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스티글리츠의)거시경제학

(스티글리츠의)거시경제학 (16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tiglitz, Joseph E. Economics. 2nd ed. 김균 안현효
서명 / 저자사항
(스티글리츠의)거시경제학 / 조지프 E. 스티글리츠 지음 ; 김균 ; 안현효 [공]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울아카데미 ,   2002.  
형태사항
681 p. : 삽도,초상화 ; 27 cm.
총서사항
한울 아카데미 ; 484
ISBN
8946030097
일반주기
권말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수록  
용어설명: p.637-664  
본서는 스티글리츠(Joseph E. Stiglitz)의「경제학(Economics)?제2판,1997)의 거시부분을 완역한 것임.  
원저자명: Stiglitz, Joseph E.  
원저자명: Economics. 2nd ed.  
서지주기
색인(p.665-670)수록
000 01140namccc200349 k 4500
001 000000878579
005 20100806080439
007 ta
008 030107s2002 ulkac 001a kor
020 ▼a 8946030097 ▼g 93320 : ▼c \27000
035 ▼a KRIC08413112
040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21093569 ▼f 과학 ▼l 121093570 ▼f 과학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2b
100 1 ▼a Stiglitz, Joseph E.
245 2 0 ▼a (스티글리츠의)거시경제학 / ▼d 조지프 E. 스티글리츠 지음 ; ▼e 김균 ; ▼e 안현효 [공]옮김.
260 ▼a 서울 : ▼b 한울아카데미 , ▼c 2002.
300 ▼a 681 p. : ▼b 삽도,초상화 ; ▼c 27 cm.
440 0 0 ▼a 한울 아카데미 ; ▼v 484
500 ▼a 권말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수록
500 ▼a 용어설명: p.637-664
500 ▼a 본서는 스티글리츠(Joseph E. Stiglitz)의「경제학(Economics)?제2판,1997)의 거시부분을 완역한 것임.
500 ▼a 원저자명: Stiglitz, Joseph E.
500 ▼a 원저자명: Economics. 2nd ed.
504 ▼a 색인(p.665-670)수록
700 1 ▼a Economics. 2nd ed.
700 1 ▼a 김균
700 1 ▼a 안현효 ▼0 AUTH(211009)128576
900 1 1 ▼a 스티글리츠, 조지프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113266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113266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210935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21093570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211087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511619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113266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113266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210935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21093570 도서상태 분실(장서관리)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211087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2b 등록번호 1511619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지프 스티글리츠(지은이)

1943년 미국 인디애나주 출생. 2001년 정보 비대칭성의 결과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석학. MIT에서 폴 새뮤얼슨의 지도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불과 27세에 예일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고, 36세에 뛰어난 연구 업적을 쌓은 젊은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예비 노벨상,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수상했다. 듀크, 스탠퍼드, 옥스퍼드, 프린스턴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경제자문회의 의장과 세계은행의 수석 부총재 겸 수석 경제학자를 역임했다. 그러나 이때 아시아 금융 위기에 대응하는 국제 통화 기금의 재정 긴축과 고금리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자신이 속한 세계은행의 정책이 후진국의 빈곤과 빈부 격차를 심화시킨다고 지적하다가 미국 정부와의 갈등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세계에서 가장 빈번히 인용되는 경제학자 가운데 한 명으로, 2011년에는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거시 경제학, 공공 경제학, 정보 경제학의 대가이며 소득 재분배, 기업 지배 구조, 국제 교역 조건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주요 저서로 『불평등의 대가』를 비롯하여 『거대한 불평등』, 『유로』, 『경제 규칙 다시 쓰기』, 『세계화와 그 불만』, 『끝나지 않은 추락』,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 『1990년대의 경제 호황』 등이 있다.

김균(옮긴이)

참여연대 공동대표,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옮긴이 서문 = 7

지은이 서문 = 11

제1부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자동차와 경제학

  1. 자동차 : 간단한 역사 = 34

   1) 미국 자동차산업의 위기 = 37

   2) 크라이슬러 : 정부에 의한 구제 = 38

   정책 진단 : 트럭이 승용차? = 39

   3) 해외경쟁으로부터의 보호 = 40

   4) 미국 자동차산업의 재생 = 41

   5) 통계수치로 본 자동차산업의 역사 = 42

  2.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43

  3. 혼합경제에서 시장과 정부 = 46

   1) 시장 = 47

   2) 정부의 역할 = 48

   3) 세 가지 주요 시장 = 49

   4) 두 가지 단서 : 시장과 자본이라는 용어 = 50

   확대경 : 혼합경제에 대한 대안의 실패 = 51

  4.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경제학의 두 부문 = 52

  5. 과학으로서의 경제학 = 52

   1) 관계의 발견과 해석 = 53

   2) 인과관계 대 상관관계 = 54

   3) 경제학에서의 실험 = 55

  6. 왜 경제학자들의 의견은 서로 다른가 = 56

   확대경 : 경제학자들의 동의 = 57

   1) 실증경제학에서의 의견 불일치 = 58

   2) 규범경제학에서의 의견 불일치 = 59

  7. 희소성의 중요성에 대한 합의 = 60

  복습과 연습 = 61

 제2장 경제학적 사고

  1. 기본경쟁모델 = 66

   1) 합리적인 소비자와 이윤을 극대화하는 기업 = 66

   2) 경쟁시장 = 67

  2. 가격, 재산권 그리고 이윤 : 유인과 정보 = 69

   1) 유인 대 평등 = 70

   2) 재산권이 실패할 때 = 71

   3) 유인에 대한 합의 = 72

  3. 할당 = 73

  4. 기회집합 = 75

   1) 예산제약과 시간제약 = 75

   2) 생산가능곡선 = 78

  5. 비용 = 81

   1) 기회비용 = 82

   확대경 : 회의의 기회비용 = 83

   2) 매몰비용 = 84

   3) 한계비용 = 85

   정책 진단 : 한계의 정책 = 86

   경제학의 활용 : 안전성 표준을 설정하기 위한 한계분석의 활용 = 87

  복습과 연습 = 88

  부록 : 그래프 이해 = 91

 제3장 수요, 공급 그리고 가격

  1. 가격의 역할 = 96

  2. 수요 = 97

   1) 개인의 수요곡선 = 98

   2) 시장수요곡선 = 99

   정책 진단 : 좋은 소식은 곧 나쁜 소식이다 = 101

   3) 수요곡선의 이동 = 102

   4) 수요곡선 이동의 원인 = 102

   확대경 : 휘발유 가격과 소형차 수요 = 104

   5) 수요곡선의 이동과 수요곡선상의 이동 = 106

  3. 공급 = 107

   1) 시장공급 = 108

  4. 공급곡선의 이동 = 110

   1) 공급곡선 이동의 원인 = 110

   경제학의 활용 : 1988년 가뭄의 효과에 대한 예측 = 112

   2) 공급곡선의 이동과 공급곡선상의 이동 = 112

  5. 수요공급의 법칙 = 113

   확대경 : 경제모델의 구조 = 115

   1)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활용 = 116

   2) 가격 결정에 대한 합의 = 117

  6. 가격, 가치 그리고 비용 = 117

  복습과 연습 = 120

제2부 완전고용의 거시경제학

 제4장 거시경제학의 목표와 수단

  1. 세 가지 거시경제적 문제 = 128

  2. 성장 = 129

   1) 산출의 측정 = 130

   2) 잠재 GDP = 132

   3) GDP의 측정 : 산출물의 가치 = 134

   정책 진단 : 경제성장의 둔화? = 137

   4) 다른 총산출 측정 방식들 = 140

   5) 생활수준 측정 = 141

  3. 실업 = 142

   1) 실업의 크기 = 143

   2) 실업 통계 = 143

   3) 실업 통계의 문제 = 145

   4) 실업의 형태 = 146

  4. 인플레이션 = 147

   1) 인플레이션의 측정 = 148

   2) 미국의 인플레이션 경험 = 149

   3) 인플레이션의 중요성 = 150

   경제학의 활용 : 소비자 물가지수(CPI)의 산정 = 151

   정책 진단 : 물가지수가 중요하다! = 152

   4) 인플레이션의 대안적 측정들 = 154

  5. 세 가지 주요 변수들을 연결하기 = 154

  6. 플로와 스톡 = 155

  복습과 연습 = 156

 제5장 완전고용모델

  1. 거시경제적 균형 = 161

   확대경 : 미시-거시 구분의 탄생 = 162

  2. 노동시장 = 163

   1) 노동수요와 공급곡선의 이동 = 165

  3. 생산물시장 = 168

   1) 총공급 = 168

   2) 총수요와 균형산출량 = 169

  4. 자본시장 = 170

   1) 저축 = 170

   2) 투자 = 172

   3) 자본시장의 균형 = 173

  5. 일반균형 = 174

   1) 일반균형모델의 활용 = 175

  6. 기본 완전고용모델의 확장 = 176

   1) 정부 = 177

   2) 화폐공급 = 178

   경제학의 활용 : 조세 증가를 동반하는 정부지출 증대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수량화하기 = 179

   정책 진단 : 글로벌 자본 부족? = 181

   3) 무역 = 181

   정책 진단 : 국제 자본시장의 개선 = 184

   4) 거시경제학에서의 합의 = 185

   5) 이후 장에서 설명할 주제들 = 186

  복습과 연습 = 187

 제6장 완전고용모델의 응용

  1. 재정적자 = 192

   1) 폐쇄경제 = 194

   2) 소국 개방경제 = 195

   3) 대국 개방경제 = 196

  2. 무역적자 = 197

   1) 자본흐름 = 197

   정책 진단 : 1993년의 재정적자 감축 = 199

   2) 환율 = 200

   3) 저축-투자 항등식 = 202

   4) 왜 무역적자가 문제인가 = 203

   5) 기본 모델을 이용하여 무역적자를 분석하기 = 205

  3. 성장 = 206

   1) 투자촉진 = 207

   2) 저축촉진 = 207

   3) 재정적자의 감소 = 208

   4) 개방경제 = 209

   경제학의 활용 : 재정적자의 감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 210

   5) 거시경제학의 합의 = 211

  복습과 연습 = 212

제3부 실업의 거시경제학

 제7장 실업의 거시경제학 개관

  1. 거시경제모델 재론 = 220

  2. 노동시장 = 221

   1) 실업과 임금 경직성 = 224

   2) 실업과 노동의 총공급 = 225

  3. 단기생산물시장 = 226

   확대경 : G-7과 세계적인 실업 문제 = 227

   1) 과잉생산능력의 경제 = 230

   2) 시장의 공급 측면 = 231

   3) 세 가지 추가적인 합의 = 232

  4. 자본시장과의 연관 = 233

   경제학의 활용 : 노동시장과 생산물시장의 연관성의 수량화 = 235

  5. 전후 시기의 거시경제학적 교훈 = 235

   1) 케네디 감세정책 = 236

   2) 레이건 정책 = 236

   정책 진단 : 경제 데이터의 역할 = 238

   3) 1991년의 경기침체 = 238

   4) 경기활성화를 위한 적자 감축 = 239

  복습과 연습 = 241

 제8장 총수요

  1. 소득-지출 분석 = 245

   1) 국민소득-산출 항등식 = 247

   2) 균형산출 = 248

   3) 총지출선의 이동 = 249

   4) 수학적 정식화 = 250

  2. 이후의 과제 = 251

  3. 소비 = 253

   1) 한계소비성향 = 253

   2) 한계저축성향 = 255

  4. 투자 = 256

   1) 승수 = 257

   경제학의 활용 : 균형산출의 계산 = 258

   정책 진단 : 조그만 자극이 오래간다 = 259

   경제학의 활용 : 승수 계산 = 259

  5. 정부와 무역 = 260

   1) 정부의 효과 = 260

   2) 국제무역의 효과 = 262

   경제학의 활용 : 정부를 방정식에 포함하기 = 264

   경제학의 활용 : 국제무역을 방정식에 포함하기 = 268

  6. 총수요곡선 재론 = 269

  7. 소득-지출 접근방식의 한계 = 269

  복습과 연습 = 271

 제9장 소비와 투자

  1. 소비 = 276

   1) 미래지향적 소비함수 = 276

   2) 소비이론과 현실의 비교 = 279

   확대경 : 경험적 수수께끼와 교묘한 이론 - 프리드만의 항상소득 가설 = 282

   3) 소비이론의 거시경제적 합의 = 283

   정책 진단 : 선거에 직면하여 시도되는 신속한 경기진작은 미래지향적 이론의 시험대이다 = 284

  2. 투자 = 284

   1) 공장 및 설비투자 = 286

   확대경 : 기업 베일 = 287

   경제학의 활용 : 이자율을 낮춤으로써 재정긴축효과를 상쇄하기 = 290

   2) 재고투자 = 292

   확대경 : 즉시 재고관리 = 294

   3) 투자촉진정책 = 295

  복습과 연습 = 297

  부록 : 투자-저축 항등식 = 302

 제10장 화폐, 은행, 신용

  1. 화폐란 화폐가 수행하는 기능이다 = 308

   1) 교환매개 수단으로서의 화폐 = 309

   2)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화폐 = 310

   3) 계산단위로서의 화폐 = 311

   확대경 : 애틀랜타시에서 화폐를 찍다 = 312

   4) 화폐공급의 측정 = 313

   5) 화폐와 신용 = 315

   확대경 : 금융 용어[미국의 경우] = 316

  2. 현대 경제의 금융시스템 = 317

   1) 연방준비시스템 = 318

   확대경 : 금융중개기관 관련 용어 = 319

   2) 화폐공급의 통제 = 321

   3) 은행 규제 = 322

  3. 현대 경제의 화폐 창조 = 323

   정책 진단 : S&L 위기 = 324

   1) 은행의 대차대조표 = 324

   2) 은행은 어떻게 화폐를 창조하는가? = 326

  4. 통화정책의 수단 = 331

   1) 지급준비율 = 331

   2) 재할인율 = 332

   3) 공개시장조작 = 333

   4) 적절한 정책 수단의 선택 = 334

   경제학의 활용 : 화폐공급의 통제 = 335

  5. 미국 은행시스템의 안정성 = 335

   1) 뱅크런 위험의 축소 = 336

  복습과 연습 = 339

 제11장 화폐이론

  1. 화폐공급과 경제활동 = 343

   1) 화폐의 유통속도 = 344

   경제학의 활용 : 유통속도의 계산 = 345

   2) 화폐수요 = 345

   3) 이자율의 효과 = 346

   4) 소득효과 = 347

   5) 균형 = 347

   6) 통화정책과 이자율 = 348

   7) 무엇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결정짓는가? = 351

   8) 통화주의 = 354

   확대경 : 이론 실험 - 연준이 경기침체를 일으키다 = 355

  2. 전통적 화폐수요이론에 대한 비판 = 357

   1) 화폐와 소득의 관계 = 357

   2) 이자율과 화폐수요의 관계 = 358

   3) 전통적 화폐이론에 대한 또 다른 비판 = 359

  3. 다른 요인들 = 359

   1) 신용 이용가능성 = 360

   정책 진단 : 은행시스템의 회복 = 361

   2) 포트폴리오 이론 = 361

  4. 개방경제에서의 통화정책 = 362

   1) 통화정책은 환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363

   2) 왜 통화정책의 고전적 경로가 개방경제에서는 덜 효과적인가? = 363

  복습과 연습 = 365

 제12장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1. 재정정책 = 371

   1) 경기침체를 벗어나기 위한 재정적자정책은 가치가 있는가? = 371

   경제학의 활용 : 고용창출 = 373

   2) 재정제약 조건 아래에서의 재정정책 = 373

   3) 균형예산승수 = 374

  2. 통화정책 = 375

  3.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상호작용 = 376

  4.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점 = 377

   1) 산출물 구성 효과 = 377

   2) 통화 및 재정정책의 효과 면에서의 차이점 = 378

   확대경 : 공적 장막과 재정적자의 효과 = 379

   3)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시차 = 380

  5. 균형재정조항의 효과 = 381

   정책 진단 : 재정적자 감소와 경기활성화 = 382

   경제학의 활용 : 완전고용 수준의 재정적자 계산하기 = 384

  복습과 연습 = 386

제4부 동학과 거시정책

 제13장 인플레이션 : 임금과 가격의 동학

  1. 인플레이션의 비용 = 396

   1) 누가 인플레이션으로 고통을 받는가? = 397

   확대경 : 1920년대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 398

   2) 잘못 인식된 인플레이션 비용 = 400

  2. 인플레이션과 실업 = 401

   1) 필립스곡선 = 402

   2) 기대를 반영한 필립스곡선 = 403

   3) NAIRU 자체의 이동 = 405

   경제학의 활용 : 희생률의 계산 = 406

   4) 장기필립스곡선 = 407

   5) 합리적 기대 = 407

   정책 진단 : 물가연동채권 = 409

  3. 인플레이션, 총수요 그리고 총공급 = 410

   1) 총공급 = 410

   2) 단기균형 = 412

   3) 총수요곡선의 이동 = 413

   4) 총공급곡선의 이동 = 415

  4. 인플레이션 관성 = 417

  5. 통화정책 = 418

  6. 예상과 환율 = 419

  7. 임금과 가격 경직성의 원인 = 420

   1) 조정비용 = 421

   2) 위험과 불완전정보 = 421

   3) 굴절 수요곡선 = 422

  복습과 연습 = 425

 제14장 실업 : 임금 경직성의 이해

  1. 임금-고용의 수수께끼 = 431

  2. 임금 경직성에 대한 설명들 = 434

   1) 노조, 계약, 정부규제 = 434

   2) 효율임금이론 = 440

   확대경 : 탄자니아의 효율임금 = 442

   정책 진단 : 최저임금 = 446

   3) 오쿤의 법칙과 은폐된 실업 = 447

  3. 정책 쟁점 = 448

   1) 임금 유연성의 증가 = 449

   2) 실업비용의 감소 = 450

   3) 미국의 재취업 시스템 = 451

  복습과 연습 = 453

  부록 : 효율임금의 유도 = 456

 제15장 인플레이션과 실업 : 정책 대안

  1.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영향 = 459

   1) 기본적인 대체관계 = 459

   2) 대체관계에 대한 다른 의견 = 460

  2. 경기변동과 거시경제정책에 대한 시각 = 461

   1) 경기변동 = 462

   확대경 : 정치적 경기순환 = 466

   2) 비개입주의자의 관점 = 466

   3) 개입주의자의 관점 = 469

  3. 경제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 472

   1) 준칙이냐 재량이냐 : 개입주의자의 시각 = 473

   2)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대체관계 = 474

   정책 진단 : 1995년의 동요하는 연착륙 = 475

   3) 정책의 실행 : 정책 목표 = 476

   4) 구조조정정책 : NAIRU를 줄이기 = 477

   경제학의 활용 : 적극적 완전고용정책을 추진할 때의 위험 계산 = 478

  4. 거시경제정책의 역사 = 480

   1) 재량적 재정정책의 전성기 : 1960년대 = 481

   2) 인플레이션과 반인플레이션 정책의 시기 = 481

   3) 1990년대의 정책 = 482

   정책 진단 : 맥잡 논쟁 = 486

   4) 21세기의 경제적 도전 = 487

  복습과 연습 = 488

제5부 거시경제정책의 쟁점

 제16장 성장과 생산성

  1. 생산성의 설명 = 497

   1) 저축과 투자 = 499

   2) 양질의 노동력 = 505

   3) 낮은 생산성 부문에서 높은 생산성 부문으로 자원의 재배분 = 508

   4) 기술 변화 = 509

   정책 진단 : 미국 교육시스템의 개선 = 510

   확대경 : 내생적 성장이론 = 515

   정책 진단 : 평면 디스플레이 = 516

   5) 총요소생산성 = 517

   경제학의 활용 : 총요소생산성의 계산 = 519

  2. 노동력의 증가 = 519

  3. 경제성장의 대가 = 521

  4. 경제성장의 한계는 있는가? = 522

  5. 전망 = 523

  복습과 연습 = 525

 제17장 재정적자와 적자축소

  1. 현재 미국의 재정적자 문제의 원천 = 530

   확대경 : 예산적자의 측정 - 무엇이 큰 것이며, 무엇이 실제이고, 무엇이 올바른가? = 532

  2. 정부적자의 결과 = 534

   1) 미래세대는 재정적자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가 = 535

   2) 채무부담에 대한 다른 견해 = 536

  3. 재정적자의 해결 = 537

   1) 정부 프로그램의 축소 = 538

   2) 재정적자의 축소에서 지속되고 있는 쟁점들 = 539

   경제학의 활용 : 적자축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기 = 540

  4. 예산과정의 개선 = 541

   1) 예산강화법과 평가 = 541

   2) 자본예산 = 541

   정책 진단 : 클린턴의 재정적자축소안의 평가 = 542

   3) 예산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전략들 = 543

  5. 장기 문제 : 복지급여와 노령자 = 543

   정책 진단 : 항목거부권 = 544

   1) 미국 노령인구의 증가 = 544

   2) 노인을 위한 의료비의 증가 = 545

   3) 장기수급권 문제에 대한 처방 = 546

  복습과 연습 = 549

 제18장 무역정책

  1. 통상정책 = 554

   1) 관세 = 554

   2) 쿼터 = 555

   경제학의 활용 : 관세로 인한 손실의 측정 = 556

   3) 수출자율규제 = 557

  2. '공정거래'법 = 558

   1) 반덤핑법 = 559

   2) 보조금과 상계관세 = 559

   정책 진단 : 대리 국가와 캐나다의 골프 카트 = 560

   3) 수입품 쇄도 = 561

  3. 보호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근거 = 561

   정책 진단 : 무역 파트너로서의 일본 = 562

   1) 직장 폐쇄와 일자리 상실 = 564

   2) 근린궁핍화 정책 = 565

   3) 타격받은 부문의 임금 = 566

   4) 경쟁심화 = 567

   5) 유치산업보호론 = 568

   6) 전략적 무역이론 = 569

  4. 국제협조 = 569

   1) GATT와 WTO = 569

   2) 지역무역블록 = 570

   3) 지역간 협정과 국제협정의 상충관계 = 572

   확대경 : 구중상주의 와 신중상주의 = 573

  복습과 연습 = 575

 제19장 대안적 경제 시스템

  1. 용어 = 580

  2.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기원 = 581

   확대경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 583

   1) 시장의 환상으로부터의 각성 = 584

  3. 소련형 사회주의 경제의 작동원리 = 584

   1) 소련형 사회주의와 불평등 = 587

  4. 사회주의의 실패 = 589

   확대경 : 소련의 환경재해 = 590

   1) 실패의 이유들 = 591

  5. 소련형 사회주의 경제의 개혁 = 593

   1) 시장사회주의 = 594

   2) 유고슬라비아의 노동자 자주관리 = 597

  6. 시장경제로의 이행 = 598

   1) 거시경제적 문제 = 599

   2) 민영화와 경쟁 = 601

   3) 이행속도 = 602

   정책 진단 : 쇼크요법 = 603

  복습과 연습 = 605

 제20장 경제발전

  1. 배경 = 609

   1) 저개발국에서의 삶 = 612

  2. 저개발에 대한 설명 = 614

   경제학의 활용 : 복리의 마술 = 615

   1) 자본의 중요성 = 616

   확대경 : 자본의 원천인 다국적 기업 = 617

   2) 불평등 = 618

   확대경 : 국제 채무위기 = 619

  3. 실패한 정부 정책 = 621

   1) 계획 = 621

   2) 경제를 자극하기 = 622

   3) 정부가 문제가 될 때 = 623

  4. 동아시아의 기적 = 625

   1) 수출주도성장 = 627

   2) 평등의 신장 = 627

  5. 정부 역할의 재규정 = 628

  6. 선진국의 역할 = 630

   정책 진단 : 멕시코의 페소위기 = 631

  7. 전망 = 632

  복습과 연습 = 634

용어설명 = 637

찾아보기 = 665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 6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