 364
   남은 과제 = 364
    최근의 연구동향 : 인구, 지리적 요인 및 제도와 성장 = 365
    성장을 위한 투자촉진책 = 366
   일시적 자본생산성의 변화 = 367
   지속적인 생산성의 변화 = 367
    잠재성장률 = 368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문제 = 369
제4편 미시적 기초
 제12장 재화시장
  1. 소비와 저축 = 381
   이론적 발전 = 381
   남은과제 = 394
    소비함수와 관련된 논쟁 = 395
    소비-저축과 거시적 문제 = 396
    최근의 가계저축률 변화추이와 하락요인 = 397
  2. 투자 = 399
   투자의 정의와 분류 = 399
   투자의 결정요인 분석 = 400
 제13장 노동시장
  1. 노동공급이론 = 411
   노동공급의 결정요인 = 411
  2. 공급곡선과 수요곡선 = 413
   노동공급곡선 = 413
   노동수요곡선 = 415
  2. 실업이론 = 416
   실업의 정의 = 417
   실업의 유형과 발생원인 = 419
   실업의 해소책 = 422
   실업이론 = 423
   자연실업률의 결정 = 424
   기타 실업이론 = 425
 제14장 화폐시장
  1. 화폐의 정의 = 431
   화폐의 의미 = 431
   기능에 따른 정의 = 432
   통화지표에 따른 정의 = 434
  2. 화폐의 수요 = 437
   화폐수요와 거시경제학 체계 = 437
   거래적 화폐수요 이론 = 438
   현금의 재고론적 이론 = 439
  3. 화폐의 공급 = 441
   민간, 은행 및 중앙은행의 합작품 = 441
  4. 거시적 연관성 = 445
   유통속도의 안정성 = 445
   통화공급의 내생성 문제 = 446
색인 = 45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