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왜 정당인가? / 심지연 = 11
1. 머리말 = 11
2. 정당이란 무엇인가? = 13
3. 정당의 기원 = 17
1) 선거 및 의회주의적 기원 = 18
2) 의회 외적 기원 = 20
4. 정당연구, 왜 중요한가? = 23
5. 맺음말 = 25
제2장 한국 정당정치의 역사. 정당다원주의의 변천 / 김용호 = 27
1. 정당다원주의의 도입 : 미군정 = 29
2. 정당다원주의의 왜곡 : 이승만정권 = 32
3. 정당다원주의의 한계 : 장면정권 = 33
4. 정당다원주의의 쇠퇴 : 박정희정권 = 35
1) 제3공화국 시기 = 35
2) 유신시기 = 39
5. 정당다원주의의 시련 : 전두환정권 = 42
6. 정당다원주의의 회복 : 1987년 민주화 이후 = 46
1) 노태우행정부 시기 = 46
2) 김영삼행정부 시기 = 50
3) 김대중행정부 시기 = 52
제3장 정당의 이념 / 심지연 = 57
1. 정당에서 이념의 위상 = 57
2. 공간적 경쟁과 정당의 이념 = 59
3. 정당이념에 대한 제도적 접근 = 61
4. 이념에 따른 정당분류 = 63
1) 자유당과 급진당 = 63
2) 보수당 = 65
3) 사회당과 사회민주당 = 67
4) 기독교민주당 = 70
5) 공산당 = 71
6) 농민당 = 73
7) 지역당과 민족당 = 74
8) 극우당 = 76
9) 환경운동 = 78
5. 한국정당의 이념 = 79
1) 보수당 = 82
2) 사회당과 사회민주당 = 84
3) 공산당 = 87
4) 시민운동 = 89
제4장 정당의 조직 / 진영재 = 93
제5장 정당의 기능 / 유재일 = 119
1. 머리말 = 119
2. 정당의 기능에 관한 논의 = 122
1) 사상적 논의 = 122
2) 이론적 논의 = 129
3. 정당의 일반기능 = 134
1) 이익의 표출과 집약 = 135
2) 정부의 조직과 통제 = 137
3) 정치적 충원과 참여 = 138
4) 정치사회화 = 140
5) 사회통합과 민주주의 발전 = 141
4. 한국정치와 정당의 기능 = 142
1) 한국 정당기능의 실제 = 142
2) 한국 정당기능의 발전과제 = 146
제6장 정당체계 / 곽진영 = 149
1. 정당, 정당체계 = 149
2. 정당체계의 속성에 대한 이해 = 151
1) 왜 유형분류인가? = 151
2) 정당체계와 정당의 수 = 153
3) 정당체계와 정치발전 = 158
4) 정당체계와 정치체계의 안정성 = 162
5) 정당체계와 사회이익의 반영성 = 169
6) 정당체계와 국가 = 174
3. 맺음말 = 178
제7장 정당과 선거 / 장훈 = 181
1. 정당과 선거 : 이론적 접근 = 181
2. 한국의 정당과 선거 Ⅰ : 권위주의시대의 역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 189
3. 한국의 정당과 선거 Ⅱ : 민주화시대의 정당과 선거 = 197
1) 민주화 이후 정당·선거정치와 지역주의 = 198
2) 지역주의의 지배와 대안적 사회균열의 잠복 = 203
4. 민주화시대 한국의 정당·선거정치의 과제와 전망 = 205
제8장 정당과 국회 / 김민전 = 209
1. 머리말 = 209
2. 의회의 주요기능 = 210
3. 의회의 유형 = 211
1) 정부형태에 따른 분류 = 211
2) 의회의 정책영향력에 의한 분류 = 212
3) 의회 운영방식에 의한 분류 = 214
4) 의정행태에 의한 분류 = 215
4. 의회와 정당의 관계 = 216
5. 국회의 제도적 변천 = 218
6. 국회의 정책영향력 = 221
1) 입법활동 = 221
2) 예산심의 = 224
3) 국정감사 및 조사 = 227
7. 원내정당의 권한과 활동 = 229
1) 교섭단체의 제도적 권한 = 229
2) 원내교섭단체의 세력분포 = 230
3) 여·야당의 입법활동 = 234
8. 맺음말 = 237
제9장 정당의 공직후보 선출과 당내민주화 / 강원택 = 239
1. 머리말 = 239
2. 공직후보 선출과 당내민주화 : 이론적 논의 = 241
1) 공직후보 선출의 개방성 : 누가 선출권을 갖나? = 241
2) 공직후보 선출의 개방성 : 누가 출마할 수 있나? = 245
3) 공직후보 선출의 분권화 = 246
4) 개방화, 분권화의 이유 = 247
3. 미국, 영국, 독일의 공직후보 선출절차 = 248
1) 미국정당의 대통령후보 선출 = 249
2) 영국정당의 당수 선출방식 = 252
3)독일 = 256
4. 한국정당의 공직후보 선출 = 259
5. 맺음말 = 265
제10장 정당과 정책 / 조기숙 = 267
1. 정책의 의미 = 267
2. 책임정당과 실용정당 = 270
3. 정책과 선거 = 274
4. 정당구도의 재편성 = 277
5. 한국의 정당과 정책 = 282
1) 한국정당을 평가하는 시각 = 282
2) 무정책 정당의 배경 = 283
3) 한국정당의 정책 = 286
4) 한국 정당구도의 재편성 = 292
5) 2002년 대선과 정당재편성 = 293
6. 맺음말 = 295
제11장 정당과 정치자금 / 임성학 = 297
1. 머리말 = 297
2. 정치자금의 개념, 필요성과 문제점 = 298
3. 정치자금의 이론 = 303
1) 정치자금의 이론적 접근 = 303
2) 정치자금의 효과 = 307
3) 정치제도와 정치자금 제도 = 310
4. 정치자금 비교연구 = 312
1) 정치자금의 조달 = 313
2) 정치자금의 지출 = 318
3) 정치자금의 규제와 감독 = 320
5. 한국의 정치자금 개혁 = 321
1) 한국 정치자금의 현실 = 322
2) 글로벌 스탠더드 = 327
3) 한국의 정치자금 개혁방안 = 328
6. 맺음말 = 330
제12장 정당과 이익집단 / 이정희 = 333
1. 머리말 = 333
2. 정당과 이익집단의 관계 = 335
1) 정당과 이익집단의 관계를 결정하는 요인 = 336
2) 개별정당과 이익집단의 연계유형 = 341
3. 한국의 정당과 이익집단의 관계 = 344
1) 한국정당의 이익집산 기능과 조직 = 345
2) 한국 이익집단의 이익표출 전략과 정당 = 351
4. 맺음말 = 365
제13장 정당과 사회균열구조 / 마인섭 = 367
1. 사회균열구조와 정당체제 = 367
1) 사회균열과 정당체제 = 367
2) 균열구조와 정당체제의 변화 = 368
2. 한국사회 균열구조의 개관 = 372
1) 지역균열 = 373
2) 계급균열 = 378
3) 탈물질주의와 세대균열 = 381
3. 한국사회 균열구조의 지속과 변화의 징후 = 383
1) 사회균열구조의 지속과 변화 = 384
2) 다원주의적 사회균열구조의 가능성 = 395
4. 한국 정당체제 변화의 전망 = 397
제14장 탈산업사회와 정당정치의 변화 / 정진민 = 403
1. 머리말 = 403
2. 탈산업사회화와 선진 산업사회 정당체계의 변화 = 405
1) 선진 산업사회 정당환경의 변화 = 405
2) 선진 산업사회 정당체계의 변화 = 412
3. 탈산업사회화에 따른 선진 산업사회 정당의 특징 = 418
4. 한국사회의 탈산업사회화와 새로운 정당정치의 모색 = 422
제15장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 박명호 = 431
1. 머리말 = 431
2. 정당의 개념과 기능 = 432
3. 정당정치와 민주주의의 관계 = 434
4. 정당정치의 의미와 분석 = 437
5. 정당정치와 민주주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의 검토 = 442
6. 향후 연구의 방향 =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