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07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00878278 | |
005 | 20100806075736 | |
007 | ta | |
008 | 040325s2004 ulka b 001a kor | |
020 | ▼a 8990618029 ▼g 03910 : ▼c \18000 | |
035 | ▼a KRIC09181950 | |
040 | ▼a 211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49 | 1 | ▼l 111282135 ▼l 111282136 |
082 | 0 4 | ▼a 659.152 ▼a 909.8 ▼2 21 |
090 | ▼a 659.152 ▼b 2004 | |
100 | 1 | ▼a 吉見俊哉 ▼0 AUTH(211009)102002 |
245 | 1 0 | ▼a 박람회 : ▼b 근대의 시선 / ▼d 요시미 순야 지음 ; ▼e 이태문 옮김. |
246 | 1 9 | ▼a 博覽會の政治學 : まなざしの近代 |
260 | ▼a 서울 : ▼b 논형 , ▼c 2004. | |
300 | ▼a 339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일본근대 스펙트럼 ; ▼v 2 |
500 | ▼a 찾아보기: p. 337-339 | |
504 | ▼a 참고문헌: p. 329-336 | |
534 | ▼p 원본사항: ▼c 東京 : 中央公論社, 1992. ▼z 4121010906 | |
700 | 1 | ▼a 이태문, ▼e 역 ▼0 AUTH(211009)4229 |
900 | 1 1 | ▼a 요시미 순야 |
940 | ▼a 박람회노정치학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52 2004 | Accession No. 11128213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10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52 2004 | Accession No. 1112821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원제는 '박람회의 정치학', 박람회를 중심으로 일본 근대의 역사를 해석하고 있다. 당시의 일본인들이 어떻게 박람회를 만들고, 박람회에서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꼈을지, 또 그러한 경험 구조가 박람회의 시대를 통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소개한다.
주목할만한 점은 박람회가 '군집의 공간'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 저자는 국민국가와 제국주의, 소비문화의 단초를 박람회에서 찾고 있다. '일본근대 스펙트럼' 시리즈는 일본이 수용한 근대의 원형을 밝히고 이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본사회에 뿌리내렸는지 살펴보고자 기획된 시리즈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요시미 슌야(지은이)
도쿄대 교양학부에 입학해 신설된 상관사회과학분과를 1기로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도쿄대 사회정보연구소 교수, 정보학환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도쿄대 대학원 정보학환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쿄대 부총장, 신문사 이사장, 대학종합교육연구센터장, 교육기획실장, 대학사료실장 등을 겸직하고 있다. 『대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저자는 대학을 고정된 교육제도가 아니라 시대 상황과 긴밀하게 연동해 지식을 매개하는 집합적 실천의 구조화된 장, 즉 ‘미디어’로서 새롭게 정의하고, 그 역사를 살핌으로써 미래의 대학상을 그려보인다. 주로 사회학, 도시론, 미디어론, 문화연구 분야에 천착해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저서로 『도시의 드라마투르기』 『박람회』 『소리의 자본주의』 『미디어문화론』 『만국 박람회 환상』 『문화연구』 등이 있다.
이태문(옮긴이)
1965년, 서울 구로동에서 태어났으며, 시인이다.「시세계」,「시문학」으로 데뷔하였고,「문학마을」에도 작품활동하였다. 연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박사과정를 수료했다. 일본문부성 국비장학생으로 1997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외국어 대학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동 대학원 외국인연구자, 일본여행문화연구소 공동연구원을 거쳐 게이오 대학, 오쓰마 여자대학, 공립약과 대학 강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오누이 이야기'의 양상과 의미에 관한 연구', '무가계 고려속요의 사회적 기능과 의미', '이성계 전설의 인물인식과 그 특징', '박람회를 둘러싼 다양한 견해들-식민지 조선과 박람회' 등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기획의 말 = 5 한국어판 인사말 = 8 박람회를 번역하면서 = 13 서장 박람회라는 근대 = 23 1. '발견'된 세계 = 24 2. 박물학적 시선의 확대 = 30 3. 박람회의 정치학을 위해 = 38 1장 수정궁의 탄생 = 47 1. 혁명제전에서 박람회로 = 48 2. 거대온실 '수정궁' = 54 3. 상품세계를 관람한다 = 60 4. 스펙터클을 소비하는 대중 = 66 5. '선보이기' 도시의 변모 = 72 2장 박람회 도시의 형성 = 83 1. 제2제정과 만국박람회 = 84 2. 에펠탑과 세계관광 = 90 3. 산업의 궁전, 소비의 궁전 = 101 4. 박람회 도시 '파리' = 110 5. 증식하는 박람회 도시 = 116 3장 문명개화와 박람회 = 125 1. 일본인, 만국박람회를 보다 = 126 2. 메이지 일본과 박람회 사상 = 133 3. 시선의 근대적 재편 = 141 4. 민중 속의 내국권업박람회 = 149 5. 박람회, 권공장, 백화점 = 156 4장 연출된 소비문화 = 167 1. 구경거리 '박람회' = 168 2. 가정생활의 전시 = 175 3. 백화점 속의 박람회 = 182 4. 전철·신문사와 박람회 = 189 5. 박람회 전문업자들의 활약 = 201 5장 제국주의의 제전 = 209 1. 박람회장 속의 식민지 = 210 2. 흰 상아의 도시와 미드웨이 = 217 3. '제국' 아메리카 = 224 4. 증식하는 '제국'의 시선 = 231 5. 재패니즘과 제국주의 = 236 6장 변용하는 박람회 공간 = 249 1. 오사카 만국박람회는 '축제' = 250 2. 매스 미디어의 대중동원력 = 258 3. 기업 파빌리언과 '미래도시' = 266 4. 상업주의에 담긴 '미래' = 273 5. 만국박람회에서 놀이동산으로 = 281 종장 박람회와 문화 정치학 = 289 1. 제국주의, 소비사회, 대중오락 = 290 2. 권력장치의 박람회 = 298 3. 스펙터클의 사회이론을 향해 = 305 후기 = 313 부록1 제1∼5회 내국권업박람회의 디스플레이 = 317 부록2 국내박람회 연보 = 319 부록3 조선 이외의 일본에 의한 식민지 박람회 개최현황 = 322 부록4 식민지시대 일본내 박람회 참가현황 = 323 부록5 국제박람회 연보 = 326 참고문헌 = 329 찾아보기 =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