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경제학 입문 第2版

경제학 입문 第2版 (Loan 4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심경섭 이성현 정원덕 지광식 한종수
Title Statement
경제학 입문 / 심경섭...[등]저.
판사항
第2版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博英社 ,   2004.  
Physical Medium
470 p. : 삽도 ; 25 cm.
ISBN
8910204567
General Note
색인: p. 461-470  
000 00663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879984
005 20100806083659
007 ta
008 040430s2004 ulka 001a kor
020 ▼a 8910204567 ▼g 93320 : ▼c \22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81920 ▼l 111281921
082 0 4 ▼a 330 ▼2 21
090 ▼a 330 ▼b 2004b
245 0 0 ▼a 경제학 입문 / ▼d 심경섭...[등]저.
250 ▼a 第2版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4.
300 ▼a 470 p. : ▼b 삽도 ; ▼c 25 cm.
500 ▼z 색인: p. 461-470
700 1 ▼a 심경섭 ▼0 AUTH(211009)39506
700 1 ▼a 이성현
700 1 ▼a 정원덕
700 1 ▼a 지광식
700 1 ▼a 한종수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 2004b Accession No. 1112819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 2004b Accession No. 1112819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심경섭(지은이)

단국대학교에서 경영학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그리고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자의 전공분야는 화폐금융론, 국제금융론이며, 미시경제분야인 국제무역론, 공공경제학 그리고 사회적 기업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최근의 저서로는 「화폐금융론」(2009), 「국제무역의 이론과 정책」(2009), 「경제학원론」(2010) 그리고 「국제금융론」(2010) 「미시경제학」(2011), 「경제학원론 연습문제 풀이집」(2013) 등과 다수의 논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경제무역학부장, 산업연구원장, 그리고 경영대학원장, 경제사회 발전 노사정위원회 상무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경제학과 명예 교수로 재직중이고, 중국 길림대학교 초빙교수, 중국 칭화대학교 서울캠퍼스 자문교수, 정보통신대학교 이사, 건양대학교 외래교수 그리고 한국사회적기업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사법시험 출제 및 시험위원, 행정고시 출제위원 및 시험위원 및 면접위원, 외무고등고시 출제 및 위원, 시험위원 및 면접위원, 입법고등고시 출제 및 채점위원, 사무관승진시험 출제 및 시험위원, 중앙인사위원회 사무관 승진시험 출제위원, 국회 5급 승진시험 출제 및 채점위원, 7급 공무원시험 출제 및 시험위원, 각 시·도 공무원 시험 출제위원, 변리사시험 출제위원, 공인노무사 시험 출제위원, 증권분석사 출제위원 및 채점위원, 그리고 각 기관과 기업의 승진 및 입사시험 출제위원을 역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제1절 경제와 경제행위 = 1
 제2절 경제학의 과제 = 4
  1. 경제학의 정의 = 4
  2. 경제학의 기본문제점과 해결방안 = 5
 제3절 경제학의 성격 = 8
  1. 모형과 이론 = 8
  2. 가정의 역할과 추상 = 9
  3. 가설의 설정과 검증 = 10
  4.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 11
  5. 왜 경제학자들 사이에 견해가 다르게 되는가 = 13
 제4절 희소성과 선택의 문제 = 15
  1. 선택의 필요성과 기회비용 = 15
  2. 생산가능곡선 = 17
 제5절 경제학적 사고의 기초 = 19
  1. 이 세상에 공짜는 없다 = 19
  2. 교환은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 = 20
  3. 수요와 공급의 힘을 거스르기는 힘들다 = 20
  4. 마지막 하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아야 한다 = 21
  5. 사람들은 유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 22
  6. 시장은 효율적이지만 완벽하지 않다 = 22
  7. 정부가 유능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문제를 더 악화시키기도 한다 = 23
  8. 효율성과 공평성의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쫓기는 힘들다 = 23
  9. 물가안정과 고용안정을 동시에 달성하기는 어렵다 = 24
제2장 수요와 공급의 이론
 제1절 시장의 역할과 경제적 기능 = 25
 제2절 수요측면 분석 = 27
  1. 수요의 결정요인 = 28
  2. 수요함수와 수요곡선의 도출 = 29
  3.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 = 32
 제3절 공급측면 분석 = 33
  1. 공급의 결정요인 = 33
  2. 공급함수와 공급곡선의 도출 = 34
  3.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 36
 제4절 균형가격의 결정 = 37
 제5절 균형가격의 변화 = 40
  1. 수요의 변화와 균형가격 = 40
  2. 공급의 변화와 균형가격 = 41
  3. 수요와 공급의 동시변화와 균형가격 = 42
 제6절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 44
  1. 탄력성의 개념 = 44
  2. 수요의 탄력성 = 44
  3. 공급의 탄력성 = 50
 제7절 수요와 공급이론의 응용 = 54
  1. 법정가격(가격통제) = 54
  2. 조세에 의한 경제적 영향 = 57
  3. 탄력성과 조세의 귀착 = 59
  4. 자원배분문제 = 61
제3장 소비자행동이론
 제1절 효용과 소비자선호 = 63
 제2절 무차별곡선 분석 = 66
  1. 무차별곡선 = 66
  2. 예산선(가격선) = 72
 제3절 소비자균형조건 = 74
 제4절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76
 제5절 네트워크효과 = 78
  1. 악대차효과 = 79
  2. 속물효과 = 79
제4장 기업의 이론
 제1절 기업의 속성과 유형 = 81
  1. 기업의 속성 = 81
  2. 기업조직의 유형 = 83
  3. 기업의 자금조달 = 85
 제2절 단기생산이론 = 86
  1. 단기와 장기 = 86
  2. 생산함수 = 88
  3. 총생산물, 평균산출물 및 한계산출물 = 89
 제3절 장기생산이론 = 93
  1. 등량곡선과 등비용곡선 = 94
  2. 생산자균형 = 99
  3. 기술진보 = 101
 제4절 단기의 비용이론 = 103
  1. 비용의 개념 = 103
  2. 총비용, 평균비용 및 한계비용 = 106
 제5절 장기의 비용이론 = 109
  1. 장기비용곡선 = 109
  2. 장기평균비용곡선의 형태 = 113
  3. 최장기의 생산 및 비용이론 = 115
제5장 완전경쟁과 독점시장에서의 가격결정
 제1절 완전경쟁시장의 개념 및 형태 = 117
  1. 완전경쟁시장을 이루는 네 가지 시장요소 = 117
  2. 시장구조 = 119
  3. 완전경쟁하의 시장수요곡선과 기업의 수요곡선 = 121
 제2절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균형 = 124
  1. 이윤극대화 = 124
  2.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127
 제3절 완전경쟁기업의 장기균형 = 130
  1. 장기균형 = 130
  2. 장기에서의 진입·퇴출조건 = 131
 제4절 독점의 특징과 형성원인 = 133
  1. 독점의 특징 = 133
  2. 독점의 형성원인 = 135
 제5절 독점하의 가격과 생산량결정 = 136
  1. 독점기업의 수요곡선 = 136
  2. 독점기업의 단기균형 = 139
 제6절 독점과 가격차별 = 141
  1. 가격차별의 성립요건 = 142
  2. 가격차별의 경제적 효과 = 143
  3. 가격차별의 예 = 144
  4. 완전경쟁과 독점의 비교 = 145
제6장 독점적 경쟁과 과점시장에서의 가격결정
 제1절 독점적 경쟁의 의의 = 147
  1. 독점적 경쟁의 정의 = 147
  2. 독점적 경쟁기업의 수요곡선 = 150
 제2절 독점적 경쟁기업의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 151
  1. 단기균형 = 151
  2. 독점적 경쟁기업의 장기균형 = 152
 제3절 과점시장 = 154
  1. 과점의 정의 = 154
  2. 과점의 특징 = 155
 제4절 과점이론의 가격결정 = 157
  1. 굴절수요곡선이론 : 비담합과점 = 157
  2. 카르텔의 이론 : 담합과점 = 160
  3. 비가격경쟁 = 163
  4. 게임이론 = 164
  5. 경매의 이론 = 166
 제5절 한국의 독과점규제와 경제력집중의 억제 = 169
 제6절 재벌개혁 = 172
제7장 요소시장에서의 가격결정
 제1절 소득분배의 이론 = 173
  1. 기능별 소득분배 = 173
  2. 계층별 소득분배 = 174
  3. 소득분배불균등의 요인 = 178
 제2절 완전경쟁하에서 요소가격결정 = 179
 제3절 불완전경쟁하에서 요소가격결정 = 181
  1. 재화시장에서의 독점 = 181
  2. 요소시장에서의 독점 : 수요독점 = 183
 제4절 생산요소에 대한 가격결정 = 186
  1. 지대의 결정 = 186
  2. 경제지대와 이전수입 = 187
  3. 준지대 = 189
 제5절 노동시장에 대한 가격결정 = 191
  1. 완전경쟁하에서의 임금결정 = 191
  2. 불완전경쟁하에서의 임금결정 = 193
제8장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실패
 제1절 시장기구의 실패 = 199
  1.시장의 불완전성 = 199
  2. 외부효과 = 200
  3. 정보의 비대칭성 = 201
  4. 공공재 = 202
  5. 소득분배의 불공평 = 203
 제2절 정부의 실패 = 204
 제3절 조세와 조세부담원칙 = 206
  1. 조세의 종류와 조세형평원칙 = 206
  2. 우리 나라의 재정과 정부지출 = 210
제9장 거시경제학의 목표와 국민소득의 개념
 제1절 거시경제학의 목표 = 213
  1. 경제성장 = 213
  2. 완전고용 = 214
  3. 물가안정 = 215
  4. 국제수지의 균형 = 216
 제2절 산출물과 소득의 순환 = 217
  1. 민간부문 모형에서의 경제의 순환 = 217
  2. 확대된 국민소득순환 모형 = 219
 제3절 국민소득의 기초개념 = 220
  1. 국내총생산(GDP) = 220
  2. 명목 GDP와 실질 GDP = 223
  3. 실질 GDP와 잠재 GDP = 226
  4. GDP 디플레이터 = 227
 제4절 GDP의 측정과 3면등가의 원칙 = 228
  1. 지출에 의한 접근방법 = 228
  2. 생산요소들에 의한 접근방법 = 231
  3. 최종생산물의 흐름에 의한 접근방법 = 232
 제5절 총생산지표 = 235
  1. 국민총생산(GNP) = 235
  2. 국내순생산(NDP) = 236
  3. 국민순생산(NNP) = 236
  4. 국민소득(NI) = 237
  5. 개인소득(PI) = 238
  6. 개인가처분소득(PDI) = 238
 제6절 물가지수 = 239
제10장 국민소득결정이론
 제1절 소득-지출분석 = 243
  1. 개요 = 243
  2. 총수요 : 소비수요와 투자수요 = 244
 제2절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 250
  1. 총지출과 총공급에 의한 국민소득결정 = 250
  2. 총지출선의 이동 = 252
  3. 저축과 투자에 의한 국민소득결정 = 255
  4. 승수원리 = 257
제11장 금융과 금융기관론
 제1절 금융제도와 금융시장 = 259
  1. 직접금융과 간접금융 = 259
  2. 금융시장 = 261
  3. 채권과 주식 = 265
  4. 파생금융상품 = 266
 제2절 금융기관 = 269
  1. 통화금융기관 = 269
  2. 비통화금융기관 = 272
제12장 화폐공급과 수요
 제1절 화폐란 무엇인가 = 283
  1. 화폐의 정의와 기능 = 28
  2. 통화지표 = 286
 제2절 화폐의 공급 = 290
  1. 지불준비금 = 290
  2. 본원통화 = 291
  3. 예금은행에 의한 예금통화의 창조 = 292
  4. 화폐공급곡선과 화폐공급함수 = 297
 제3절 통화금융정책의 수단 = 300
  1. 공개시장조작 = 301
  2. 지불준비율정책 = 302
  3. 재할인율정책(대출정책) = 304
 제4절 화폐의 수요 = 305
  1. 전통적 화폐수량설 = 306
  2. 유동성선호설 = 309
  3. 신화폐수량설 = 311
  4. 화폐수요곡선 = 313
  5. 화폐시장의 균형 = 314
 제5절 이자율 = 315
  1.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 315
  2. 채권가격과 시장이자율 = 318
제13장 총수요와 총공급의 이론
 제1절 총수요의 변화가 생산의 변화를 유도 = 319
 제2절 소득분석과 화폐분석의 결합 = 321
  1. IS곡선과 LM곡선의 도출 = 321
  2.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 324
  3. 재정정책과 통화금융정책의 효과 = 325
 제3절 총수요와 총공급 = 328
  1. 총수요곡선 = 328
  2. 총공급곡선 = 331
  3. 장·단기균형과 국민소득의 변동 = 337
  4. 새로운 고전파경제학 = 338
  5. 새로운 케인즈파경제학 = 341
제14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1절 실업의 의의와 종류 및 대책 = 343
  1. 실업의 의의 = 343
  2. 고용정책(실업대책) = 346
  3. 장기균형국민소득과 균형물가 = 348
 제2절 경기변동론 = 351
  1. 경기변동의 의의 = 351
  2. 경기관련지표 = 352
 제3절 인플레이션과 필립스곡선 = 355
  1. 인플레이션의 의의 = 355
  2. 인플레이션의 영향과 경제적 효과 = 356
  3. 인플레이션의 종류 = 359
  4. 필립스곡선 = 362
  5. 자연실업률의 가설 = 364
  6. 반인플레이션 정책과 희생비율 = 366
  7. 합리적 기대와 급진적(급랭) 정책 = 367
제15장 국제무역과 무역이익
 제1절 국제무역의 경제적 의의 = 369
 제2절 절대우위와 비교우위 = 370
  1. 절대우위설(절대생산비설) = 370
  2. 비교우위설(비교생산비설) = 372
 제3절 비교우위와 무역의 이익 = 374
  1. 생산가능곡선 = 374
  2. 무역으로부터의 이익 = 376
 제4절 헥셔-오린정리와 레온티에프 역설 = 378
  1. 헥셔-오린정리 = 378
  2. 레온티에프 역설 = 380
 제5절 현대적 무역이론 = 381
  1. 기술진보와 국제무역 = 381
  2. 산업 내 무역 = 383
  3. 한국의 무역유형 = 384
 제6절 교역조건 = 385
  1. 교역조건의 정의 = 385
  2. 오퍼곡선과 교역조건의 결정 = 386
 제7절 국제무역의 이득과 경제적 효과 = 389
  1. 국제무역의 이득과 손실 = 389
  2. 관세의 경제적 효과 = 393
  3. 수출의 경제적 효과 = 396
  4. 자유무역과 보호무역 = 397
  5. 관세 및 비관세장벽 = 399
제16장 국제수지와 환율 및 개방경제
 제1절 국제수지의 의의 = 401
  1. 정의 = 401
  2. 국제수지표의 구성 = 403
  3. 국제수지의 균형과 불균형의 개념 = 408
 제2절 외환의 수요와 공급 = 410
  1. 외환에 대한 수요 = 410
  2. 외환의 공급 = 411
  3. 외환시장의 균형 = 412
  4. 환율의 변동 = 413
 제3절 환율과 환율의 결정이론 = 415
  1. 환율의 개념 = 415
  2. 실질환율 = 417
  3. 현물환율과 선물환율 = 418
  4. 환율의 결정 : 구매력평가설 = 420
 제4절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 423
  1. 금본위제도와 브레튼우즈체제 = 423
  2.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의 장·단점 = 424
 제5절 개방경제하의 경제정책 = 425
  1. 개방경제하에서의 거시경제균형 = 425
  2. 개방경제하에서의 재정·통화금융정책의 효과 = 428
제17장 경제성장과 발전
 제1절 경제성장의 의의와 요인 = 435
  1. 경제성장의 의의 = 435
  2. 경제성장의 요인 = 439
 제2절 경제성장이론 = 442
  1. 고전학파의 성장이론 = 442
  2. 신고전학파의 성장이론 = 443
  3. 내생적인 성장이론 = 446
  4. 성장회계 = 448
 제3절 경제발전의 의의와 특징 = 449
  1. 의의와 특징 = 449
  2. 경제발전의 요인 = 450
 제4절 경제발전에 관한 이론 = 452
  1. 균형성장론 = 452
  2. 불균형성장론 = 454
 제5절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 456
  1. 경제발전의 장애요인 = 456
  2. 경제발전전략의 문제 = 458
찾아보기 = 46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Acemoglu, Daro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