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1부· 언어의 기본적인 이해
1장 언어란 무엇인가? = 3
1.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 = 4
1.1 언어자질에 의한 비교 = 5
1.2 동물들의 통신수단 = 11
2. 언어에 대한 몇몇 언어학자들의 정의 = 15
2.1 세 언어학자들의 정의 = 15
2.2 각 정의에 대한 분석 = 16
3. 언어의 사용 = 18
2장 언어학이란 학문과 연구분야 = 21
1. 언어학이란? = 21
1.1 언어학의 정의 = 21
1.2 언어학의 여러 갈래 = 22
2. 언어학의 하위분야 = 24
3. 현대언어학의 기본적 개념 = 25
3.1 공시성과 통시성 = 26
3.2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 26
3.3 랑그와 빠롤 = 28
3.4 음소 = 30
3.5 외연과 내포 = 31
3.6 통합관계와 계열관계 = 32
3장 언어연구의 흐름 = 33
1. 19세기 이전의 언어연구 : 전통문법의 시대 = 33
1.1 고대의 문법 = 33
1.2 중세의 문법 = 34
2. 19세기 언어연구 : 역사·비교언어학의 시대 = 35
2.1 특징 = 35
2.2 주요 언어학자와 연구활동 = 36
3. 20세기 전반의 언어연구 : 구조언어학의 시대 = 37
3.1 특징 = 38
3.2 주요 언어학자와 연구활동 = 39
4. 20세기 후반의 언어연구 : 변형생성문법시대 = 44
4.1 특징 = 44
4.2 주요 언어학자와 연구 활동 = 44
2부·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1장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 = 49
1. 언어학과 인류학과의 만남 = 50
2. 언어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 = 51
2.1 사피어를 중심으로 한〈약한 가설〉 = 53
2.2 워프를 중심으로 한〈강한 가설〉 = 54
2.3 반론 = 56
3. 언어의 친족성 = 58
3.1 계통적 분류 = 59
3.2 유형적(형태적) 분류 = 73
4. 문자의 발달 = 76
4.1 문자 발달단계 = 77
4.2 각 단계별 설명 = 77
2장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 = 85
1. 언어와 사회학과의 만남 = 85
2. 언어 변이 = 86
2.1 지리적 환경에 의한 변이형 : 방언 = 87
2.2 사회적 환경에 의한 변이형 : 사회적 방언 = 89
3. 이중언어사용 = 91
4. 언어접촉 = 93
4.1 어휘의 차용 = 93
4.2 피진어/크레올어/사빌어 = 95
3부· 언어의 구조
1장 음성학 = 99
1. 음성학이란? = 99
1.1 음성학의 종류 = 100
1.2 조음음성학의 우의성 = 101
1.3 연구범위 = 102
2. 말소리의 생성과정 = 102
2.1 기류유출과정(호흡기관) = 103
2.2 말소리 내는 과정(발성기관) = 104
2.3 말소리 고르는 과정(조음기관/발음기관) = 105
3. 음성기호 = 109
3.1 모음의 표기기호 = 110
3.2 자음의 표기기호 = 110
4. 모음과 자음 = 111
4.1 모음 = 112
4.2 자음 = 116
5. 변별적 자질 = 121
2장 음운론 = 125
1. 음운론이란? = 125
1.1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 = 125
1.2 음운론에 대한 실례 = 126
2. 몇 가지 개념 정의 = 128
2.1 음소/이음 = 128
2.2 최소대립쌍/상보적 분포 = 130
2.3 자유변이 = 133
3. 음운현상 = 133
3.1 음소배합 = 133
3.2 음운규칙 = 136
3장 형태론 = 141
1. 형태론이란? = 141
2. 형태소 정의와 형태소 식별 = 143
2.1 형태소 정의 : 형태소/이형태 = 143
2.2 형태소와 단어 = 148
2.3 형태소 식별 = 149
3. 형태소 유형 = 152
3.1 형태소의 형태 = 152
3.2 형태소 배합 = 153
3.3 형태소에 따른 언어의 유형 = 159
4. 형태소의 분해 = 162
4장 통사론 = 163
1. 통사론이란? = 163
1.1 통사론의 정의 = 163
1.2 단어의 연결관계 = 164
1.3 통사론의 접근 방법 = 166
2. 전통문법 = 167
2.1 특징 = 168
2.2 장·단점 = 168
3. 구조문법 = 170
3.1 구조문법이란? = 170
3.2 직접구성요소 분석 = 174
3.3 문장의 통사구조 : 내심구조와 외심구조 = 181
3.4 직접구성요소 분석의 한계 = 183
4. 변형생성문법 = 184
4.1 변형생성문법이란? = 184
4.2 변형생성문법의 규칙 = 186
5장 의미론 = 203
1. 의미론이란? = 203
1.1 의미 삼각도 = 203
1.2 의미의 유형 : 개념적 의미와 연상적 의미 = 205
2. 의미론의 두 분야 = 206
3. 의미자질에 따른 성분분석 = 207
4. 어휘관계에 의한 분석 = 208
4.1 동의어관계 = 210
4.2 반의어관계 = 211
4.3 하의어관계 = 213
4.4 동음이철이의, 동음동철이의, 다의어 = 214
5. 장 이론 = 215
참고문헌 = 219
색인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