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베이직 경제학 : 개념과 원리

베이직 경제학 : 개념과 원리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백주현 白注鉉 주지호
Title Statement
베이직 경제학 = Basic economics : 개념과 원리 / 백주현 ; 주지호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貿易經營社 ,   2003.  
Physical Medium
xix, 495 p. : 삽도 ; 25 cm.
ISBN
8946802766
General Note
부록: 시사경제용어 해설  
색인수록  
000 00681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877527
005 20100806073855
007 ta
008 031001s2003 ulka 001a kor
020 ▼a 8946802766 ▼g 93320 : ▼c \23,000
035 ▼a KRIC08957363
040 ▼a 211059 ▼d 211009
049 1 ▼l 111264349 ▼l 111264350
082 0 4 ▼a 330 ▼2 21
090 ▼a 330 ▼b 2003w
100 1 ▼a 백주현 ▼g 白注鉉
245 1 0 ▼a 베이직 경제학 = ▼x Basic economics : ▼b 개념과 원리 / ▼d 백주현 ; ▼e 주지호 공저.
260 ▼a 서울 : ▼b 貿易經營社 , ▼c 2003.
300 ▼a xix, 495 p. : ▼b 삽도 ; ▼c 25 cm.
500 ▼a 부록: 시사경제용어 해설
500 ▼a 색인수록
700 1 ▼a 주지호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0 2003w Accession No. 1112643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0 2003w Accession No. 1112643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경제학의 기초개념
 제1장 경제문제와 경제체제
  1.1 희소성과 경제문제 = 3
  1.2 세 가지 근본적인 경제문제 = 5
  1.3 희소성, 선택, 그리고 기회비용 = 6
  1.4 경제체제의 비교 = 8
   1. 시장경제체제 = 9
   2. 계획경제체제 = 13
   3. 혼합경제체제 = 14
   4. 계획경제체제의 변화와 한국경제 = 17
  요약 = 19
  주요용어 = 19
  연습문제 = 20
 제2장 경제학이란
  2.1 경제학의 정의 = 21
  2.2 경제이론의 구분 = 22
   1.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 22
   2. 정태경제학과 동태경제학 = 23
   3.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23
   4. 수리경제학과 계량경제학 = 24
  2.3 사회과학으로서의 경제학 = 24
  요약 = 26
  주요용어 = 26
  연습문제 = 27
 제3장 수요·공급 및 가격결정의 원리
  3.1 시장과 가격 = 29
  3.2 수요 = 31
   1. 수요의 개념 = 31
   2. 수요의 결정요인 = 32
   3. 수요함수 = 35
   4. 수요곡선과 수요의 법칙 = 36
   5. 개별수요곡선과 시장수요곡선 = 38
   6. 수요량과 수요의 변화 = 39
  3.3 공급 = 40
   1. 공급의 개념 = 40
   2. 공급의 결정요인 = 41
   3. 공급함수 = 42
   4. 공급곡선과 공급의 법칙 = 43
   5. 개별공급곡선과 시장공급곡선 = 44
   6. 공급량과 공급의 변화 = 45
  3.4 균형가격의 결정 = 46
   1. 균형가격의 결정 = 46
   2. 균형가격의 이동 = 49
  3.5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 52
   1. 수요의 탄력성 = 53
   2. 공급의 탄력성 = 61
   3.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의 결정요인 = 63
  3.6 현실경제와 수요·공급이론의 응용 = 64
   1. 가격통제 = 65
   2. 농산물가격의 불안정성 = 68
  3.7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69
   1. 소비자잉여 = 69
   2. 생산자잉여 = 70
  요약 = 71
  주요용어 = 74
  연습문제 = 74
제2편 미시경제학의 이해
 제4장 소비자이론
  4.1 소비자이론의 개념 = 79
  4.2 한계효용이론 = 80
   1. 효용과 총효용 = 80
   2. 총효용과 한계효용의 관계 = 81
   3. 효용극대화의 조건 = 84
   4. 수요곡선의 유도 = 85
  4.3 무차별곡선이론 = 86
   1. 무차별곡선의 개념 = 87
   2. 예산선 = 90
   3. 무차별곡선과 소비자균형 = 92
   4. 가격효과-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93
  요약 = 96
  주요용어 = 97
  연습문제 = 97
 제5장 기업이론
  5.1 기업의 특성 = 99
  5.2 생산함수 = 101
   1. 생산함수의 기초개념 = 101
   2. 총생산물·한계생산물 및 평균생산물 = 102
   3. 생산의 3단계 = 104
  5.3 한계생산물균등의 법칙 = 105
  5.4 등생산량곡선과 등비용선 = 106
   1. 등생산량곡선 = 106
   2. 등비용선 = 108
   3. 비용최소화의 조건 = 110
  5.5 생산비의 기초개념 = 111
  5.6 단기비용곡선 = 112
   1. 총비용 = 113
   2. 평균비용 = 114
   3. 한계비용 = 118
  5.7 장기비용곡선 = 121
   1. 장기평균비용곡선 = 122
   2. 규모에 대한 보수변화와 장기평균비용곡선 = 123
  요약 = 125
  주요용어 = 127
  연습문제 = 127
 제6장 시장의 형태와 가격 및 생산량의 결정
  6.1 시장의 형태 = 129
  6.2 완전경쟁시장 = 131
   1. 완전경쟁시장의 정의 = 131
   2. 완전경쟁기업의 수요곡선과 수입곡선 = 132
   3.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균형 = 135
   4.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138
   5. 완전경쟁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140
   6. 완전경쟁산업의 장기균형 = 142
  6.3 독점시장 = 143
   1. 불완전경쟁의 시장형태 = 143
   2. 독점의 정의 = 144
   3. 독점의 발생요인 = 145
   4. 독점기업의 수요곡선과 수입곡선 = 146
   5. 독점기업의 단기균형 = 148
   6. 독점과 완전경쟁의 가격 및 생산량 비교 = 150
   7. 독점기업의 장기균형 = 151
   8. 독점기업의 가격차별 = 152
  6.4 과점시장 = 154
   1. 과점의 특징 = 154
   2. 굴절수요곡선의 이론 = 155
   3. 가격선도이론 = 157
   4. 과점기업의 비가격경쟁 = 158
  6.5 독점적 경쟁시장 = 158
   1. 독점적 경쟁의 특징 = 158
   2. 독점적 경쟁기업의 균형 = 159
   3. 독점적 경쟁의 평가 = 161
  6.7 독과점시장과 정부규제 = 163
  요약 = 164
  주요용어 = 166
  연습문제 = 167
 제7장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7.1 소득분배의 접근방법 = 169
  7.2 완전경쟁의 생산요소 가격결정 = 170
   1.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 = 170
   2. 생산요소의 공급 = 173
   3. 생산요소의 시장가격과 고용량 결정 = 174
  7.3 인적분배와 불평등문제 = 175
   1. 로렌츠곡선과 지니계수 = 176
   2. 소득불평등의 원인 = 178
   3. 바람직한 소득분배 = 179
  요약 = 180
  주요용어 = 181
  연습문제 = 181
 제8장 시장실패와 정부의 역할
  8.1 시장실패의 의미 = 183
  8.2 시장실패의 원인 = 184
   1. 불충분한 경쟁 = 184
   2. 불충분한 정보 = 184
   3. 자원이동의 비신축성 = 185
   4. 공공재 = 185
   5. 외부효과 = 187
  8.3 정부의 역할 = 189
  요약 = 190
  주요용어 = 191
  연습문제 = 191
 제9장 디지털경제의 이해
  9.1 디지털경제의 개념 = 193
  9.2 디지털경제와 패러다임변화 = 194
   1. 시장참가자들의 변화 = 195
   2. 시장제품의 변화 = 195
   3. 시장 프로세스의 변화 = 196
  9.3 디지털사회의 등장 = 196
  9.4 디지털경제의 특징 = 197
   1. 디지털상품 = 197
   2. 수확체증의 법칙 = 197
   3. 거래비용과 탐색비용 감소 = 198
  9.5 디지털경제의 이슈 = 198
   1. 품질과 정보의 불완전성 문제 = 198
   2. 가격정책 = 200
   3. 정보재와 경제학 = 201
   4. 저작권의 보호 = 202
   5. 탐색서비스 = 203
   6. 고객정보의 사용 = 204
   7. 세금과 EC의 미래 = 204
   8. 익명성과 상거래를 위한 법적 환경 = 205
   9. EC의 세계적인 체계 = 205
   10. 정보인프라의 경제학 = 208
  요약 = 209
  주요용어 = 210
  연습문제 = 210
제3편 거시경제학의 이해
 제10장 거시경제학의 기초
  10.1 거시경제학의 기본개념 = 213
  10.2 국민경제의 순환 = 214
  10.3 거시경제의 주요 이슈 = 217
   1. 실질국내총생산 = 217
   2. 실업, 인플레이션 및 이자율 = 218
   3. 국제수지와 환율 = 219
   4. 총수요와 총공급 = 220
  요약 = 221
  주요용어 = 222
  연습문제 = 222
 제11장 국민소득의 개념과 측정
  11.1 국민소득의 개념 = 223
   1. 국민총생산의 정의 = 224
   2. GNP 삼면등가의 원칙 = 227
   3. 명목GNP와 실질GNP = 229
   4. GNP개념의 한계 = 230
   5. 경제후생지표 = 231
   6. 국내총생산(GDP) = 233
  11.2 기타 국민소득의 개념 = 234
   1. 국민순생산 = 234
   2. 국민소득 = 234
   3. 개인소득 = 235
  11.3 국민계정과 여러 가지 경제지표 = 236
   1. 국민계정 = 236
   2. 국민계정을 이용한 여러 가지 경제지표 작성 = 237
  요약 = 241
  주요용어 = 242
  연습문제 = 242
 제12장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12.1 균형국민소득의 개념 = 245
  12.2 총수요와 총수요곡선 = 246
   1. 총수요의 개념 = 246
   2. 총수요곡선 = 250
   3.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 251
   4. 총수요곡선의 이동 = 253
  12.3 총공급과 총공급곡선 = 254
   1. 총공급곡선의 개념 = 254
   2. 단기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 = 255
   3. 단기총공급곡선의 이동 = 258
   4. 장기총공급곡선이 수직인 이유 = 259
   5. 장기총공급곡선의 이동 = 260
  12.4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 261
   1. 단기균형국민소득 = 261
   2. 장기균형국민소득 = 262
   3. 균형국민소득의 자동조정 = 265
  요약 = 266
  주요용어 = 266
  연습문제 = 267
 제13장 화폐와 금융
  13.1 화폐의 본질 = 269
   1. 화폐의 정의 = 269
   2. 화폐의 기능 = 270
   3. 화폐의 종류 = 272
   4. 통화지표 = 272
  13.2 화폐의 수요 = 278
  13.3 화폐의 공급 = 279
   1. 중앙은행의 본원통화공급 = 280
   2. 예금은행의 신용창조 = 281
  13.4 이자율의 결정 = 283
  13.5 금융과 금융기관 = 284
   1. 금융의 의미 = 284
   2. 금융시장 = 285
   3. 금융기관 = 288
   4. 미국의 금융기관 = 294
  요약 = 295
  주요용어 = 296
  연습문제 = 296
 제14장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14.1 통화정책 = 299
   1. 통화정책의 의미 = 299
   2. 일반적 정책수단 = 301
   3. 선별적 정책수단 = 303
   4. 통화정책의 효과 = 304
  14.2 재정정책 = 306
   1. 재정의 의의 = 306
   2. 재정정책의 의미 = 307
   3. 재정정책의 효과 = 310
  14.3 장기와 단기의 효과 = 315
  14.4 IS-LM모형 = 316
   1. IS-LM모형의 도출 = 316
   2.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의 효과 = 319
   3. IS-LM모형과 총수요·총공급모형의 관계 = 310
  요약 = 321
  주요용어 = 321
  연습문제 = 322
 제15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15.1 실업 = 323
   1. 실업의 정의 = 323
   2. 실업의 형태 = 326
   3. 비자발적 실업과 원인 = 328
   4. 실업에 대한 대책 = 330
  15.2 물가와 물가지수 = 331
   1. 물가의 정의 = 331
   2. 물가지수의 개념과 종류 = 332
   3. 물가지수의 계산방법 = 338
  15.3 인플레이션 = 339
   1. 인플레이션의 정의 = 339
   2. 인플레이션의 원인 = 340
   3. 인플레이션의 영향 = 343
   4. 인플레이션의 대책 = 345
   5. 필립스곡선과 스태그플레이션 = 346
   6. 디플레이션 = 348
  요약 = 350
  주요용어 = 350
  연습문제 = 351
제4편 국제경제학의 기초
 제16장 국제무역이론의 기초
  16.1 국제경제의 특수성 = 355
  16.2 국제무역의 원리 = 356
   1. 아담 스미스의 절대우위이론 = 358
   2. 리카도의 비교우위이론 = 359
   3. 헥셔-오린의 정리 = 360
  16.3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 362
   1.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 362
   2. 보호무역의 수단 = 363
  16.4 자유무역을 위한 국제협력 = 367
   1.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 367
   2.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타결과 세계무역기구(WTO)의 등장 = 369
  요약 = 370
  주요용어 = 371
  연습문제 = 371
 제17장 국제수지와 환율
  17.1 국제수지의 개념 = 373
  17.2 국제수지표의 구성 = 374
   1. 국제수지통계 개편의 배경 = 374
   2. 주요 내용 = 376
  17.3 외환시장과 환율 = 379
   1. 외환시장 = 379
   2. 환율의 개념 = 380
   3. 외환시장과 환율의 결정 = 382
   4.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84
   5. 환율제도 = 385
   6. 우리 나라의 환율제도 = 388
  17.4 선물환거래와 선물거래 = 390
   1. 선물환거래 = 390
   2. 선물거래 = 392
  요약 = 393
  주요용어 = 393
  연습문제 = 394
 제18장 국제경제환경
  18.1 국제경제환경의 변화 = 395
  18.2 유럽연합(EU) = 396
  18.3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 399
  18.4 북미자유무역지대(NAFTA) = 401
  18.5 우루과이라운드(UR) = 402
   1. UR의 출범배경과 주요 내용 = 402
   2. UR 협상타결과 그 의미 = 404
  18.6 세계무역기구(WTO) = 406
  18.7 그린라운드 = 408
  18.8 신통상이슈 = 410
  18.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414
   1. OECD의 출범배경 = 414
   2. OECD 가입의 의미 = 415
  18.10 국제통화기금(IMF) = 416
   1. IMF의 생성배경 = 417
   2. 조직 및 기능 = 417
   3. IMF 관리경제와 경제주체 = 420
  18.11 중국경제의 부상과 동아시아 경제권 = 421
  요약 = 422
  주요용어 = 423
  연습문제 = 423
부록 : 시사경제용어 해설 = 425
사항색인 = 48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홍제환 (2023)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거시경제분석과 (2023)
홍기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