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화 미학

영화 미학 (9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Aumont, J. (Jacques), 저 Bergala, Alain, 저 Marie, Michel, 저 Vernet, Marc, 저 이용주, 역
서명 / 저자사항
영화 미학 / 자크 오몽 [외]저 ; 이용주 옮김
발행사항
서울 :   東文選,   2003  
형태사항
392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東文選) 文藝新書 ;247
원표제
Esthetique du film
ISBN
8980384513 8980380003(세트)
일반주기
저자: 자크 오몽, 알랭 베르갈라, 미셸 마리, 마르크 베르네  
서지주기
참고문헌(p. 343-378)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otion pictures -- Aesthetics Cinematography
000 01213namcc2200397 c 4500
001 000000879900
005 20101216140507
007 ta
008 040430s2003 ulka b 001c kor
020 ▼a 8980384513 ▼g 94680
020 1 ▼a 8980380003(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49 1 ▼l 111282623 ▼l 111282624
082 0 4 ▼a 791.43/01 ▼2 22
085 ▼a 791.4301 ▼2 DDCK
090 ▼a 791.4301 ▼b 2003c
245 0 0 ▼a 영화 미학 / ▼d 자크 오몽 [외]저 ; ▼e 이용주 옮김
246 1 9 ▼a Esthetique du film
260 ▼a 서울 : ▼b 東文選, ▼c 2003
300 ▼a 392 p. : ▼b 삽화 ; ▼c 23 cm
440 1 0 ▼a (東文選) 文藝新書 ; ▼v 247
500 ▼a 저자: 자크 오몽, 알랭 베르갈라, 미셸 마리, 마르크 베르네
504 ▼a 참고문헌(p. 343-378)과 색인수록
650 0 ▼a Motion pictures ▼x Aesthetics
650 0 ▼a Cinematography
700 1 ▼a Aumont, J. ▼q (Jacques), ▼e▼0 AUTH(211009)80890
700 1 ▼a Bergala, Alain, ▼e
700 1 ▼a Marie, Michel, ▼e
700 1 ▼a Vernet, Marc, ▼e
700 1 ▼a 이용주, ▼e
900 1 0 ▼a 오몽, 자크, ▼e
900 1 0 ▼a 베르갈라, 알랭, ▼e
900 1 0 ▼a 마리, 미셸, ▼e
900 1 0 ▼a 베르네, 마르크,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3c 등록번호 1112826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3c 등록번호 1112826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자크 오몽(지은이)

프랑스 영화학자. 영화이론가. 자크 오몽은 파리 3대학(소르본 누벨) 영 화학과 교수로서 여기서 25년 이상 영화미학과 영화이론을 강의했고, 고등사회과학연구소(EHESS) 및 프랑스국립미술학교 등의 교수직도 역임했다. 에이젠슈테인(『몽타주 에이젠슈테인』, 1979)에 대한 저작을 시작으로 『멈추지 않는 눈』(1989), 『이미지』(1990), 『영화 속의 얼굴』(1992), 『영화미학』(미셸 마리 등과 공저, 1994), 『영화감독들의 영화이론』(2002), 『잉마르 베리만』(2004), 『영화와 미장센』(2006), 『픽션의 한계』(2014), 『영화적 픽션』(2018) 등과 같이 영화이론과 영화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서른 권 남짓한 저작을 출간했다.

이용주(옮긴이)

시네필 영화인문학자로서 제7의 예술 영화에 매료되어 영화가던지는 질문에 마음의 창을 활짝 열고, 현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영화전공 교수로 재직하며 미래의 영화인들과 영화를 매개로 소통하는 삶을 즐기고 있다. 『로베르 브레송』(공동), 『장 뤽 고다르의 영화세계』(공동), 『소설과 신화』를 쓰고,『영화미학』, 『시나리오 쓰기의 이론과 실제』, 『영화제작론』(공동), 『자크 이브 쿠스토』(공동), 『시학』, 『히로시마 내사랑』, 『시민케인 비평연구』, 『경멸 비평연구』 등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학술지에 「고다르의 기존의 영화 틀깨기 전략 혹은 영화적 실험」과같은 다수의 영화연구와 「프랑스의 학교 영화교육 정책과 실행」과 같은 영화교육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론
 1. 영화 관련 책들의 유형 = 13
  1) '대중'적인 책들 = 14
  2) 영화광들을 위한 책 = 15
  3) 영화미학 이론서 = 16
 2. 영화 이론과 영화미학 = 19
  1) '자생적' 이론 = 20
  2) 서술 이론 = 20
  3) 영화 이론과 영화미학 = 21
  4) 영화 이론과 기술의 적용 = 21
  5) 여러 가지 영화 이론 = 22
Ⅰ. 시청각 표현으로서의 영화
 1. 영화적 공간 = 27
 2. 심도의 기법 = 38
  1) 원근법 = 38
  2) 초점심도 = 42
 3. '쇼트'의 개념 = 48
 4. 영화, 소리의 재현 = 55
  1) 경제적·기술적 요인들과 그 역사 = 55
  2) 미학적·이데올로기적 요소 = 57
 참고 문헌 = 62
Ⅱ. 편집
 1. 편집의 원리 = 67
  1) 편집의 대상 = 71
   쇼트보다 상위 개념의 영화 부분들(영화적 연사) = 72
   쇼트보다 하위 개념의 영화 부분들 = 73
   쇼트의 구분과 일치하지 않는 영화 부분들 = 74
  2) 편집 행위의 양태 = 76
  3) 편집의 넓은 의미의 정의 = 76
 2. 편집의 기능 = 78
  1) 경험적 접근 = 79
  2) 보다 체계적인 서술 = 81
   '생산적' 편집 = 81
   통사적 기능 = 83
   의미론적 기능 = 84
   운율적 기능 = 85
 3. 편집의 이데올로기 = 88
  1) 앙드레 바쟁과 '투명한' 영화 = 89
   '금지된 편집' = 91
   투명성 = 92
   장면연결 이외의 편집 거부 = 96
  2) 에이젠슈테인과 영화변증법 = 97
   단편과 갈등 = 98
   편집 개념의 확장 = 104
   관객에 대한 영향 = 105
 참고 문헌 = 107
Ⅲ. 영화와 서술
 1. 서술 영화 = 111
  1) 영화와 서술의 만남 = 111
  2) 비서술 영화 : 모호한 경계 = 114
   서술과 비서술 = 114
   논쟁의 토대 = 116
  3) 서술 영화 : 연구 대상과 목적 = 118
   연구 대상 = 118
   연구 목적 = 120
 2. 극영화 = 124
  1) 모든 영화는 극영화이다 = 124
  2) 지시 대상의 문제 = 127
  3) 이야기·서술·디에제즈 = 128
   이야기 또는 서술 텍스트 = 131
   서술 = 134
   스토리 또는 디에제즈 = 139
   이야기와 스토리와 서술의 관계 = 143
   고전 영화의 효력 = 148
  4) 서술의 기호 체계와 기능·인물 = 150
   짜여진 스토리 : 복선 기법과 해석학적인 절(節) = 150
   여러 가지 기능 = 157
   등장인물 = 160
 3. 영화의 사실주의 = 165
  1) 영화 질료의 사실주의 = 165
  2) 영화 주제의 사실주의 = 166
  3) 그럴듯함 = 172
   그럴듯함과 여론 = 172
   그럴듯함의 경제적인 체계 = 173
   자료체 효과로서 그럴듯함 = 175
  4) 장르 효과 = 177
 4. 현실감 = 181
 참고 문헌 = 186
Ⅳ. 영화와 언어
 1. 영화 언어 = 193
  1) 고전적 개념 = 194
  2) 초창기의 이론가들 = 199
  3) 영화의 '문법' = 202
  4) 언어의 고전적 개념 = 205
   전통적 영화 언어 = 207
   언어 소멸의 지향 = 208
  5) 기호 없는 언어 = 211
 2. 영화, 랑그인가 언어인가? = 213
  1) 영화 언어와 랑그 = 214
   랑그의 다양성, 영화 언어의 단일성 = 215
   언어·소통·양극의 치환 = 216
   영화 언어의 유추적 위상 = 219
   이산적 단위들의 선형성과 존재 = 220
   영화에서 분절의 문제 = 221
  2) 영화 이해의 용이성 = 223
   인지적 유사성 = 224
   도상적 명명의 약호들 = 226
   영화 특유의 의미적 특성 = 228
 3. 영화 언어의 이질성 = 233
  1) 표현의 질료 = 233
  2) 기호학에서 약호의 개념 = 236
  3) 영화의 특수 약호 = 237
  4) 영화의 비특수 약호 = 240
 4. 영화의 텍스트적 분석 = 243
  1) 《언어와 영화》에서 영화 텍스트의 개념 = 244
  2) 사례 : D. W. 그리피스의《편협》의 텍스트적 체계 = 246
  3) 문학기호학에서 텍스트의 개념 = 248
  4) 텍스트 분석의 독창성과 이론적 범위 = 255
   텍스트 분석의 중요한 특성 = 255
   텍스트 분석의 실질적인 어려움 = 259
 참고 문헌 = 266
Ⅴ.영화와 관객
 1. 영화 관객 = 273
  1) 표상적 환영의 조건들 = 274
  2) 관객의 '인격 도야' = 278
  3) 영화학에서의 관객 = 283
  4) '상상적 인간'으로서의 영화 관객 = 287
  5) 영화 관객에 대한 새로운 접근 = 293
 2. 영화 관객과 동일화 과정 = 296
  1) 정신분석학적 이론에 따른 상상적 자아형성에서 동일화의 역할 = 296
   1차적 동일화 과정 = 296
   '거울의 단계' = 297
   2차적 동일화와 오이디푸스적 단계 = 300
   2차적 동일화와 자아 = 305
  2) 자기 도취적 퇴행으로의 동일화 = 306
   동일화의 퇴행적 특성 = 307
   동일화의 자기 도취적 특성 = 308
   '구순기'의 부활 = 310
   동일화와 승화 = 311
 3. 영화에서의 이중적 동일화 = 313
  1) 영화에서의 1차적 동일화 = 315
  2) 영화에서의 2차적 동일화 = 318
   이야기에서의 초기 동일화 = 318
   동일화와 심리학 = 322
  3) 동일화와 구조 = 325
   상황 = 325
   영화의 표면상(데쿠파주의 차원)에서 동일화의 메커니즘 = 329
  4) 동일화와 언술 행위 = 336
  5) 영화 관객과 정신분석의 주체 : 일종의 도박 = 341
 참고 문헌 = 343
결론 = 345
더 읽어볼 참고 문헌 = 353
참고 문헌 부록(1983-1994) = 361
역자 후기 = 379
색인 = 383


관련분야 신착자료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
국가기록원. 서비스정책과 (2022)
Duras, Marguerite (2022)
四方田太彦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