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0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877788 | |
005 | 20100806074541 | |
007 | ta | |
008 | 040416s2004 ulka 000a kor | |
020 | ▼a 8974832089 ▼g 03900: ▼c \16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49 | 1 | ▼l 111283072 ▼l 111283073 |
082 | 0 4 | ▼a 951.9 ▼2 21 |
085 | ▼a 953 ▼2 DDCK | |
090 | ▼a 953 ▼b 2004e | |
110 | ▼a 역사학연구소 | |
245 | 1 0 | ▼a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 ▼d 역사학연구소 지음. |
260 | ▼a 서울 : ▼b 서해문집 , ▼c 2004 ▼g (2008 7쇄). | |
300 | ▼a 543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서해역사책방 ; ▼v 5 |
500 | ▼a 부록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112830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1128307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211070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211070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512644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112830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1128307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211070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211070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 2004e | 등록번호 1512644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95년 출간된 <강좌 한국근현대사>의 개정.증보판이다. 기존 책의 오류를 고치고, 서술 체제를 달리하여 새로 썼다. 문민정부까지의 역사와 통일문제를 덧붙이고 1990년대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수용하여 민중생활사 부분을 보강한 점이 눈에 띈다.
현대사 서술에서 문제가 되기 쉬운 역사적 엄정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주목 할 만 하다. 역사적 기록, 격문, 실제 정부기록 등의 자료를 직접 인용하여 서술의 객관성을 높였고, 위로부터의 역사와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함께 다뤘다. 역사의 현장을 담은 사진과 용어해설, '함께 생각해 볼 문제'를 수록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4 근대 제1강 개항과 근대 개혁운동의 태동 1. 개항 전후 나라 안팎의 정세와 사회 변동 = 18 나라 안팎의 정세 변화 = 18 대원군 정권과 서구 열강의 침략 = 22 개항과 사회경제 변화 = 25 2. 개화파의 부르주아 개혁운동 = 32 개화사상과 개화파의 형성 = 32 갑신정변 = 35 갑오개혁 = 39 3. 1894년 농민전쟁 = 43 1894년 이전 농민항쟁 = 43 동학과 교조신원운동 = 45 1894년 농민전쟁 = 47 제2강 대한제국 시기 개혁운동과 국권회복운동 1. 제국주의 열강의 이권 침탈과 개혁운동 = 60 제국주의 열강의 이권 침탈과 경제 변화 = 60 대한제국 시기 지배층의 개혁운동 = 68 대한제국 시기 민중운동 = 76 2. 일제의 침략과 국권회복운동 = 81 일제의 국권 침탈과 식민지화 정책 = 81 문화계몽운동과 신민회 = 89 의병전쟁 = 95 제3강 일제의 무단통치와 3·1 민족해방운동 1. 일제의 무단통치와 식민지체제 = 110 무단통치의 실상 = 110 식민지 수탈체제의 확립과 민중의 상태 = 114 2.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 = 121 국내 민족해방운동 = 121 나라 밖 반일민족운동 = 125 3. 3·1 운동 = 130 나라 밖 정세와 3·1운동 전야 = 130 3·1운동 = 134 제4강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1. 일제의 '문화정치'와 식민지자본주의의 전개 = 144 문화정치의 실시 = 144 산미증식계획과 식민지자본주의 = 146 민중의 사회·경제적 상태와 계급 구성 변화 = 149 2. 부르주아 민족주의운동의 분열과 쇠퇴 = 152 민족개량주의와 실력양성운동 = 15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성립과 활동 = 155 만주 지역 민족해방운동 = 159 3. 사회주의운동의 성장과 민중운동의 발전 = 165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조선공산당 = 165 노동운동 = 171 농민운동 = 176 여러 부문운동 = 179 4. 신간회 운동 = 184 신간회의 창립과 활동 = 184 신간회 해소와 역사적 의의 = 188 제5강 일제 전시체제와 민족해방운동의 발전 1. 일제 전시체제와 식민지 지배정책 = 194 세계공황과 일본제국주의의 지배정책 = 194 일제의 식민지 경제정책 변화와 민중의 생활 = 198 2. 국내 사회주의운동과 민중의 투쟁 = 206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 206 혁명적 노동조합운동과 노동운동 = 208 혁명적 농민조합운동과 농민운동 = 214 3. 중일전쟁 뒤 일제정책과 민족해방운동 = 218 황국신민화 정책과 친일파 활동 = 218 중일전쟁 뒤 국내 민족해방운동 = 226 4. 해외 항일무장투쟁 = 231 재만 조선인의 유격대 건립과 민족해방운동 = 231 '재만 조선인 조국광복회' 결성과 국내 진공 = 235 중국 관내 민족해방운동 = 238 충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 242 현대 제1강 해방과 분단국가의 수립 1.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 252 해방과 민중의 움직임 = 252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의 활동 = 255 2. 미소의 한반도 점령과 정치세력의 동향 = 260 미국의 한반도 정책 = 260 국내 정치세력의 동향 = 264 소련의 북한 점령과 민주 개혁 = 270 3.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민중항쟁 = 276 모스크바 삼상회의와 좌우익 대립 = 276 미소공동위원회와 좌우합작운동 = 280 민중의 생활과 민중항쟁 = 285 4. 단정 반대투쟁과 분단국가의 수립 = 290 분단의 진행과 민중투쟁 = 290 분단국가의 수립 = 294 제2강 이승만 정권과 4월 혁명 1. 한국전쟁과 분단고착화 = 300 전쟁의 배경 = 300 전쟁의 전개 과정 = 305 전쟁이 남긴 것 = 311 2. 이승만 정권과 원조경제 = 315 이승만 정권의 강화 = 315 1950년대 한국경제 = 325 3. 4월 혁명 = 330 4월 혁명의 배경 = 330 운동의 전개 과정 = 334 제3강 박정희 정권과 한국자본주의 발전 1. 박정희 군부정권의 등장 = 344 5·16 쿠데타와 군정 = 344 제3공화국 = 349 2. 근대화와 1960년대 한국자본주의 = 355 근대화와 세계경제 = 355 국가 주도의 경제개발정책 = 357 '한강의 기적'의 실상 = 363 3. 유신체제와 1970년대 중화학공업 = 371 유신체제의 성립 = 371 1970년대 중화학공업 전략 = 377 1960·1970년대 사회 변동 = 387 4.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 = 390 1960·1970년대 초 민주화운동 = 390 유신체제에 맞선 민주화운동과 민중운동의 성장 = 397 부마항쟁과 유신체제의 붕괴 = 406 제4강 민족민중운동의 발전과 냉전체제의 붕괴 1. 광주민중항쟁과 5·6공화국의 성격 = 414 '서울의 봄'과 반동의 '서막' = 414 광주민주항쟁 = 417 5·6공화국의 구조와 성격 = 424 2. 1980년대 세계자본주의 경제의 변화와 한국경제 = 430 세계자본주의 경제의 변화와 '우루과이라운드' = 430 1980년대 한국경제 = 433 민중의 생활과 민족민중문화의 성장 = 437 3. 1980년대 민족민중운동의 고양 = 442 1980년대 전반기 억압과 탄압의 굴레를 뚫고 = 442 6월 민주화항쟁과 7·8·9월 노동자대투쟁 = 447 1980년대 후반기 사회운동 = 453 4. 고난과 혼돈을 넘어 = 461 군사정부에서 '민선정부'로 = 461 새로운 세기를 맞으며 = 464 제5강 북한의 사회주의 건설 1. 한국전쟁과 사회주의 이행 = 472 한국전쟁의 결과와 전후 복구사업 = 472 사회주의 이행 과정 = 476 2. 경제건설 계획과 생산관리 체제 = 483 자립적 민족경제와 경제계획 = 483 경제의 지도관리체계 = 489 3. 자주노선과 유일지도체계의 확립 = 493 자주노선의 전개 = 493 3대혁명과 유일지도체계의 확립 = 497 4.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개혁·개방정책 = 504 1980년 6차 당대회와 후계체제 강화 = 504 북한의 대응과 전망 = 509 특강 : 남북한의 통일정책과 통일문제 분단의 역사적 성격 = 518 남한의 통일정책과 전개 과정 = 520 북한의 통일정책과 전개 과정 = 527 통일문제의 현재와 과제 = 535 부록 - 연표 =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