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공정책과 시민사회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도 = v
Ⅰ 포스트모던 공공정책
1. 공공정책과 가버넌스 = 2
공공정책의 개념 = 2
공공정책의 유형 = 4
가버넌스의 개념 = 8
가버넌스의 유형 = 9
2. 정부와 정책 환경의 변화 = 12
공공정책 환경의 변화 = 13
세계화와 권력이동 = 16
민주화와 분권화 = 19
가버넌스, NGO, 시민 = 23
정부의 위축과 국가의 퇴각? = 27
3. 공공정책과 '비판적'시민 = 29
포스트모던 가치관 = 30
국민의 뜻에 어긋난 지배 = 33
부패한 정부, 관료적 정부 = 34
정책 실패와 비판적 시민 = 37
4. 정부 신뢰의 위기 분석 = 44
정부 신뢰의 대상과 유형 = 44
정부, 의회, NGO 신뢰 비교 = 46
정부 불신에 대한 해석 = 50
정부 신뢰 분석 : 서구와 한국 = 59
정부 불신과 NGO 신뢰 = 64
Ⅱ 정책 가버넌스 모델
1. 가버넌스 개념과 특성 = 72
가버넌스와 통치 = 73
가버넌스와 관리 = 75
가버넌스와 파트너십 = 77
가버넌스와 네트워크 = 80
2. '뉴 가버넌스' 패러다임 = 83
기관·프로그램에서 도구로 = 84
계서제에서 네트워크로 = 85
공사 대립에서 공사 공조로 = 87
지시·통제에서 협상·설득으로 = 88
관리 기술에서 역량화 기술로 = 89
3. 정책 가버넌스 차원과 양식 = 90
포스트모던 정책 가버넌스 = 91
중앙정부 가버넌스 = 94
커뮤니티 가버넌스 = 96
디지털 가버넌스 = 99
정책 가버넌스 차원과 양식 = 104
3. 이데올로기와 정책 스타일 = 109
다원주의와 조합주의 = 109
정책 이데올로기 모델 = 112
국가 정책 스타일 = 116
Ⅲ 정책과정과 가버넌스
1. 정책과정 단계와 정치 = 124
정책과정의 단계 = 124
정책과정 단계의 특징 = 126
전통적 정책과정 이론 = 132
정책 가버넌스 이론 = 138
2. 정책과정 이해당사자 = 144
공식적 정책결정자 = 145
관례적 이해당사자 = 149
새로운 이해당사자 = 155
이해당사자 영향력 관계 = 157
3. 의제설정 가버넌스 = 161
정책문제, 이슈, 의제 = 161
의제설정의 쓰레기통 = 164
의제설정, 경쟁과 갈등 = 166
의제설정 가버넌스 양식 = 169
3. 정책결정 가버넌스 = 170
정책결정 이론적 시각 = 170
정책결정 가버넌스 양식 = 177
정책결정 기준과 스타일 = 179
5. 정책집행 가버넌스 = 185
관료적 재량의 정치 = 185
정책집행 가버넌스 양식 = 189
정책집행 단계와 임무 = 191
정책집행 이해당사자 = 194
6. 정책평가 가버넌스 = 197
정책평가와 정책효과 = 198
정책평가의 기능 = 200
정책평가의 유형 = 202
정책평가의 과정 = 204
Ⅳ 기업, 이익집단 및 NGO
1. 공공정책과 기업의 특권 = 212
기업과 공공정책 = 212
기업의 특권적 지위 = 215
신자유주의와 가버넌스 모델 = 220
2. 기업 특권적 지위의 한계 = 223
노동조합의 견제 = 224
시민과 여론의 불신 = 226
NGO의 도전 = 228
정부정책의 변화 = 230
3. 이익집단의 정책 활동 = 231
정부-집단 관계 = 232
이익집단 다원주의 = 234
'철의 삼각'과 '제2의 정부' = 237
이익집단의 정책 활동 = 239
4. 기업, 이익집단, NGO = 241
이익집단, NGO, 시민 = 241
의제설정 역할 비교 = 245
로비 활동 비교 = 247
NGO 영향력의 증대? = 250
Ⅴ 정책 가버넌스와 NGO 역할
1. 공공정책과 시민사회 = 254
공급시각 : 공공정책의 확대 = 254
수요시각 : NGO 역량 증대 = 259
전문가 주도와 시민참여 = 260
2. 참여민주주의와 NGO = 263
대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 = 264
시민사회와 NGO의 정당성 = 267
NGO의 사회적 기능 = 271
3. 정책 가버넌스와 NGO = 274
가버넌스 파트너 역할 = 274
정부의 책무성과 투명성 = 276
정책과정과 NGO 역할 = 278
정책집행과 공공서비스 = 281
정부와 NGO 파트너십 = 284
4. NGO의 정책 영향력 모델 = 288
정책 가버넌스 참여 = 289
정치적 기회 구조 = 290
NGO의 운동 역량 = 293
NGO 정책 영향력 모델 = 294
법률적 기회와 NGO 전략 = 298
5. NGO의 정책참여 과제 = 302
정책파트너 역할의 조건 = 302
시민참여와 재정자립 = 305
투명성, 책무성, 역할 한계 = 308
정부-NGO 파트너십 과제 = 311
6. 한국 정책 가버넌스 사례 = 312
여성정책과정과 NGO 역할 = 313
성차별과 젠더 가버넌스 = 319
젠더 가버넌스의 원리 = 320
젠더 가버넌스 아젠다 = 321
참고문헌 = 329
찾아보기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