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ⅴ
교사에게 = ⅸ
제1장 교수 설계에 대한 소개
1.1 교수 설계를 위한 딕과 캐리의 체제 접근 모델 = 2
1.2 체제 접근 모델의 구성 요소 = 6
1.2.1 목적 규명을 위한 요구 사정 = 6
1.2.2 교수 분석 실시 = 7
1.2.3 학습자와 학습 상황 분석 = 7
1.2.4 수행 목표 작성 = 7
1.2.5 평가 도구 개발 = 7
1.2.6 교수 전략 개발 = 7
1.2.7 교수 자료 개발 및 선정 = 7
1.2.8 교수 형성 평가 설계 및 실시 = 8
1.2.9 교수 수정 = 8
1.2.10 총괄 평가 설계 및 실시 = 8
1.3 체제 접근 모델의 활용 = 9
1.3.1 체제적으로 설계된 교수의 기본 요소는 무엇인가 = 9
1.3.2 체제 접근은 어떤 교수 전달 체제에 적합한가 = 10
1.3.3 체제 접근을 사용하면 모든 교수가 개별화되는가 = 11
1.3.4 왜 체제 접근을 사용하는가 = 11
1.3.5 누가 체제 접근을 사용해야 하는가 = 12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14
제2장 교수 목적 규명을 위한 요구 사정
2.1 목표 = 16
2.2 배경 = 17
2.3 개념 = 19
2.3.1 수행 분석 = 19
2.3.2 교수 목적을 명확히 하기 = 22
2.3.3 학습자, 상황 그리고 도구들 = 23
2.3.4 교수 목적을 설정하기 위한 준거 = 24
2.4 예시 = 25
2.4.1 그룹 토의 진행 = 25
2.4.2 교수 목적을 수립하기 위한 준거 = 27
2.4.3 고객 서비스 제공 = 27
요약 = 30
연습 = 32
피드백 = 33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35
제3장 교수 목적 분석
3.1 목표 = 36
3.2 배경 = 37
3.3 개념 = 38
3.3.1 언어 정보 = 39
3.3.2 지적 기능 = 39
3.3.3 심동적 기능 = 40
3.3.4 태도 = 40
3.3.5 목적 분석 절차 = 42
3.3.6 하위 단계의 분석 = 45
3.3.7 목적의 단계 규명을 위한 추가 제언 = 47
3.4 예시 = 48
3.4.1 지적 기능 목적 = 48
3.4.2 심동적 기능 목적 = 50
3.4.3 태도 목적 = 50
3.4.4 언어 정보 목적 = 51
3.4.5 목적 분석에의 전형적인 첫 접근법 = 52
요약 = 53
연습 = 54
피드백 = 54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57
제4장 하위기능과 출발점 행동의 규명
4.1 목표 = 58
4.2 배경 = 59
4.3 개념 = 60
4.3.1 위계적 접근법 = 60
4.3.2 군집 분석 = 66
4.3.3 태도 목적을 위한 하위 기능 분석 방법 = 66
4.3.4 교수 분석 기술 결합하기 = 67
4.3.5 교수 분석 도식 = 69
4.3.6 출발점 행동 = 71
4.3.7 출발점 행동의 임시성 = 74
4.4 예시 = 75
4.4.1 지적 기능의 위계적 분석 = 75
4.4.2 언어 정보 하위 기능을 위한 군집 분석 = 77
4.4.3 지적 기능과 언어 정보를 요구하는 추가적 목적의 하위 기능 분석 = 80
4.4.4 심동적 기능 분석 = 80
4.4.5 태도 목적의 하위 기능 분석 = 84
4.4.6 출발점 행동의 규명 = 87
요약 = 87
연습 = 90
피드백 = 92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95
제5장 학습자와 상황 분석
5.1 목표 = 96
5.2 배경 = 97
5.3 개념 = 98
5.3.1 학습자 분석 = 98
5.3.2 학습자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 101
5.3.3 수행 환경의 상황 분석 = 101
5.3.4 수행 환경에서의 상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 102
5.3.5 학습 환경의 상황 분석 = 103
5.3.6 학습 환경에서의 상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 104
5.3.7 공립학교 상황 = 104
5.3.8 교수 분석의 평가와 수정 = 105
5.4 예시 = 106
5.4.1 학습자 분석 = 106
5.4.2 수행 상황 분석 = 106
5.4.3 학습 상황 분석 = 110
요약 = 111
연습 = 112
피드백 = 115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119
제6장 수행 목표 작성
6.1 목표 = 120
6.2 배경 = 121
6.3 개념 = 123
6.3.1 수행 목표 = 123
6.3.2 목표의 구성 요소 = 124
6.3.3 행도의 도출 = 125
6.3.4 조건의 추출 = 126
6.3.5 준거의 추출 = 128
6.3.6 목표 작성의 과정 = 130
6.3.7 목표의 평가 = 131
6.3.8 목표의 기능 = 132
6.4 예시 = 132
6.4.1 언어 정보와 지적 기능들 = 132
6.4.2 심동적 기능들 = 135
6.4.3 태도 = 136
요약 = 137
연습 = 139
피드백 = 142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143
제7장 평가 도구 개발
7.1 목표 = 144
7.2 배경 = 145
7.3 개념 = 146
7.3.1 준거 지향 검사의 네 가지 유형과 사용 = 146
7.3.2 검사 설계하기 = 148
7.3.3 숙달 수준 결정하기 = 150
7.3.4 검사 문항 작성 = 151
7.3.5 숙달 준거 정하기 = 154
7.3.6 문항의 유형 = 154
7.3.7 문항 배열하기 = 156
7.3.8 지시문 작성 = 156
7.3.9 검사와 검사 문항 평가 = 157
7.3.10 수행, 결과,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 158
7.3.11 포트폴리오 평가 사용하기 = 163
7.3.12 설계 과정에서 일치성 평가하기 = 164
7.4 예시 = 165
7.4.1 언어 정보와 지적 기능을 위한 검사 문항 = 166
7.4.2 운동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점검표 = 169
7.4.3 태도와 관련된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 171
7.4.4 설계를 평가하기 위한 자료 = 173
요약 = 174
연습 = 175
피드백 = 179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183
제8장 교수 전략 개발
8.1 목표 = 184
8.2 배경 = 185
8.3 개념 = 186
8.4 전달 체제의 선정 = 187
8.5 교수 전략 = 189
8.5.1 내용의 순서화와 군집화 = 189
8.5.2 교수 전략의 학습 내용 요소 = 191
8.5.3 성숙도와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를 위한 학습 내용 요소 = 200
8.5.4 다양한 학습 결과를 위한 학습 내용 요소 = 201
8.5.5 학생의 그룹화 = 209
8.5.6 매체와 전달 체제의 선정 = 209
8.5.7 교수 전략 개발에 관한 대안적 관점 = 213
8.5.8 교수 전략 개발 = 213
8.5.9 교수 전략 평가 = 217
8.6 예시 = 218
8.6.1 목표의 순서화와 군집화 = 218
8.6.2 사전 교수, 평가, 후속 활동계획 = 219
8.6.3 내용 제시와 학생 참여 계획 = 222
8.6.4 회기에 활동 할당하기 = 226
8.6.5 매체 선정 확정하기와 전달 체제 확정 혹은 선정 = 227
요약 = 230
연습 = 231
피드백 = 231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242
제9장 교수 자료 개발
9.1 목표 = 244
9.2 배경 = 245
9.3 개념 = 246
9.3.1 전달 체제와 매체 선정 = 246
9.3.2 교수 패키지의 요소 = 249
9.3.3 기존 교수 자료 선택 = 249
9.3.4 자료 개발 및 교수 전달에 있어서 설계자의 역할 = 251
9.3.5 형성 평가를 위한 교수 자료 개발 = 254
9.3.6 개발 과정의 시작 = 257
9.3.7 교수 개발의 절차 = 258
9.4 예시 = 258
9.4.1 교수 전 활동 = 259
9.4.2 내용 제시 = 264
9.4.3 학습자 참여 = 264
요약 = 272
연습 = 274
피드백 = 275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282
제10장 형성 평가의 설계 및 실시
10.1 목표 = 284
10.2 배경 = 285
10.3 개념 = 287
10.3.1 형성 평가에서 교과 전문가, 학습 전문가, 학습자 전문가의 역할 = 287
10.3.2 학습자와의 일대일 평가 = 288
10.3.3 소집단 평가 = 294
10.3.4 현장 평가 = 296
10.3.5 수행 상황에서의 형성 평가 = 298
10.3.6 교수의 반응에 따른 데이터의 수집 = 300
10.3.7 선정된 교수 자료의 형성 평가 = 303
10.3.8 교사 주도적 교수의 형성 평가 = 304
10.3.9 선정된 교수 자료와 교사 주도적 교수를 위한 데이터 수집 = 304
10.3.10 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고려 사항들 = 305
10.3.11 교수 설계 과정의 문제 해결 = 307
10.4 예시 = 308
10.4.1 형성 평가 활동 = 308
10.4.2 교수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 = 313
요약 = 317
연습 = 318
피드백 = 319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325
제11장 교수 자료 수정
11.1 목표 = 326
11.2 배경 = 327
11.3 개념 = 328
11.3.1 일대일 형성 평가로부터 얻은 데이터 분석 = 328
11.3.2 소집단 평가 및 현장 평가로부터 얻은 데이터 분석 = 329
11.3.3 수정 과정 = 337
11.3.4 선정된 교수 자료의 수정 및 교사 주도형 교수의 수정 = 337
11.4 예시 = 338
11.4.1 검사 전반의 목표별 문항 데이터를 요약하기 = 339
11.4.2 검사 전반의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하기 = 341
11.4.3 태도에 관한 데이터를 요약하기 = 343
11.4.4 교수 수정 방법을 결정하기 = 347
요약 = 349
연습 = 349
피드백 = 351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353
제12장 총괄 평가의 설계 및 실행
12.1 목표 = 354
12.2 배경 = 355
12.3 개념 = 357
12.4 총괄 평가의 전문가 판단 단계 = 358
12.4.1 일치도 분석 = 358
12.4.2 내용 분석 = 359
12.4.3 설계 분석 = 360
12.4.4 유용성 및 실행 가능성 분석 = 360
12.4.5 현재 사용자 분석 = 361
12.5 총괄 평가의 현장 평가 단계 = 361
12.5.1 결과 분석 = 361
12.6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의 비교 = 365
12.7 예시 = 367
12.7.1 일치도 분석을 위한 데이터 요약 양식 = 367
12.7.2 내용 분석을 위한 점검표 : 교수 자료의 완벽성과 정확성을 평가 = 368
12.7.3 설계 분석을 위한 점검표 : 교수 자료의 교수 전략 평가 = 368
12.7.4 유용성과 실행 가능성을 위한 양식 : 전문가 판단 = 373
12.7.5 현재 사용자 분석을 위한 양식 = 373
요약 = 376
연습 = 377
피드백 = 377
참고문헌 및 권독자료 = 379
용어해설 = 381
부록 = 385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