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 = 7
지은이 서문 = 11
제1부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자동차와 경제학
1. 자동차 : 간단한 역사 = 34
1) 미국 자동차산업의 위기 = 37
2) 크라이슬러 : 정부에 의한 구제 = 38
정책 진단 : 트럭이 승용차? = 39
3) 해외경쟁으로부터의 보호 = 40
4) 미국 자동차산업의 재생 = 41
5) 통계수치로 본 자동차산업의 역사 = 42
2.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43
3. 혼합경제에서 시장과 정부 = 46
1) 시장 = 47
2) 정부의 역할 = 48
3) 세 가지 주요 시장 = 49
4) 두 가지 단서 : 시장과 자본이라는 용어 = 50
확대경 : 혼합경제에 대한 대안의 실패 = 51
4.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경제학의 두 부문 = 52
5. 과학으로서의 경제학 = 52
1) 관계의 발견과 해석 = 53
2) 인과관계 대 상관관계 = 54
3) 경제학에서의 실험 = 55
6. 왜 경제학자들의 의견은 서로 다른가 = 56
확대경 : 경제학자들의 동의 = 57
1) 실증경제학에서의 의견 불일치 = 58
2) 규범경제학에서의 의견 불일치 = 59
7. 희소성의 중요성에 대한 합의 = 60
복습과 연습 = 61
제2장 경제학적 사고
1. 기본경쟁모델 = 66
1) 합리적인 소비자와 이윤을 극대화하는 기업 = 66
2) 경쟁시장 = 67
2. 가격, 재산권 그리고 이윤 : 유인과 정보 = 69
1) 유인 대 평등 = 70
2) 재산권이 실패할 때 = 71
3) 유인에 대한 합의 = 72
3. 할당 = 73
4. 기회집합 = 75
1) 예산제약과 시간제약 = 75
2) 생산가능곡선 = 78
5. 비용 = 81
1) 기회비용 = 82
확대경 : 회의의 기회비용 = 83
2) 매몰비용 = 84
3) 한계비용 = 85
정책 진단 : 한계의 정책 = 86
경제학의 활용 : 안전성 표준을 설정하기 위한 한계분석의 활용 = 87
복습과 연습 = 88
부록 : 그래프 이해 = 91
제3장 수요, 공급 그리고 가격
1. 가격의 역할 = 96
2. 수요 = 97
1) 개인의 수요곡선 = 98
2) 시장수요곡선 = 99
정책 진단 : 좋은 소식은 곧 나쁜 소식이다 = 101
3) 수요곡선의 이동 = 102
4) 수요곡선 이동의 원인 = 102
확대경 : 휘발유 가격과 소형차 수요 = 104
5) 수요곡선의 이동과 수요곡선상의 이동 = 106
3. 공급 = 107
1) 시장공급 = 108
4. 공급곡선의 이동 = 110
1) 공급곡선 이동의 원인 = 110
경제학의 활용 : 1988년 가뭄의 효과에 대한 예측 = 112
2) 공급곡선의 이동과 공급곡선상의 이동 = 112
5. 수요공급의 법칙 = 113
확대경 : 경제모델의 구조 = 115
1)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활용 = 116
2) 가격 결정에 대한 합의 = 117
6. 가격, 가치 그리고 비용 = 117
복습과 연습 = 120
제2부 완전고용의 거시경제학
제4장 거시경제학의 목표와 수단
1. 세 가지 거시경제적 문제 = 128
2. 성장 = 129
1) 산출의 측정 = 130
2) 잠재 GDP = 132
3) GDP의 측정 : 산출물의 가치 = 134
정책 진단 : 경제성장의 둔화? = 137
4) 다른 총산출 측정 방식들 = 140
5) 생활수준 측정 = 141
3. 실업 = 142
1) 실업의 크기 = 143
2) 실업 통계 = 143
3) 실업 통계의 문제 = 145
4) 실업의 형태 = 146
4. 인플레이션 = 147
1) 인플레이션의 측정 = 148
2) 미국의 인플레이션 경험 = 149
3) 인플레이션의 중요성 = 150
경제학의 활용 : 소비자 물가지수(CPI)의 산정 = 151
정책 진단 : 물가지수가 중요하다! = 152
4) 인플레이션의 대안적 측정들 = 154
5. 세 가지 주요 변수들을 연결하기 = 154
6. 플로와 스톡 = 155
복습과 연습 = 156
제5장 완전고용모델
1. 거시경제적 균형 = 161
확대경 : 미시-거시 구분의 탄생 = 162
2. 노동시장 = 163
1) 노동수요와 공급곡선의 이동 = 165
3. 생산물시장 = 168
1) 총공급 = 168
2) 총수요와 균형산출량 = 169
4. 자본시장 = 170
1) 저축 = 170
2) 투자 = 172
3) 자본시장의 균형 = 173
5. 일반균형 = 174
1) 일반균형모델의 활용 = 175
6. 기본 완전고용모델의 확장 = 176
1) 정부 = 177
2) 화폐공급 = 178
경제학의 활용 : 조세 증가를 동반하는 정부지출 증대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수량화하기 = 179
정책 진단 : 글로벌 자본 부족? = 181
3) 무역 = 181
정책 진단 : 국제 자본시장의 개선 = 184
4) 거시경제학에서의 합의 = 185
5) 이후 장에서 설명할 주제들 = 186
복습과 연습 = 187
제6장 완전고용모델의 응용
1. 재정적자 = 192
1) 폐쇄경제 = 194
2) 소국 개방경제 = 195
3) 대국 개방경제 = 196
2. 무역적자 = 197
1) 자본흐름 = 197
정책 진단 : 1993년의 재정적자 감축 = 199
2) 환율 = 200
3) 저축-투자 항등식 = 202
4) 왜 무역적자가 문제인가 = 203
5) 기본 모델을 이용하여 무역적자를 분석하기 = 205
3. 성장 = 206
1) 투자촉진 = 207
2) 저축촉진 = 207
3) 재정적자의 감소 = 208
4) 개방경제 = 209
경제학의 활용 : 재정적자의 감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 210
5) 거시경제학의 합의 = 211
복습과 연습 = 212
제3부 실업의 거시경제학
제7장 실업의 거시경제학 개관
1. 거시경제모델 재론 = 220
2. 노동시장 = 221
1) 실업과 임금 경직성 = 224
2) 실업과 노동의 총공급 = 225
3. 단기생산물시장 = 226
확대경 : G-7과 세계적인 실업 문제 = 227
1) 과잉생산능력의 경제 = 230
2) 시장의 공급 측면 = 231
3) 세 가지 추가적인 합의 = 232
4. 자본시장과의 연관 = 233
경제학의 활용 : 노동시장과 생산물시장의 연관성의 수량화 = 235
5. 전후 시기의 거시경제학적 교훈 = 235
1) 케네디 감세정책 = 236
2) 레이건 정책 = 236
정책 진단 : 경제 데이터의 역할 = 238
3) 1991년의 경기침체 = 238
4) 경기활성화를 위한 적자 감축 = 239
복습과 연습 = 241
제8장 총수요
1. 소득-지출 분석 = 245
1) 국민소득-산출 항등식 = 247
2) 균형산출 = 248
3) 총지출선의 이동 = 249
4) 수학적 정식화 = 250
2. 이후의 과제 = 251
3. 소비 = 253
1) 한계소비성향 = 253
2) 한계저축성향 = 255
4. 투자 = 256
1) 승수 = 257
경제학의 활용 : 균형산출의 계산 = 258
정책 진단 : 조그만 자극이 오래간다 = 259
경제학의 활용 : 승수 계산 = 259
5. 정부와 무역 = 260
1) 정부의 효과 = 260
2) 국제무역의 효과 = 262
경제학의 활용 : 정부를 방정식에 포함하기 = 264
경제학의 활용 : 국제무역을 방정식에 포함하기 = 268
6. 총수요곡선 재론 = 269
7. 소득-지출 접근방식의 한계 = 269
복습과 연습 = 271
제9장 소비와 투자
1. 소비 = 276
1) 미래지향적 소비함수 = 276
2) 소비이론과 현실의 비교 = 279
확대경 : 경험적 수수께끼와 교묘한 이론 - 프리드만의 항상소득 가설 = 282
3) 소비이론의 거시경제적 합의 = 283
정책 진단 : 선거에 직면하여 시도되는 신속한 경기진작은 미래지향적 이론의 시험대이다 = 284
2. 투자 = 284
1) 공장 및 설비투자 = 286
확대경 : 기업 베일 = 287
경제학의 활용 : 이자율을 낮춤으로써 재정긴축효과를 상쇄하기 = 290
2) 재고투자 = 292
확대경 : 즉시 재고관리 = 294
3) 투자촉진정책 = 295
복습과 연습 = 297
부록 : 투자-저축 항등식 = 302
제10장 화폐, 은행, 신용
1. 화폐란 화폐가 수행하는 기능이다 = 308
1) 교환매개 수단으로서의 화폐 = 309
2)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화폐 = 310
3) 계산단위로서의 화폐 = 311
확대경 : 애틀랜타시에서 화폐를 찍다 = 312
4) 화폐공급의 측정 = 313
5) 화폐와 신용 = 315
확대경 : 금융 용어[미국의 경우] = 316
2. 현대 경제의 금융시스템 = 317
1) 연방준비시스템 = 318
확대경 : 금융중개기관 관련 용어 = 319
2) 화폐공급의 통제 = 321
3) 은행 규제 = 322
3. 현대 경제의 화폐 창조 = 323
정책 진단 : S&L 위기 = 324
1) 은행의 대차대조표 = 324
2) 은행은 어떻게 화폐를 창조하는가? = 326
4. 통화정책의 수단 = 331
1) 지급준비율 = 331
2) 재할인율 = 332
3) 공개시장조작 = 333
4) 적절한 정책 수단의 선택 = 334
경제학의 활용 : 화폐공급의 통제 = 335
5. 미국 은행시스템의 안정성 = 335
1) 뱅크런 위험의 축소 = 336
복습과 연습 = 339
제11장 화폐이론
1. 화폐공급과 경제활동 = 343
1) 화폐의 유통속도 = 344
경제학의 활용 : 유통속도의 계산 = 345
2) 화폐수요 = 345
3) 이자율의 효과 = 346
4) 소득효과 = 347
5) 균형 = 347
6) 통화정책과 이자율 = 348
7) 무엇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결정짓는가? = 351
8) 통화주의 = 354
확대경 : 이론 실험 - 연준이 경기침체를 일으키다 = 355
2. 전통적 화폐수요이론에 대한 비판 = 357
1) 화폐와 소득의 관계 = 357
2) 이자율과 화폐수요의 관계 = 358
3) 전통적 화폐이론에 대한 또 다른 비판 = 359
3. 다른 요인들 = 359
1) 신용 이용가능성 = 360
정책 진단 : 은행시스템의 회복 = 361
2) 포트폴리오 이론 = 361
4. 개방경제에서의 통화정책 = 362
1) 통화정책은 환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363
2) 왜 통화정책의 고전적 경로가 개방경제에서는 덜 효과적인가? = 363
복습과 연습 = 365
제12장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1. 재정정책 = 371
1) 경기침체를 벗어나기 위한 재정적자정책은 가치가 있는가? = 371
경제학의 활용 : 고용창출 = 373
2) 재정제약 조건 아래에서의 재정정책 = 373
3) 균형예산승수 = 374
2. 통화정책 = 375
3.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상호작용 = 376
4.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차이점 = 377
1) 산출물 구성 효과 = 377
2) 통화 및 재정정책의 효과 면에서의 차이점 = 378
확대경 : 공적 장막과 재정적자의 효과 = 379
3)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시차 = 380
5. 균형재정조항의 효과 = 381
정책 진단 : 재정적자 감소와 경기활성화 = 382
경제학의 활용 : 완전고용 수준의 재정적자 계산하기 = 384
복습과 연습 = 386
제4부 동학과 거시정책
제13장 인플레이션 : 임금과 가격의 동학
1. 인플레이션의 비용 = 396
1) 누가 인플레이션으로 고통을 받는가? = 397
확대경 : 1920년대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 398
2) 잘못 인식된 인플레이션 비용 = 400
2. 인플레이션과 실업 = 401
1) 필립스곡선 = 402
2) 기대를 반영한 필립스곡선 = 403
3) NAIRU 자체의 이동 = 405
경제학의 활용 : 희생률의 계산 = 406
4) 장기필립스곡선 = 407
5) 합리적 기대 = 407
정책 진단 : 물가연동채권 = 409
3. 인플레이션, 총수요 그리고 총공급 = 410
1) 총공급 = 410
2) 단기균형 = 412
3) 총수요곡선의 이동 = 413
4) 총공급곡선의 이동 = 415
4. 인플레이션 관성 = 417
5. 통화정책 = 418
6. 예상과 환율 = 419
7. 임금과 가격 경직성의 원인 = 420
1) 조정비용 = 421
2) 위험과 불완전정보 = 421
3) 굴절 수요곡선 = 422
복습과 연습 = 425
제14장 실업 : 임금 경직성의 이해
1. 임금-고용의 수수께끼 = 431
2. 임금 경직성에 대한 설명들 = 434
1) 노조, 계약, 정부규제 = 434
2) 효율임금이론 = 440
확대경 : 탄자니아의 효율임금 = 442
정책 진단 : 최저임금 = 446
3) 오쿤의 법칙과 은폐된 실업 = 447
3. 정책 쟁점 = 448
1) 임금 유연성의 증가 = 449
2) 실업비용의 감소 = 450
3) 미국의 재취업 시스템 = 451
복습과 연습 = 453
부록 : 효율임금의 유도 = 456
제15장 인플레이션과 실업 : 정책 대안
1.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영향 = 459
1) 기본적인 대체관계 = 459
2) 대체관계에 대한 다른 의견 = 460
2. 경기변동과 거시경제정책에 대한 시각 = 461
1) 경기변동 = 462
확대경 : 정치적 경기순환 = 466
2) 비개입주의자의 관점 = 466
3) 개입주의자의 관점 = 469
3. 경제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 472
1) 준칙이냐 재량이냐 : 개입주의자의 시각 = 473
2)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대체관계 = 474
정책 진단 : 1995년의 동요하는 연착륙 = 475
3) 정책의 실행 : 정책 목표 = 476
4) 구조조정정책 : NAIRU를 줄이기 = 477
경제학의 활용 : 적극적 완전고용정책을 추진할 때의 위험 계산 = 478
4. 거시경제정책의 역사 = 480
1) 재량적 재정정책의 전성기 : 1960년대 = 481
2) 인플레이션과 반인플레이션 정책의 시기 = 481
3) 1990년대의 정책 = 482
정책 진단 : 맥잡 논쟁 = 486
4) 21세기의 경제적 도전 = 487
복습과 연습 = 488
제5부 거시경제정책의 쟁점
제16장 성장과 생산성
1. 생산성의 설명 = 497
1) 저축과 투자 = 499
2) 양질의 노동력 = 505
3) 낮은 생산성 부문에서 높은 생산성 부문으로 자원의 재배분 = 508
4) 기술 변화 = 509
정책 진단 : 미국 교육시스템의 개선 = 510
확대경 : 내생적 성장이론 = 515
정책 진단 : 평면 디스플레이 = 516
5) 총요소생산성 = 517
경제학의 활용 : 총요소생산성의 계산 = 519
2. 노동력의 증가 = 519
3. 경제성장의 대가 = 521
4. 경제성장의 한계는 있는가? = 522
5. 전망 = 523
복습과 연습 = 525
제17장 재정적자와 적자축소
1. 현재 미국의 재정적자 문제의 원천 = 530
확대경 : 예산적자의 측정 - 무엇이 큰 것이며, 무엇이 실제이고, 무엇이 올바른가? = 532
2. 정부적자의 결과 = 534
1) 미래세대는 재정적자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가 = 535
2) 채무부담에 대한 다른 견해 = 536
3. 재정적자의 해결 = 537
1) 정부 프로그램의 축소 = 538
2) 재정적자의 축소에서 지속되고 있는 쟁점들 = 539
경제학의 활용 : 적자축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하기 = 540
4. 예산과정의 개선 = 541
1) 예산강화법과 평가 = 541
2) 자본예산 = 541
정책 진단 : 클린턴의 재정적자축소안의 평가 = 542
3) 예산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전략들 = 543
5. 장기 문제 : 복지급여와 노령자 = 543
정책 진단 : 항목거부권 = 544
1) 미국 노령인구의 증가 = 544
2) 노인을 위한 의료비의 증가 = 545
3) 장기수급권 문제에 대한 처방 = 546
복습과 연습 = 549
제18장 무역정책
1. 통상정책 = 554
1) 관세 = 554
2) 쿼터 = 555
경제학의 활용 : 관세로 인한 손실의 측정 = 556
3) 수출자율규제 = 557
2. '공정거래'법 = 558
1) 반덤핑법 = 559
2) 보조금과 상계관세 = 559
정책 진단 : 대리 국가와 캐나다의 골프 카트 = 560
3) 수입품 쇄도 = 561
3. 보호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근거 = 561
정책 진단 : 무역 파트너로서의 일본 = 562
1) 직장 폐쇄와 일자리 상실 = 564
2) 근린궁핍화 정책 = 565
3) 타격받은 부문의 임금 = 566
4) 경쟁심화 = 567
5) 유치산업보호론 = 568
6) 전략적 무역이론 = 569
4. 국제협조 = 569
1) GATT와 WTO = 569
2) 지역무역블록 = 570
3) 지역간 협정과 국제협정의 상충관계 = 572
확대경 : 구중상주의 와 신중상주의 = 573
복습과 연습 = 575
제19장 대안적 경제 시스템
1. 용어 = 580
2.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기원 = 581
확대경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 583
1) 시장의 환상으로부터의 각성 = 584
3. 소련형 사회주의 경제의 작동원리 = 584
1) 소련형 사회주의와 불평등 = 587
4. 사회주의의 실패 = 589
확대경 : 소련의 환경재해 = 590
1) 실패의 이유들 = 591
5. 소련형 사회주의 경제의 개혁 = 593
1) 시장사회주의 = 594
2) 유고슬라비아의 노동자 자주관리 = 597
6. 시장경제로의 이행 = 598
1) 거시경제적 문제 = 599
2) 민영화와 경쟁 = 601
3) 이행속도 = 602
정책 진단 : 쇼크요법 = 603
복습과 연습 = 605
제20장 경제발전
1. 배경 = 609
1) 저개발국에서의 삶 = 612
2. 저개발에 대한 설명 = 614
경제학의 활용 : 복리의 마술 = 615
1) 자본의 중요성 = 616
확대경 : 자본의 원천인 다국적 기업 = 617
2) 불평등 = 618
확대경 : 국제 채무위기 = 619
3. 실패한 정부 정책 = 621
1) 계획 = 621
2) 경제를 자극하기 = 622
3) 정부가 문제가 될 때 = 623
4. 동아시아의 기적 = 625
1) 수출주도성장 = 627
2) 평등의 신장 = 627
5. 정부 역할의 재규정 = 628
6. 선진국의 역할 = 630
정책 진단 : 멕시코의 페소위기 = 631
7. 전망 = 632
복습과 연습 = 634
용어설명 = 637
찾아보기 = 665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 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