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연구와 인사 나누기(Say, "Helle" to Research)
1. 과학적인 연구란 무엇인가? = 3
2. 왜 연구를 하는가? = 3
3. 연구하는 사람의 태도 = 4
4. 연구에 필요한 요건은 무엇인가? = 5
5. 좋은 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 6
6. 연구방법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7
7. 연구의 단계 = 8
Chapter 2. 연구를 위한 기본 개념 익히기(Familiarisation with Basic Concepts in Research)
1. 평소의 관심사를 연구 토픽으로 전환하기 = 15
2. 연구토픽이나 주제로부터 변수 찾아내기 = 15
3. 상수(Constant)와 변수(Variables) = 15
4. 가외(외생)변수를 만들어 내는 4가지 근원 = 16
5. 가설(Hypothesis) = 16
6. 통계가설과 연구가설 = 17
7. 가설의 종류 = 17
8. 좋은 가설의 특징 = 18
9. 모집단(Populations)과 표본(Samples) = 18
10. 유의도(Significance)의 개념과 중요성 = 18
11. 연구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윤리적인 이슈들 = 19
12. 연구의 세부적인 절차와 단계 = 20
Chapter 3. 연구주제 설정과 문헌고찰하기(Selection of a Research Topic and Literature Review)
1. 연구토픽을 위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출처들 = 29
2. 조작적(연구 실행을 위한) 정의(Operstional definition) = 29
3. 조작적 정의와 가설 = 30
4. 가설의 종류 = 30
5. 가설의 3가지 기본 원칙 = 31
6. 이론을 기초로 한 연구의 필요성(Theory driven research) = 31
7. 문헌고찰의 필요성 = 31
8. 문헌고찰의 종류 = 32
9. 컴퓨터를 이용한 문헌고찰 = 32
10. 문헌고찰 작성 요령 = 33
Chapter 4. 적절한 표본 구하기(Drawing Samples from the Population)
1. 모집단(Populations)과 표본(Samples) = 41
2. 표집(Sampling)과 표본(Samples) = 41
3. 대표성(Representativeness)과 일반화(Generalization)의 개념 = 41
4. 표집(Sampling)의 기본원칙 = 41
5. 표집(Sampling)의 두 가지 방법 = 42
6. 확률표집(Pobability sampling) = 42
7. 비확률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 = 43
8. 표집에 있어서 필히 참고해야 할 사항 = 44
9. 표본의 크기 정하기 = 45
Chapter 5.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높이기(Measure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1. 측정(Measurement) 및 측정 방법 = 51
2. 측정의 4가지 기준/단계(Levels of measurement) = 52
3.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의 중요성 = 52
4. 신뢰도의 개념적 정의 = 53
5. 신뢰도의 종류 = 54
6.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 54
7. 신뢰도 계수(Reliability coefficient) 측정은 상관계수(r)를 사용한다. = 55
8. 타당도의 개념적 정의 = 55
9. 타당도의 종류 = 55
10.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56
Chapter 6. 실험을 사용하지 않는 연구 설계하기(Designing Non-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1. 비실험 연구란 무엇인가? 실험연구와 다른점은? = 63
2. 비실험 연구의 종류 = 63
3. 역사적인 연구(Archival or historical research) = 63
3.1 역사적 연구의 단계 = 63
3.2 역사적 연구자료 수집을 위한 출처 = 64
3.3 역사적 연구 과정의 필수 요건 = 64
4. 사례연구(Case study) = 64
4.1 사례연구의 장점 = 64
4.2 사례연구의 단점 = 65
5. 자연관찰 연구(Naturalistic ofservation) = 66
5.1 자연관찰 연구의 문제점 = 66
6. 조사연구(Survey research) = 66
6.1 질문지 작성의 필수 조건 = 67
6.2 질문지 문항 작성 시 주의해야할 점 = 67
6.3 면접을 이용한 조사연구 = 68
6.4 면접조사를 위한 준비 과정 = 69
6.5 성공적인 면접을 위한 십계명 = 69
7. 발달/변화 과정에 초점을 둔 연구(Developmental research) = 70
8.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 연구와 상관관계 연구(Correlational research) = 70
Chapter 7. 실험을 사용한 연구 설계하기(Designing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1. 실험연구 방법의 특징 = 77
2. 실험연구 방법의 분류 = 77
3. 실험연구 방법의 분류 기준 = 78
4. Pre-experimental design = 79
5. True-experimental design = 79
6. Quasi-experimental design = 80
Chapter 8. 연구 설계의 내적 및 외적 타당도 높이기(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Experimental Designs)
1.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연구설계의 타당도 = 89
2. 내적 타당도(Intemal validity)의 개념 = 89
3. 외적 타당도(Extemal validity)의 개념 = 89
4. 내적 타당도에 위협을 주는 요인 = 90
5. 외적 타당도에 위협을 주는 요인 = 91
6. 독립 변수의 수준(Levels)이나 하위 그룹(Subgroups)을 정하는 방법 = 91
7. 실험집단(Experimental group)과 통제집단(Control group) = 92
8. Demand characteristics와 Placebo treatment = 92
9. 가외(외생) 변수를 통제하는 방법 = 92
10. Double-blind 설계 = 93
11. Within-subjects(repeated or paired)설계와 Between-subjects 설계 = 93
Chapter 9. 질적 연구방법 배우기(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1. 질적 연구란? = 99
2. 질적 연구방법의 철학적 배경 = 99
3. 질적 연구방법의 목적 = 99
4. 질적 연구방법의 특징 = 99
5.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적인 기반 = 101
6. 질적 연구방법의 기본 원칙 = 102
7. 질적 연구방법의 장단점 = 104
8.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점 = 104
Chapter 10. 통계 분석에 관한 기본 지식 익히기(Understanding Basic Statistics)
1. 통계분석의 필요성 = 111
2. 통계분석의 종류 = 111
3. 자주 사용되는 기술통계 = 111
3.1 빈도 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 table) = 111
3.2 그림표(Graphing techniques) = 112
3.3 중심 경향치(Central tendency) = 113
3.4 분산도(Variability) = 113
4. 상관 관계(Correlation) = 113
5. 추리통계(Inferential statistics)란? = 114
6. 추리통계의 기본 개념 = 114
7. 통계 처리 과정에서의 오류 = 116
8. 추리 통계에서의 가설 검증 단계 = 116
9. 개인차(평균치 사용) 비교를 위한 추리통계 방법 = 118
9.1 Student's t-test = 118
9.2 변량분석(ANalysis Of VAriance - ANOVA) = 119
10. 상관관계를 이용한 추리통계 = 120
11. 비모수 통계방법(Non-parametric statistics) = 121
Chapter 11. 연구 보고서 작성하기(writing a Research Report)
1. 연구 보고서의 양식 = 129
2. 표지(Title page) = 129
3. 초록(Abstract) = 130
4. 서론(Introduction) = 130
5. 연구방법(Methods) = 131
6. 결과(Results) = 132
7. 논의(Discussion) = 133
8. 참고문헌(References) = 134
9. 부록(Appendices) = 134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