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백두산을 팔아먹은 김일성

백두산을 팔아먹은 김일성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기찬 , 1938-. 정유진, 역
Title Statement
백두산을 팔아먹은 김일성 / 김기찬 지음 ; 정유진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눈과마음 ,   2004.  
Physical Medium
150 p. : 삽도 ; 23 cm.
ISBN
8957511299
000 00603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76583
005 20100806071806
007 ta
008 040129s2004 ulka 000a kor
020 ▼a 8957511299 ▼g 03910 : ▼c \7500
035 ▼a KRIC09137041
040 ▼d 211048 ▼d 211009 ▼a 211048 ▼c 211048
049 1 ▼l 111279234 ▼l 111279235
082 0 4 ▼a 953.92
090 ▼a 953.92 ▼b 2004
100 1 ▼a 김기찬 , ▼d 1938-.
245 1 0 ▼a 백두산을 팔아먹은 김일성 / ▼d 김기찬 지음 ; ▼e 정유진 옮김.
260 ▼a 서울 : ▼b 눈과마음 , ▼c 2004.
300 ▼a 150 p. : ▼b 삽도 ; ▼c 23 cm.
700 1 ▼a 정유진, ▼e▼0 AUTH(211009)11291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953.92 2004 Accession No. 111279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953.92 2004 Accession No. 11127923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총련에서 활동한 이력을 갖고 있는 지은이는 "한민족이 '민족의 성산'으로 여기고 있는 백두산은 중국과 북한 사이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그 귀속과 관련하여 불화를 빚어왔으며, 1962년 김일성은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한 보답으로 중국과 극비조약을 체결하고 이 산의 절반을 중국에 양도해 버렸다"면서, 300년에 걸친 국경분쟁의 역사를 살펴보는 동시에, 민족의 재산을 사물화한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죄를 고발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기찬(지은이)

1938년 일본 가나가와 현 출신으로 가나가와 소재 고등학교와 도쿄 소재 사립대학을 졸업한 뒤 십여년 간 조총련의 전종(專從) 활동가로 활동했다. 86년 조총련에서 탈퇴해 현재는 음식점을 운영하면서 북한의 인권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정유진(엮은이)

<백두산을 팔아먹은 김일성>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는 말 작은 기사/300년에 걸친 국경선 분쟁/민족을 배신한 행위
제1장 민족의 성스러운 산
 백두산으로 가는 길 = 16
 최남선의 비탄 = 18
 자동차로 단숨에 정상까지 = 22
 백두의 영봉 = 24
 백두산이라는 이름 = 28
 천지의 신비 = 29
 만들어지는 '신화' = 31
 장백폭포에서 노닐다 = 32
 용만 몸을 담는(목욕하는) 온천 = 34
 김정일에 대한 분노 = 35
제2장 백두산 비석과 국경선 문제
 Ⅰ 백두산은 역사와 함께 = 38
  〈단군 신화〉와 백두산 = 38
  '백'이 파낸 천지 = 42
  조선 왕조까지의 약사 = 45
  조선 왕조의 탄생과 북방 정책 = 49
  청나라의 침략 = 51
  정묘호란(1627년) = 52
  병자호란(1636년) = 53
  17세기 초의 국경선은 어디였을까 = 54
  완충 지대가 만들어진 이유 = 59
 Ⅱ 백두산비석〈정계비〉의 수수께끼 = 61
  청나라와 국경선 문제 발생 = 61
  이만기(李萬技)사건 = 63
  목극등(穆克登)의 조사대 = 64
  〈정계비〉를 세우다 = 67
  '간도'란 어디인가 = 71
  사라진〈정계비〉 = 73
  간도 문제와 영유권 분쟁 = 75
  북한에서는 '정계비'를 가르치지 않는다 = 78
 Ⅲ 러일전쟁 후 간도 문제 = 82
  러일전쟁과 '을사조약' = 82
  '을사조약'에 반대하는 싸움 = 84
  간도는 팔아 넘겨졌다 = 87
제3장 김일성·김정일의 범죄
 Ⅰ 백두산을 중국에 넘긴 김일성 = 94
  중·소의 대립과 북중 관계 = 94
  '조중변계조약'의 비밀 = 96
  천지를 달리는 국경선 = 99
  북중 분쟁으로 다시 붉어진 국경 문제 = 102
  주은래(周恩來) 평양 방문의 의미 = 106
  북한, 중국, 한국의 지도 = 108
  김일성은 백두산을 중국에 양도했다 = 111
 Ⅱ 백두산은 김정일의 산이 아니다 = 117
  정일봉과 통나무집 = 117
  인권의 불모지 국경 지대 = 120
  아리랑의 노랫소리도 들리지 않고 = 123
  일촉즉발의 북중 국경 = 125
 Ⅲ 민족적 과제로서 = 129
  한국 국회에서의 백두산 문제 = 129
  '을사조약' '간도협약'은 무효 = 132
제4장 국경 마을을 방문하다
 연길의 아지메들 = 138
 "북에서 넘어오는 망명자를 도와달라" = 140
 중국은 탈북자를 보호해야 한다 = 142
 국경 도시 도문으로 = 144
 러시아로 이주한 사람들 = 145
 중국 국경에 서다 = 147
 걸어서 백두산에 오르고 싶다 = 14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김민수 (2022)
최보영 (2022)
서종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