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Loan 12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심지연 沈之淵 , 1948-.
Title Statement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 심지연 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백산서당 ,   2003.  
Physical Medium
453 p. : 삽도 ; 23 cm.
ISBN
897327326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598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76819
005 20100806072255
007 ta
008 031007s2003 ulka 000a kor
020 ▼a 8973273264 ▼g 03340 : ▼c \18,000
035 ▼a KRIC08966358
040 ▼a 211064 ▼c 211064 ▼d 211009
049 1 ▼l 111264122 ▼l 111264123
082 0 4 ▼a 324.253
090 ▼a 324.253 ▼b 2003b
100 1 ▼a 심지연 ▼g 沈之淵 , ▼d 1948-.
245 1 0 ▼a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 ▼d 심지연 편저.
260 ▼a 서울 : ▼b 백산서당 , ▼c 2003.
300 ▼a 453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112641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112641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410395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211038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310198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511684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511684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112641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112641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410395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2110387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310198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511684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253 2003b Accession No. 15116844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심지연(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사 기자와 한국정당학회 회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회장, 국회입법조사처 처장을 지냈다. 현재 경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조선신민당 연구』, 『허헌 연구』, 『잊혀진 혁명가의 초상 김두봉 연구』, 『해방 정국의 정치이념과 노선』, 『조선 공산주의자들의 인식과 논리』, 『한국 정당 정치사』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왜 정당인가? / 심지연 = 11
 1. 머리말 = 11
 2. 정당이란 무엇인가? = 13
 3. 정당의 기원 = 17
  1) 선거 및 의회주의적 기원 = 18
  2) 의회 외적 기원 = 20
 4. 정당연구, 왜 중요한가? = 23
 5. 맺음말 = 25
제2장 한국 정당정치의 역사. 정당다원주의의 변천 / 김용호 = 27
 1. 정당다원주의의 도입 : 미군정 = 29
 2. 정당다원주의의 왜곡 : 이승만정권 = 32
 3. 정당다원주의의 한계 : 장면정권 = 33
 4. 정당다원주의의 쇠퇴 : 박정희정권 = 35
  1) 제3공화국 시기 = 35
  2) 유신시기 = 39
 5. 정당다원주의의 시련 : 전두환정권 = 42
 6. 정당다원주의의 회복 : 1987년 민주화 이후 = 46
  1) 노태우행정부 시기 = 46
  2) 김영삼행정부 시기 = 50
  3) 김대중행정부 시기 = 52
제3장 정당의 이념 / 심지연 = 57
 1. 정당에서 이념의 위상 = 57
 2. 공간적 경쟁과 정당의 이념 = 59
 3. 정당이념에 대한 제도적 접근 = 61
 4. 이념에 따른 정당분류 = 63
  1) 자유당과 급진당 = 63
  2) 보수당 = 65
  3) 사회당과 사회민주당 = 67
  4) 기독교민주당 = 70
  5) 공산당 = 71
  6) 농민당 = 73
  7) 지역당과 민족당 = 74
  8) 극우당 = 76
  9) 환경운동 = 78
 5. 한국정당의 이념 = 79
  1) 보수당 = 82
  2) 사회당과 사회민주당 = 84
  3) 공산당 = 87
  4) 시민운동 = 89
제4장 정당의 조직 / 진영재 = 93
제5장 정당의 기능 / 유재일 = 119
 1. 머리말 = 119
 2. 정당의 기능에 관한 논의 = 122
  1) 사상적 논의 = 122
  2) 이론적 논의 = 129
 3. 정당의 일반기능 = 134
  1) 이익의 표출과 집약 = 135
  2) 정부의 조직과 통제 = 137
  3) 정치적 충원과 참여 = 138
  4) 정치사회화 = 140
  5) 사회통합과 민주주의 발전 = 141
 4. 한국정치와 정당의 기능 = 142
  1) 한국 정당기능의 실제 = 142
  2) 한국 정당기능의 발전과제 = 146
제6장 정당체계 / 곽진영 = 149
 1. 정당, 정당체계 = 149
 2. 정당체계의 속성에 대한 이해 = 151
  1) 왜 유형분류인가? = 151
  2) 정당체계와 정당의 수 = 153
  3) 정당체계와 정치발전 = 158
  4) 정당체계와 정치체계의 안정성 = 162
  5) 정당체계와 사회이익의 반영성 = 169
  6) 정당체계와 국가 = 174
 3. 맺음말 = 178
제7장 정당과 선거 / 장훈 = 181
 1. 정당과 선거 : 이론적 접근 = 181
 2. 한국의 정당과 선거 Ⅰ : 권위주의시대의 역사적 경험을 중심으로 = 189
 3. 한국의 정당과 선거 Ⅱ : 민주화시대의 정당과 선거 = 197
  1) 민주화 이후 정당·선거정치와 지역주의 = 198
  2) 지역주의의 지배와 대안적 사회균열의 잠복 = 203
 4. 민주화시대 한국의 정당·선거정치의 과제와 전망 = 205
제8장 정당과 국회 / 김민전 = 209
 1. 머리말 = 209
 2. 의회의 주요기능 = 210
 3. 의회의 유형 = 211
  1) 정부형태에 따른 분류 = 211
  2) 의회의 정책영향력에 의한 분류 = 212
  3) 의회 운영방식에 의한 분류 = 214
  4) 의정행태에 의한 분류 = 215
 4. 의회와 정당의 관계 = 216
 5. 국회의 제도적 변천 = 218
 6. 국회의 정책영향력 = 221
  1) 입법활동 = 221
  2) 예산심의 = 224
  3) 국정감사 및 조사 = 227
 7. 원내정당의 권한과 활동 = 229
  1) 교섭단체의 제도적 권한 = 229
  2) 원내교섭단체의 세력분포 = 230
  3) 여·야당의 입법활동 = 234
 8. 맺음말 = 237
제9장 정당의 공직후보 선출과 당내민주화 / 강원택 = 239
 1. 머리말 = 239
 2. 공직후보 선출과 당내민주화 : 이론적 논의 = 241
  1) 공직후보 선출의 개방성 : 누가 선출권을 갖나? = 241
  2) 공직후보 선출의 개방성 : 누가 출마할 수 있나? = 245
  3) 공직후보 선출의 분권화 = 246
  4) 개방화, 분권화의 이유 = 247
 3. 미국, 영국, 독일의 공직후보 선출절차 = 248
  1) 미국정당의 대통령후보 선출 = 249
  2) 영국정당의 당수 선출방식 = 252
  3)독일 = 256
 4. 한국정당의 공직후보 선출 = 259
 5. 맺음말 = 265
제10장 정당과 정책 / 조기숙 = 267
 1. 정책의 의미 = 267
 2. 책임정당과 실용정당 = 270
 3. 정책과 선거 = 274
 4. 정당구도의 재편성 = 277
 5. 한국의 정당과 정책 = 282
  1) 한국정당을 평가하는 시각 = 282
  2) 무정책 정당의 배경 = 283
  3) 한국정당의 정책 = 286
  4) 한국 정당구도의 재편성 = 292
  5) 2002년 대선과 정당재편성 = 293
 6. 맺음말 = 295
제11장 정당과 정치자금 / 임성학 = 297
 1. 머리말 = 297
 2. 정치자금의 개념, 필요성과 문제점 = 298
 3. 정치자금의 이론 = 303
  1) 정치자금의 이론적 접근 = 303
  2) 정치자금의 효과 = 307
  3) 정치제도와 정치자금 제도 = 310
 4. 정치자금 비교연구 = 312
  1) 정치자금의 조달 = 313
  2) 정치자금의 지출 = 318
  3) 정치자금의 규제와 감독 = 320
 5. 한국의 정치자금 개혁 = 321
  1) 한국 정치자금의 현실 = 322
  2) 글로벌 스탠더드 = 327
  3) 한국의 정치자금 개혁방안 = 328
 6. 맺음말 = 330
제12장 정당과 이익집단 / 이정희 = 333
 1. 머리말 = 333
 2. 정당과 이익집단의 관계 = 335
  1) 정당과 이익집단의 관계를 결정하는 요인 = 336
  2) 개별정당과 이익집단의 연계유형 = 341
 3. 한국의 정당과 이익집단의 관계 = 344
  1) 한국정당의 이익집산 기능과 조직 = 345
  2) 한국 이익집단의 이익표출 전략과 정당 = 351
 4. 맺음말 = 365
제13장 정당과 사회균열구조 / 마인섭 = 367
 1. 사회균열구조와 정당체제 = 367
  1) 사회균열과 정당체제 = 367
  2) 균열구조와 정당체제의 변화 = 368
 2. 한국사회 균열구조의 개관 = 372
  1) 지역균열 = 373
  2) 계급균열 = 378
  3) 탈물질주의와 세대균열 = 381
 3. 한국사회 균열구조의 지속과 변화의 징후 = 383
  1) 사회균열구조의 지속과 변화 = 384
  2) 다원주의적 사회균열구조의 가능성 = 395
 4. 한국 정당체제 변화의 전망 = 397
제14장 탈산업사회와 정당정치의 변화 / 정진민 = 403
 1. 머리말 = 403
 2. 탈산업사회화와 선진 산업사회 정당체계의 변화 = 405
  1) 선진 산업사회 정당환경의 변화 = 405
  2) 선진 산업사회 정당체계의 변화 = 412
 3. 탈산업사회화에 따른 선진 산업사회 정당의 특징 = 418
 4. 한국사회의 탈산업사회화와 새로운 정당정치의 모색 = 422
제15장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 박명호 = 431
 1. 머리말 = 431
 2. 정당의 개념과 기능 = 432
 3. 정당정치와 민주주의의 관계 = 434
 4. 정당정치의 의미와 분석 = 437
 5. 정당정치와 민주주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의 검토 = 442
 6. 향후 연구의 방향 = 45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