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70c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880220 | |
005 | 20230103115051 | |
007 | ta | |
008 | 040417s2004 ulk 001a kor | |
020 | ▼a 8995467010 ▼g 93330 : ▼c \19000 | |
035 | ▼a KRIC09267029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85755 ▼l 111285756 |
082 | 0 4 | ▼a 371.335 ▼2 22 |
090 | ▼a 371.335 ▼b 2004 | |
100 | 1 | ▼a Buckingham, David, ▼d 1954- ▼0 AUTH(211009)40079 |
245 | 1 0 | ▼a 미디어 교육 : ▼b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 ▼d 데이비드 버킹엄 지음 ; ▼e 기선정, ; ▼e 김아미 옮김. |
246 | 1 9 | ▼a Media education :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
260 | ▼a 서울 : ▼b 제이앤북, ▼c 2004. | |
300 | ▼a 352 p. ; ▼c 24 cm. | |
500 | ▼a 부록: 영국의 학교 교육제도 | |
504 | ▼a 참고문헌(p. 329-343)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기선정 |
700 | 1 | ▼a 김아미, ▼d 1977- ▼0 AUTH(211009)112226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71.335 2004 | 등록번호 1112857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35 2004 | 등록번호 1112857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적인 미디어 교육학자 데이비드 버킹엄의 미디어 교육 총론서. 현대 사회의 미디어 교육 분야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미디어 환경의 도전에 교육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교육은 어떻게 하면 미디어 환경 속의 청소년들을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참여자가 되도록 도울 수 있는가?
책은 오늘날 미디어 교육과정이 기초해야 하는 현실적인 원칙과 교수 방법을 제시한다. 미디어 교육이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고, 개념적 틀, 일련의 교육학적 원칙, 다양한 교육과정 안에서의 미디어 교육의 역할을 강조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데이비드 버킹엄(지은이)
청소년 미디어,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미디어 교육, 미디어 교육 정책 등을 연구해 온 세계적인 학자이자 저술가이자 컨설턴트다. 25건이 넘는 연구 프로젝트 책임을 맡았고, 영국 내외 여러 기관의 미디어 교육 정책 자문 위원으로 일했다.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수, 런던대학교 아동·청소년 및 미디어 연구소 소장, 러프버러대학교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직을 역임했다. 현재는 러프버러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서식스대학교 객원 교수, 노르웨이어린이연구소 객원 교수다.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소비자로 키워지는가』(2013)를 비롯해 30여 권의 저서를 집필했고, 220편 이상의 논문과 및 단행본 챕터를 저술했다. 홈페이지(www.davidbuckingham.net)를 통해서도 저술 활동을 활발히 이어 가고 있다.
기선정(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94년부터 미디어 교육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게 됐다. 영국 노팅엄대학 석사를 거쳐, 현재 런던대학교 교육연구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을 내며 = 8 서문 = 10 제1부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 제1장 왜 미디어를 가르치는가? = 17 미디어란 무엇인가? = 17 미디어 교육이란 무엇인가? = 18 왜 미디어 교육인가? = 20 영국 미디어 교육의 발전 양상 = 22 아이들의 문화 끌어들이기와 보호주의적 관점 = 27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 31 앞으로 나아가기 : 교수와 학습 = 35 앞으로 나아가기 : 좀더 큰 맥락에서 = 37 계속되는 이야기 = 39 제2장 뉴미디어 시대의 아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 42 아동기와 미디어 = 43 변화하고 있는 아동기 = 46 테크놀로지 = 49 경제 = 53 텍스트 = 56 수용자 = 60 교육에 던지는 시사점 = 63 제3장 미디어 리터러시 = 68 리터러시의 정의 = 70 리터러시의 사회적 이론 = 73 미디어 리터러시 지도 그리기 = 75 마술의 창을 넘어서 = 79 사실주의의 문제 = 82 평가의 한계 = 86 왜 리터러시인가? = 88 제2부 미디어 교육의 실제 제4장 미디오 교육의 영역과 적용 = 95 제작 = 96 언어 = 99 재현(혹은 표상) = 101 수용자 = 104 주요 개념의 실제 활용 = 107 결론 : 몇 가지 일반적인 원칙들 = 115 제5장 교수·학습 전략 = 121 텍스트 분석 = 122 맥락 분석 = 126 사례연구 = 129 변형 = 133 시뮬레이션 = 135 제작활동 = 139 결론 = 144 제6장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교육 = 146 독립교과 형태의 미디어 교육 : 미디어 연구 = 147 통합교과 형태의 미디어 교육 = 150 언어나 문학교육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교육 = 156 미디어 교육과 정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ICTs) = 160 직업훈련 과정으로서의 미디어 교육 = 163 학교 밖의 미디어 교육 = 165 결론 = 169 제3부 미디어 학습 제7장 '비판적'으로 변해 가는 아이들 = 175 '비판'의 사회적 기능 = 178 비판적 언어 게임 = 180 '이데올로기'에 접근하기 = 186 비판적 담론 배우기 = 193 비판을 넘어서? = 195 제8장 '창의성'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의미 = 201 변하고 있는 교실활동 = 204 '창의성'의 한계 = 207 미디어 제작의 사회적 특성 = 209 미디어 쓰기(미디어 제작) = 213 장르를 이용한 제작활동 = 218 결론 = 222 제9장 미디어 교육론 = 228 개념적 학습의 이해 = 229 역동적인 학습이론을 찾아서 = 234 수용자 연구 : 사회적 자아 = 238 자기평가 : 실제에서 이론으로 = 244 학습이론을 넘어서 = 250 제4부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제10장 정치학, 즐거움, 그리고 놀이 = 255 포스트모던 정체성? = 257 재미있고 즐거운 교육 = 262 패러디의 정치학 = 267 즐기면서 배운다? = 274 결론 = 277 제11장 디지털 리터러시 = 281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하여 = 284 디지털 제작의 모델 = 290 '접근'의 의미 = 293 과정과 결과 = 297 테크놀로지와 교육학 = 301 제12장 새로운 학습의 장 = 305 학교 밖 미디어 교육 = 308 미디어와 청소년 문화활동 = 313 미디어와 '비공식적' 학습 = 317 평가 = 322 탈학교를 향하여? = 325 참고문헌 = 329 책임번역자의 말 = 344 찾아보기 = 347 부록 : 영국의 학교 교육제도 =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