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학해석학 입문 = 11
1. 문학해석학의 전개 = 13
문학해석학의 부재와 그 요인 = 13
딜타이의 해석학 발전론, 재료해석학에서 철학해석학으로 = 14
해석학의 철학화가 근대 문예학에 끼친 영향, 자료적 성격의 상실 = 16
해석의 기술론에서 해석학적 순환 개념의 오용 = 17
문학해석학과 전통 문헌학, 해석의 전제로서 예술성과 자신의 역사성에 대한 의식 = 18
해석학의 기본 의도(문자적 의미와 정신적 의미)와 역사성 문제 = 18
문법적 해석에 있어서 역사적 간격의 극복 문제 = 19
우의적 해석의 현실화 기능, 호메로스의 우의적 풀이, 구약의 유형학적 풀이 = 20
문법적 해석과 우의적 해석의 갈등, 교부 해석학에서 알렉산드리아파와 안티오키아파 간의 논쟁, 루터의〈성서 원칙〉 = 23
역사적, 문법적 해석의 역사적 제약들, 역사적 입장의 변천, 역사 개념의 변천 = 26
문학해석학 입문의 방법적 성찰 : 역사적 방법과 체계적 방법의 조합 = 29
2. 클라데니우스 1 = 31
클라데니우스의 저술 활동과 수용 상황 = 31
일반해석학의 시작 = 33
성서해석학과 세속해석학의 구분 ; 일반해석학과 내용연관성 간의 긴장관계 = 35
함축적 자구와 문학적 논리 = 38
해석의 정의(해석이란 자구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을 제공해주는 것) = 40
애매함의 종류 ; 텍스트비평, 문법, 해석학의 전통적 구분법 = 41
텍스트 비평, 문법, 해석의 상호의존성, 괴테의「연인의 변덕」예 = 42
세 번째 애매함, 그 자체 애매한 자구, 개연성의 이론 = 45
3. 클라데니우스 2 = 48
클라데니우스 해석학의 비판적 고찰 = 48
해석 기준에서 저자 의도의 배제와 이성의 규범적 역할, 합리주의적 수용심리학 = 49
〈완전한 뜻〉의 구분, 직접적 뜻과 간접적 뜻, 신학해석학에서 일반 해석학으로 = 51
직접적 뜻과 해석의 주관성 배제 = 53
간접적 뜻, 영혼에 미치는 효과인〈적용〉 = 56
실천적 진리로서의〈산 인식〉 = 59
〈활용〉, 합리주의 해석학에서 경험과 규범의 대립 = 61
4. 클라데니우스 3 = 64
클라데니우스 해석학의 모순 : 영향심리학과 합리주의 관점의 대립 = 64
저자의 의도는 대상에 대한 저자의 표상의 제한, 베르길리우스의 예 = 66
클라데니우스의 문학관과 자연모방론 = 67
클라데니우스 해석학의 수정, 장르연관성 = 69
저자와 독자 간의 일치 = 71
가다머의 영향사적 이론과의 관계 = 74
역사적 입장의 구속성 이론, 대상의 변화로서 의미 변천 = 75
5. 클라데니우스 4 = 81
역사성 문제와 〈시점〉론, 〈시점〉의 차이 = 81
〈시점〉론과 대상의 표상 = 83
〈시점〉론의 인식론적 전제 = 84
〈시점〉의 유형 = 86
대상 중심의 은유론 = 87
〈완곡의미〉의 정의 = 88
전통 은유론과 클라데니우스 은유론의 비교 = 89
은유적 표현의 원인 = 91
역사서와 교의서에서 은유의 기능 = 94
6. 마이어 1 = 99
마이어의『일반 해석술 시론』 = 99
〈기호학〉으로서의 마이어 해석학 = 93
아우구스티누스에 있어서 자연기호와 부여된 기호 = 101
마이어에서 자연기호의 의미 = 104
자연기호의 완전성 = 106
자연기호의 실천적 성격 = 108
〈해석의 타당성〉 또는 해석의 전제로서 기호 저자의 완전성 = 110
〈해석의 타당성〉론의 비판적 수용 = 111
7. 마이어 2 = 115
해석학적 타당성의 원칙이 세속해석학에 끼친 영향 = 115
해석의 기준으로서 저자의 의도, 그 역사적 변천 = 115
해석의 근거와 보조수단, 해석에 있어서 문헌학적 보조수단의 역할과 한계 = 118
대구 문제, 표현대구와 내용대구 = 123
클라데니우스의 대구이론 = 125
〈표기관용〉과 의미 서열 = 129
해석의 전제에 대한 인식론적 비판의 필요성 = 130
8. 아스트 = 132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이념사적 배경 = 132
볼프와 아스트에 대한 슐라이어마허의 언급 = 134
〈그리스 정신〉과 괴테 시대 해석학 = 135
아스트 해석학에서 정신의 기능 = 136
정신의 조화적 기능 = 137
이해의 조건이자 목적인 정신 = 138
아스트 해석학은 감각주의, 대상 중심 해석학에 대한 반론 = 139
해석학사의 전환, 해석에서 이해로 = 139
해석학의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인 정신 = 140
시간차 문제와 정신의 동일성 = 141
아스트의 역사철학과 셸링의 동일성 철학의 영향 = 143
해석학적 순환, 전체와 개별의 통일성, 아스트 해결책의 문제점 = 145
발생사적 행위로서 이해의 행위 = 148
문자 의미의 다중화 대신 이해의 다중화(역사적, 문법적, 정신적 이해) = 150
9. 슐라이어마허 1 = 151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발전사, 편찬사 = 151
아스트 해석학의 5가지 명제 = 153
해석학의 이론적 기초 = 155
삶의 표현으로서 말과 글, 해석학의 작업 영역의 확장 = 156
해석의 기준으로서의 필연성과 구성 = 159
말과 언어, 말과 생각과의 관계,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기술적 해석 = 161
역사주의와 생철학의 슐라이어마허 수용에서 감정이입과 동일화의 지나친 강조 = 162
이해의 조건으로서 해석학적 순환 = 164
10. 슐라이어마허 2 = 167
슐라이어마허 해석학의 기본 원리 = 167
문법적 해석 : 〈전체적〉관련과〈직접적〉관련(계열체적 관계와 통사체적 관계) = 168
원래 독자의 규정 문제 = 170
본래적 의미와 비본래적 의미 = 171
단어의 통일성 이론의 문제점 = 174
문법적 해석에서 형식적-재료적, 질적-양적 대립 = 175
강조와 췌언 = 176
기술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의 상대적 차이 = 180
기술적 해석과 문체 해석의 역사성 = 181
문법적 해석과 기술적 해석의 상관관계 = 182
문법과 시학의 반전, 비평의 도구로서의 해석학 = 184
부록
문학해석학 연구현황 = 187
문헌학적 인식 = 192
문예학의 인식 방법 = 192
독문학에서 이론적 해석학의 부재와 독문학의 자기 이해 = 193
문예학과 역사학의 차이, 예술 작품의 현재성, 문헌학적 지식의 역동적 요소 = 194
지속적 인식인 문헌학적 지식, 난해시 이해의 경우 = 195
영미, 프랑스의〈문학비평〉에서 비평적 행위 요소의 강조 = 196
독일 문예학에서 해석학적 의식의 결핍 = 196
그 학문사적 배경 : 독일관념론과 실증주의의 자기기만 = 197
횔덜린의「평화의 축제」시연의 은유 논쟁 = 198
논쟁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전제, 예증의 객관성과 주관적 명증성 = 201
발생사적 풀이 = 202
각주의 증거력, 사실성과 해석의 필요성 = 205
자연과학적 방법과 문학사 = 205
문학 작품의 군주적 성향 = 206
문예학의 딜레마, 주관적 학문성 = 207
사실자료의 맹목성 = 208
이본 방법의 해석학적 분석 = 209
문헌학적 증거와 인식 간의 상호의존성 = 210
성립과정의 재구성과 명증성 = 211
대구 방법에서 증거와 인식의 상호의존성 = 211
모호성 문제와 저자의 의도 = 213
모호성 문제와 현대시 = 217
문예학의 인식과 창작 과정의 분석 = 217
참고문헌 = 219
역자해제 =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