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책학원론 改訂版

정책학원론 改訂版 (27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정길 , 저 최종원 , 저 이시원 , 저 정준금 , 저
서명 / 저자사항
정책학원론 / 정정길...공저.
판사항
改訂版
발행사항
서울 :   大明出版社 ,   2003   (2007)  
형태사항
xxxv, 996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社會科學叢書
ISBN
8957741011
일반주기
공저자: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서지주기
참고문헌(p. 945-984), 부록, 색인수록
000 00809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874666
005 20100806064048
007 ta
008 040322s2003 ulka 001a kor
020 ▼a 8957741011 ▼g 93350: ▼c \33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21092829 ▼f 과학 ▼l 121092830 ▼f 과학
082 0 4 ▼a 320.6 ▼a 352.34 ▼2 22
090 ▼a 320.6 ▼b 2003a
245 0 0 ▼a 정책학원론 / ▼d 정정길...공저.
250 ▼a 改訂版
260 ▼a 서울 : ▼b 大明出版社 , ▼c 2003 ▼g (2007)
300 ▼a xxxv, 996 p. : ▼b 삽도 ; ▼c 26 cm.
490 0 0 ▼a 社會科學叢書
500 ▼a 공저자: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504 ▼a 참고문헌(p. 945-984), 부록, 색인수록
700 1 ▼a 정정길 , ▼e▼0 AUTH(211009)113429
700 1 ▼a 최종원 , ▼e
700 1 ▼a 이시원 , ▼e
700 1 ▼a 정준금 ,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113201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113202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사범대교학과 320.6 2003a 등록번호 111463362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211087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210928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210928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5119017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6-10-26 예약 서비스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511901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113201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113202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사범대교학과 320.6 2003a 등록번호 111463362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211087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210928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210928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5119017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6-10-26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0.6 2003a 등록번호 1511901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정길(지은이)

(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명예교수 (현) 미국행정학술원(NAPA) 회원 울산대학교 총장 서울대학교 대학원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한국행정학회장 대통령실장 University of Michigan 정치학 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정책학
 제1절 정책의 중요성과 정책연구의 필요성 = 3
 제2절 현대적 정책학의 등장과 그 목적 = 5
  1. Lasswell의 제안과 현대적 정책학의 등장 = 5
  2. 행태주의의 퇴조와 후기행태주의(Post-Behavioralism)의 등장 = 7
   1) 행태주의적 정치학 = 7
   2) 1960년대 미국사회의 혼란과 후기행태주의의 등장 = 10
  3. 1960년대 후반에서의 정치학의 재출발 = 12
  4. 정책학의 연구목적과 제특성 = 15
 제3절 정책학의 연구대상과 접근방법 = 17
  1. 정책학의 연구대상 = 17
  2. 정책학의 연구방법 = 20
   1) 다양한 연구방법과 접근방법 = 20
   2) 경험적·실증적 접근 = 21
   3) 규범적·처방적 접근 = 22
 제4절 정책학의 연구내용과 전개과정 = 24
  1. 정책학이 제공하는 두 가지 유형의 지식 = 24
   1) 정책과정에 관한 지식 = 24
   2) 정책과정에서 필요한 지식 = 25
  2. 정책연구의 전개 = 26
   1) 정책분석 = 27
   2) 정책평가 = 28
   3) 정책결정론 = 28
   4) 정책의제설정론 = 29
   5) 정책집행론 = 29
  3. 전반적 흐름 = 30
 제5절 정책학의 한계와 과제 = 31
  1. 정책학의 유용성에 대한 의문 = 31
  2. 정책연구의 악용가능성 = 32
  3. 정책학의 독립성(Identity) = 34
 제6절 정책학과 가치판단 및 윤리 = 35
  1. 논의의 핵심 = 35
  2. 정책과 관련된 가치 = 36
   1) 정책목적과 정책수단 속에 내재된 가치 = 36
   2) 가치로서의 정책효과와 정책비용 = 37
   3) 실체적 가치와 절차적 가치 = 38
  3. 정책학과 가치판단 및 가치연구 = 39
   1) 정책과정 속의 가치판단이 지닌 정치적 성격 = 39
   2) 정책학자의 가치판단 = 41
  4. 정책학자와 정책분석가의 륜리 = 44
 제7절 정책학과 인접학문 = 46
  1. 정책학과 정치학 = 46
  2. 정책학과 행정학 = 47
  3. 정책학과 경제학 및 경영학 = 48
  4. 정책학과 법학 및 기타 학문 = 49
제2장 정책
 제1절 정책의 개념 = 53
 제2절 정책의 구성요소 = 56
  1. 정책목표 = 57
   1) 개념 = 57
   2) 정책목표의 종류 = 58
   3) 정책목표의 상호관계 = 60
   4) 정책목표의 기능 또는 역할 = 62
  2. 정책수단 = 64
   1) 개념과 중요성 = 64
   2) 정책수단의 종류 = 65
  3. 정책대상자 = 68
  4. 정책의 기타 특징 = 69
   1) 권위있는 정부기관이 결정 = 69
   2) 기본방침 = 70
   3) 정책을 추진·집행할 '정책의지' = 71
 제3절 정책의 종류와 유형 = 71
  1. 실질적·기능별 분류 = 72
  2. Lowi의 분류 = 73
   1) 배분정책(Distributive Policy) = 74
   2) 규제정책(Regulatory Policy) = 75
   3) 재분배정책(Redistributive Policy) = 77
   4) 구성정책(Constitutional Policy) = 77
  3. Almond와 Powell의 분류 = 78
   1) 추출정책(Extractive Performance) = 78
   2) 상징정책(Symbolic Performance) = 78
  4. 정책유형의 정리 및 체계화 = 79
   1) Lowi 분류의 약점 = 79
   2) Almond와 Powell 분류의 약점 = 80
   3) 종합 = 81
제3장 정치체제와 정책환경
 제1절 정치체제와 정책 = 87
  1. 정치체제 = 87
  2. 정치체제와 환경의 일반적 관계 = 88
   1) 투입 = 89
   2) 산출 = 89
   3) 전환 = 91
 제2절 정책결정요인론 = 92
  1. 정책결정요인론의 전개 = 92
   1) 문제의 소재 = 92
   2) 초기의 정치행정학자들의 환경연구 = 93
   3) 경제학자들의 환경연구 = 94
   4) 정치학자들의 환경연구 = 95
  2. 정책결정요인론의 충격 = 99
   1) 정치적 변수의 역할인식에 대한 충격 = 99
   2) 정책학의 학문적 역할인식에 대한 충격 = 100
  3. 정책결정요인론의 문제점 = 100
   1) 개념의 계량화에 있어서의 문제 = 101
   2) 인과관계의 불명확 = 103
   3) 종합적 평가 = 104
 제3절 정책환경이 정책에 미치는 영향 = 105
  1. 정책의 환경에 대한 영향 = 105
  2. 환경의 정책에 대한 영향 = 106
   1) 환경이 정책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 106
   2) 환경이 정책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 107
 제4절 정치체제의 특성과 정책 = 112
  1. 정치체제와 정책의 일반적 관계 = 112
  2. 정책담당자의 특성 = 113
   1) 정책담당자의 능력 = 114
   2) 정책담당자의 성향 = 114
  3. 정치체제의 분위기와 규범 (1) -정치리념- = 115
   1) 자유주의 = 115
   2) 경제성장주의 = 117
   3) 복지주의 = 119
   4) 법치주의 = 121
  4. 정치체제의 분위기와 규범 (2) -정치·행정 문화- = 123
   1) 정치체제와 국민의 관계에 대한 신념과 인식 = 123
   2) 정치체제의 운영방식에 대한 신념·태도 = 124
  5. 정치체제의 구조 -권력구조- = 127
   1) 정치체제의 구조와 정책의 관계 = 127
   2) 정치체제의 구조와 권력구조 = 127
   3) 정부계층간 권력구조 = 128
   4) 정치기관간의 권력구조 = 132
제4장 정책과정과 참여자
 제1절 정책과정과 정책결정과정 및 참여자 = 137
  1. 정책과정 = 137
  2. 정책과정과 정치과정 = 138
  3. 정책결정과정 = 140
   1) 넓은 의미의 정책결정과정 -정책과정- = 140
   2) 정책결정의 인지적 과정 -의사결정과정- = 140
   3) 정책결정의 정치적 절차 = 141
  4. 정책과정의 참여자 = 141
  5. 한국의 정책과정과 참여자 = 143
 제2절 의회 = 145
  1. 의회의 지위와 권한 = 145
  2. 정책과정상의 의회의 역할 = 145
   1) 정책의제설정 = 146
   2) 정책결정 = 146
   3) 정책집행과 정책평가 = 147
  3. 의회의 약화 = 148
   1) 의회약화의 현황 = 148
   2) 의회약화의 원인 : 행정국가화의 원인 = 150
 제3절 행정부처 = 153
  1. 행정조직의 지위와 권한 = 153
  2. 정책과정상의 행정부처의 역할 = 153
   1) 정책의제설정 = 154
   2) 정책결정 = 156
   3) 정책집행 = 157
   4) 정책평가과정에서의 역할 = 159
  3. 행정권의 강화 : 행정조직의 실질적 권한강화 = 160
 제4절 대통령과 행정수반 = 161
  1.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 = 161
  2. 대통령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선진국의 경우- = 163
   1) 정책의제설정 = 164
   2) 정책결정 = 164
   3) 정책집행 = 165
  3. 대통령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우리나라의 경우- = 165
 제5절 사법부 = 167
  1. 사법부의 지위와 역할 = 167
  2. 정책과정상의 사법부의 역할 = 168
   1) 정책의제설정 = 169
   2) 정책결정 = 170
   3) 정책집행 = 171
 제6절 정당 = 172
  1. 정당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72
   1) 정책의제설정 = 173
   2) 정책결정 = 174
   3) 정책집행 및 평가 = 175
  2. 정책기구로서의 정당의 한계 = 176
  3. 한국 정당의 정책결정기능 = 179
   1) 야당의 역할 = 179
   2) 여당의 역할 = 180
 제7절 이익집단 = 182
  1. 이익집단의 목적과 정치적 기능 = 182
   1) 이익집단의 목적 = 182
   2) 이익집단의 정치적 기능 = 183
  2.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84
   1) 정책의제설정 = 184
   2) 정책결정 = 185
   3) 정책집행 및 평가 = 186
  3. 정치세력으로서의 이익집단의 문제점 = 187
   1) 이익집단의 문제점 = 187
   2) 이익집단의 영향력을 좌우하는 요인 = 188
   3) 이익집단론의 근거와 허점 = 190
  4. 우리나라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92
 제8절 NGO = 194
  1. NGO의 개념과 활동영역 = 194
   1) NGO의 개념 = 194
   2) NGO의 활동영역 = 196
  2. NGO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97
   1) 정책의제설정 = 198
   2) 정책결정 = 199
   3) 정책집행 및 평가 = 200
  3. 정치세력으로서의 NGO의 문제점 = 202
  4. 우리나라 NGO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203
 제9절 시민, 언론, 전문가 = 205
  1. 시민 또는 일반국민 = 205
   1) 정책과정에서의 국민의 역할 = 205
   2) 여론 = 206
   3) 언론 = 209
  2. 전문가와 지식인 = 210
   1) 정책과정상의 역할 = 210
   2) 전문가·지식인 및 정책공동체 = 211
 제10절 정책참여자의 권력에 기초한 정책결정모형 : 권력모형 = 215
  1. 권력모형의 의의 = 215
  2. 엘리트이론(고전적 엘리트이론과 신엘리트이론) = 219
   1) 고전적 엘리트론 = 219
   2) 1950년대 미국의 엘리트론 = 221
   3) 신엘리트론 = 223
  3. 다원주의와 한계(다원론과 이익집단론, 신다원론 및 하위정부론) = 225
   1) 다원주의론과 이익집단론 = 225
   2) 신다원주의론(Neopluralism) = 230
   3) 하위정부모형(Subgovernment Model) = 233
  4. 다원주의와 엘리트이론의 상황론적 통합 : Lowi의 정책분류 = 236
  5. 정책네트워크모형 = 241
   1) 정책네트워크모형의 등장배경 = 241
   2) 정책네트워크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243
  6. 기타이론 : 신웨버주의·신맑스주의·후진국적 이론 = 249
   1) 신웨버주의(Neo-Weberianism)와 조합주의 = 250
   2) 신맑스주의(Neo-Marxism)와 종속이론 = 254
   3) 관료적 권위주의와 신중상주의 = 258
제5장 정책의제설정
 제1절 정책의제설정의 의미와 주도집단 = 265
  1. 정책의제설정의 의미 = 265
  2. 정책문제의 설정과정 = 266
   1) 사회적 이슈 또는 사회적 쟁점(Social Issue) = 266
   2) 공중의제(Public Agenda) = 268
   3) 정부의제(Governmental Agenda) = 268
   4) 다양한 설정과정 = 269
  3. 주도집단과 의제설정과정 = 272
   1) 외부주도형(Outside Initiative Model) = 273
   2) 동원형(Mobilization Model) = 274
   3) 내부접근형(Inside Access Model) = 276
 제2절 정책의제의 선택적 설정과 정책의제설정이론 = 277
  1. 정책의제설정이론의 등장과 초점 = 277
  2. Simon 등의 의사결정론 = 278
  3. 체제이론(System Theory) = 279
  4. 다원주의자와 엘리트주의자의 논쟁 = 280
   1) 다원론과 엘리트론의 초점 = 280
   2) 다원론(Pluralism) = 281
   3) 엘리트이론으로서의 무의사결정론 = 283
 제3절 정책의제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 287
  1. 여러 가지 요인과 이론 = 287
  2. 주도집단과 참여자 = 288
   1) 대통령 등 공식참여자의 중요성 = 288
   2) 외부주도집단 = 289
  3. 정치적 요소 = 291
   1) 정치체제의 구조와 운영양식 = 291
   2) 정치적 분위기와 리념 = 291
   3) 정치적 사건 = 292
  4. 문제의 특성과 사건 = 293
   1) 문제의 중요성 = 293
   2) 문제의 외형적 특성 = 294
   3) 문제의 내용상의 특성 = 294
   4) 선례와 유행성 = 296
   5) 극적 사건(Event)과 위기(Crisis) = 296
 제4절 정책의제설정의 중요성과 적극적 문제탐색 = 297
  1. 정책의제설정의 중요성 = 297
   1) 문제해결 및 정치적 갈등의 첫 번째 단계 = 297
   2) 정책대안의 실질적 제안과 범위한정 = 298
   3) 정책의제화의 차이에 따른 정책과정의 차이 = 299
  2. 적극적 문제탐색과 분석적 의제설정의 필요성 = 300
   1) 중대한 문제를 우선해야 할 필요성 = 300
   2) 적시에 해결해야 할 문제를 우선해야 할 필요성 = 300
   3) 실제 의제설정상의 문제점 = 302
  3. 적극적 문제탐색의 한계 = 303
제6장 정책문제의 파악과 정책목표의 설정
 제1절 정책결정과 합리적·분석적 정책결정 = 307
 제2절 정책목표의 설정과정 = 308
  1. 정책목표설정의 중요성 = 308
  2. 정책목표설정의 절차 = 309
 제3절 정책문제의 파악과 정의 = 311
  1. 정책문제 파악 및 분석의 의미와 내용 = 311
   1) 정책문제 파악의 중요성 = 311
   2) 정책문제 파악의 내용과 순서 = 312
  2. 정책문제의 개략적 파악 = 313
  3. 정책문제의 결과 파악 = 314
   1) 정책문제피해집단의 파악 = 314
   2) 정책문제의 심각성 파악 = 315
  4. 미래의 정책문제예측 = 316
  5. 정책문제의 분류와 여과 = 318
   1) 문제려과의 필요성 = 318
   2) 문제려과의 기준 = 319
  6. 정책문제의 정의 = 321
   1) 정책문제정의의 의미 = 321
   2) 정책문제정의의 중요성과 정치성 = 322
   3) 객관적 실체로서의 문제와 주관적으로 정의된 정책문제 = 324
   4) 바람직한 정책문제 정의 = 327
 제4절 정책목표의 설정 = 329
  1. 정책문제의 정의와 정책목표의 설정 = 329
  2. 정책목표의 소망성 평가기준 = 330
  3. 정책목표들의 우선순위 결정 -중요성과 의미- = 331
   1) 목표 우선순위 결정의 중요성 = 331
   2) 정책목표들의 관계와 우선순위 결정 = 332
   3) 우선순위 결정과 목표의 달성수준 결정 = 334
  4. 정책목표 설정의 리상적 방법과 제약 = 334
   1) 이상적 방법의 내용 = 334
   2) 이상적 방법의 한계와 차선책 = 335
  5. 정책목표의 구체화와 수정 = 338
   1) 목표 구체화의 중요성 = 338
   2) 목표 구체화의 한계와 약점 = 340
제7장 최선의 정책수단선택
 제1절 정책수단선택의 중요성과 정책대안 = 345
  1. 정책수단선택의 중요성 = 345
  2. 최선의 정책수단선택을 위한 작업 = 347
  3. 정책수단과 정책대안 = 347
 제2절 정책대안의 개발과 탐색 = 349
  1. 정책채대안의 광범위한 탐색과 제약 = 349
  2. 정책대안의 원천(Source) = 350
   1) 과거의 정책 = 351
   2) 타정부의 정책 = 352
   3) 과학·기술 및 모형(model)의 활용 = 354
   4) 주관적·직관적 방법 = 355
  3. 정책대안 탐색 또는 개발의 순서 = 358
  4. 정책대안의 예비분석과 스크린(Screen) = 359
 제3절 정책대안의 결과 예측 = 361
  1. 정책대안의 결과 예측의 의미 = 361
  2.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방법 = 362
   1) 결과예측의 제방법 = 362
   2) 과거의 정책 및 외국의 정책에 의한 예측 = 363
  3.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방법 (Ⅰ) -모형의 작성과 이용 = 365
   1) 모형의 개념 = 365
   2) 모형의 작성방법과 구성요소 = 366
   3) 모형의 역할 (1) : 정책대안의 창출 = 368
   4) 모형의 역할 (2) :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 369
   5) 확률적 모형과 확정적 모형 = 370
   6) 모형의 예측능력과 결과예측의 제약요인 = 372
  4. 불확실성(Uncertainty)과 결과예측 = 373
   1) 정책분석에서의 불확실성 = 373
   2) 불확실성의 발생원인 = 374
   3) 불확실성의 대처방안 = 377
  5.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방법 (Ⅱ) -정책실험- = 379
  6.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방법 (Ⅲ) -직관적·주관적 방법- = 380
  7. 특수한 정책분석의 예 :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및 규제영향분석 = 381
   1) 환경영향평가 = 381
   2) 교통영향평가 = 383
   3) 규제영향분석 = 384
 제4절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및 선택 = 386
  1. 정책대안의 비교·평가기준 : 소망성평가기준 = 386
   1) 효과성 = 387
   2) 능률성 = 389
   3) 공평성 = 396
   4) 경제적 합리성 대 정치적 합리성 = 399
   5) 소망성 평가기준간의 모순·갈등 = 401
  2. 정책대안의 실현가능성 = 402
   1) 실현가능성의 의미 = 402
   2) 실현가능성의 종류 = 403
  3. 최선의 정책대안선택 : 리상적 방법 = 407
 제5절 분석적 결정의 한계 = 408
  1. 합리적·분석적 결정의 제약요인들 = 408
   1) 분석논리와 기법상의 약점 = 409
   2) 분석적 결정의 비용·효과와 정책결정자의 능력·시간부족 = 411
   3) 조직 및 집단의 제약 = 414
   4) 실현가능성과 정치적 반대 = 417
 제6절 정책결정의 실제 -비분석적·정치적 결정방법- = 418
  1. 분석적 결정과 정치적 결정의 차이 = 419
  2. 실제의 비분석적·정치적 정책결정 = 421
   1) 문제파악·목표설정상의 비분석적·정치적 요인 = 421
   2) 대안의 탐색·비교평가상의 비분석적·정치적 요인과 정책공동체 = 422
   3) 대안선택상의 비분석적·정치적 요인 = 424
 제7절 최선의 정책수단 선택을 제약하는 상황 = 425
  1. 위기상황 = 425
   1) 위기의 의의 = 425
   2) 위기대응 의사결정의 양상 = 427
   3) 위기관리정책의 내용 = 429
  2. 카오스이론 = 432
   1) 카오스이론의 주요내용 = 432
   2) 시사점 = 436
 제8절 우리나라의 정책결정과정 = 440
  1. 우리나라 정책결정의 주요절차 = 440
  2. 행정부처 내부의 정책결정절차 = 441
   1) 품의제의 공식적 측면 = 441
   2) 실제의 의사결정 1(실질적 결정권자에 의한 의사결정) = 442
   3) 실제의 의사결정 2(전문성과 부서간의 협조) = 444
   4) 품의제의 장·단점 = 446
  3. 행정부의 최고의결기구 = 448
   1) 서론 = 448
   2) 국무회의의 권한과 차관회의 = 448
   3) 국무회의의 실질적 역할 = 450
   4) 국무회의의 형식화와 정책의 사전조정 = 451
  4. 부성할거주의와 부처간의 갈등조정 = 451
   1) 부처간의 갈등과 부성할거주의의 원인 = 451
   2) 부처간의 갈등 조정기구로서의 국무회의, 경제장관회의 = 454
   3) 대통령과 국무총리에 의한 갈등조정과 부처의 영향력 = 454
  5. 대통령의 정책결정과 그 한계 = 457
   1) 대통령의 정책결정을 제약하는 요인들 = 457
   2) 대통령의 직접결정과 위임 = 459
   3) 대통령비서실의 개입 = 461
제8장 의사결정론
 제1절 의사결정론과 정책 = 467
  1. 의사결정론과 정책결정 및 정책집행 = 467
   1) 의사결정론과 바람직한 정책결정 = 467
   2) 의사결정과 정책결정 = 468
   3) 의사결정과 정책집행 = 469
  2. 의사결정의 제유형 = 470
   1) 의사결정론의 제유형 = 470
   2) 합리모형과 인지모형 = 471
   3) 규범론과 실증론 = 472
   4) 유형들의 상호관계 = 472
 제2절 합리모형·만족모형·싸이버네틱스모형 = 473
  1. 합리모형 = 473
   1) 합리적·분석적 의사결정의 단계와 의사결정의 제방법 = 473
   2) 합리모형의 내용과 약점 = 477
   3) 합리성(Rationality)의 의미 = 480
  2. Simon의 만족모형(Satisficing Model) = 486
   1) 내용 = 486
   2) 만족모형의 평가 = 488
  3. 싸이버네틱스모형 = 489
   1) 의의 = 489
   2) 싸이버네틱스(Cybernetics)적인 의사결정의 내용 = 490
 제3절 점증주의(Incrementalism) = 494
  1. 의의 = 494
  2. 점증주의의 내용 = 495
   1) 현존정책 ±α = 495
   2) 분석의 대폭적 제한 = 496
   3) 계속적 정책결정(Successive Comparisons) = 497
   4) 분할적 점증주의(Disjointed Incrementalism)=부분적·분산적 정책결정(Piecemeal-Disjointed Policymaking) = 498
   5) 목표와 수단의 상호의존성 = 500
  3. 점증주의의 평가 -그 공과 과- = 501
   1) 기술적·경험적·실증적 모형(Descriptive·Empirical·Positive Model)으로서의 점증주의 = 502
   2) 처방적·규범적 모형으로서의 점증주의 = 503
  4. 점증주의의 수정 = 507
  5. 비점증적 정책결정모형(Non-incremental Policy Making Model) = 509
 제4절 혼합탐사모형과 최적모형 = 511
  1. 혼합탐사모형(Mixed-Scanning Model) = 511
   1) 등장배경 = 511
   2) 혼합탐사의 내용 = 512
   3) 혼합탐사모형의 평가 = 515
  2. Dror의 최적모형(Optimal Model) = 517
   1) 등장배경 = 517
   2) 최적모형의 내용 = 517
   3) 최적모형의 평가 = 521
 제5절 조직모형과 회사모형 = 522
  1. 집단의 응집성과 집단적 의사결정론 = 522
  2. 조직모형 = 524
   1) 조직모형과 회사모형의 등장배경 = 524
   2) 의사결정의 두 가지 방법과 문제해결식 의사결정 = 525
   3) 상례화된 의사결정과 프로그램 목록(repertory) = 526
   4) 요소분해와 업무 및 목표의 분화 = 528
   5) 조직내의 갈등 = 529
  3. 회사모형 = 530
   1) 개관 = 530
   2) 갈등의 준해결(Quasi-Resolution of Conflict) = 532
   3) 문제중심의 탐색(Problemistic Search) = 535
   4) 불확실성의 회피(Uncertainty Avoidance) = 536
   5) 조직의 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 537
   6) 표준운영절차(SOP :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 538
  4. 조직모형과 회사모형의 평가 = 539
 제6절 쓰레기통모형(Garbage Can Model) = 541
  1. 의의 = 541
  2. 세 가지 전제조건 = 542
   1) 문제성 있는 선호(Problematic Preferences) = 542
   2) 불명확한 기술(Unclear Technology) = 542
   3) 수시적 참여자(Part-time Participants) = 543
  3. 의사결정의 네 가지 요소 = 543
   1) 네 가지 요소 = 543
   2) 상호관계 = 544
  4. 의사결정의 방식 = 546
   1) 조직화된 무정부상태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 546
   2) 의사결정의 방식 = 546
 제7절 Allison모형 = 548
  1. 의의 = 548
  2. 모형들의 주요내용 = 549
   1) 합리모형(Model Ⅰ) = 549
   2) 조직과정모형(Model Ⅱ) = 550
   3) 정치모형(Model Ⅲ) = 551
  3. 세 가지 모형의 종합·비교 = 552
  4. 평가 -적용가능성 문제- = 553
 제8절 집단적 의사결정 : 논리와 한계 = 555
  1. 집단적 의사결정의 논리 = 555
  2. 집단적 의사결정의 한계 : 집단사고(groupthink) = 559
제9장 정책집행과 정책집행단계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 565
  1. 정책집행의 의미 = 565
  2. 정책집행의 중요성 -성공적인 정책집행의 중요성- = 566
   1) 정책의도의 실현 = 566
   2) 실질적인 정책내용 = 567
   3)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정부의 활동 = 569
 제2절 정책집행과 정책결정 = 570
  1. 정책집행과 정책결정 = 570
   1) 정치·행정이원론과 일원론 = 570
   2)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의 공통점과 차이점 = 573
  2. 정책집행자와 정책결정자의 관계 = 577
   1) 정책집행자와 정책결정자의 개념 구분 = 577
   2) 다양한 정책집행자의 유형 = 578
   3) 정책결정자와 정책집행자의 권한배분모형 = 581
 제3절 정책집행과 정책평가 = 589
  1. 정책집행에 대한 정책평가의 영향 = 589
  2. 성공적 정책집행의 판단기준 = 591
   1) 정책목표 달성도(policy goal attainment) = 592
   2) 능률성(efficiency) = 593
   3) 정책지지 및 관련집단의 만족도(constituency satisfaction) = 594
   4) 정책수혜집단의 요구대응성(clientele responsiveness) = 594
   5) 체제유지(system maintenance) = 595
   6) 성공적 집행의 판단기준들간 모순·대립 = 596
  3. 정책집행 평가의 문제점 : 집행실패 위주의 사례연구의 원인 = 597
   1) 지나친 합리모형적 접근 = 598
   2) 논리실증주의 - 경험주의적 연구방법론의 문제점 = 600
   3) 력사적인 맥락의 영향 = 601
 제4절 정책집행의 단계 = 602
  1. 정책집행의 사단계 = 602
  2. 정책지침작성단계 = 603
   1) 정책지침의 의미와 지침작성의 정치적 성격 = 603
   2) 정책지침의 기능과 SOP 개발 = 605
  3. 자원의 확보와 배분 = 607
  4. 실현활동과 감시·감독 = 608
   1) 실현활동 = 608
   2) 감독·통제단계 = 609
제10장 정책집행이론
 제1절 정책집행이론 개관 = 613
  1. 고전파 행정학에서의 집행관 = 614
   1) 고전파 행정학의 원리 = 614
   2) 고전파 행정학적 집행관의 문제점과 현대적 집행의 특징 = 616
  2. 현대적 집행론의 등장 -Pressman과 Wild avsky의 집행론- = 617
  3. 현대적 집행론의 등장배경 = 621
  4. 정책집행이론의 발전 = 623
   1) 하향적 접근방법과 상향적 접근방법, 그리고 통합이론 = 623
   2) 기타 이론적 논의들 = 624
   3) 정책집행이론에 대한 평가 = 626
 제2절 하향적 접근방법(Top-Down Approach) = 630
  1. 하향적 접근방법의 내용 = 630
  2. 정책의 특성과 자원 = 633
   1) 정책내용의 명확성(Clarity)과 일관성(Consistency) = 633
   2) 정책내용의 소망성(Desirability) = 637
   3) 정책집행수단 및 자원의 확보 = 639
   4) 정책의 기타 특성 = 640
  3. 정책결정자 및 정책관련집단의 지지 및 정책유형별 차이 = 643
   1) 정책결정자의 지지 및 태도 = 643
   2) 대중 및 매스컴의 지지 = 644
   3) 정책대상집단의 태도와 정치력 = 645
   4) 정책유형별 정책집행의 차이 = 646
  4. 집행조직과 담당자 = 650
   1) 집행주체의 능력과 의욕 = 650
   2) 집행조직의 관료규범과 집행절차 = 652
   3) 집행체제의 특성 = 656
  5. 정책집행에 대한 순응 = 659
   1) 순응의 의미와 중요성 = 659
   2) 순응을 좌우하는 요인 = 663
   3) 순응확보수단 = 667
  6. 하향적 접근방법의 평가 = 674
   1) 장점 = 674
   2) 단점 = 676
 제3절 상향적 접근방법(Bottom-Up Approach) = 677
  1. 상향적 접근방법의 내용 = 677
   1) Elmore의 연구 = 678
   2) Hjern과 Hull의 연구 = 680
  2. 상향적 접근방법의 평가 = 681
   1) 정점 = 681
   2) 단점 = 683
 제4절 통합모형 = 684
  1. 통합모형의 내용 = 684
   1) Sabatier의 통합모형 = 685
   2) Elmore의 통합모형 = 689
   3) Matland의 연구 = 690
   4) Winter의 연구 = 695
  2. 통합모형의 평가 = 697
   1) Sabatier의 정책지지련합모형에 대한 평가 = 697
   2) Elmore의 통합모형에 대한 평가 = 698
   3) Matland 연구에 대한 평가 = 699
   4) Winter의 통합모형에 대한 평가 = 699
   5) 통합모형에 대한 종합적 평가 = 700
 제5절 일선관료의 재량과 적응적 집행(상황론적 집행) = 704
  1. 집행현장의 중요성과 재량 = 704
   1) 집행현장의 중요성 = 704
   2) 집행담당자의 재량권 강화의 필요성 = 706
   3) 재량권의 의미와 문제점 = 709
  2. Lipsky의 일선집행관료이론 = 712
   1) 일선관료의 업무환경 = 713
   2) 적응 메커니즘의 개발 = 714
   3) 고정관념(stereotypes)의 영향 = 717
  3. 적응적 집행(상황론적 집행) = 718
   1) 거시적 집행구조 = 719
   2) 미시적 집행구조 = 721
 제6절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의 연계모형 = 724
  1. 결정-집행 유형 = 724
   1) 결정-집행 유형의 내용 = 724
   2) 결정-집행 유형의 장·단점 = 726
  2. 집행-결정 유형 = 727
   1) 집행-결정 유형의 내용 = 727
   2) 집행-결정 유형의 장·단점 = 728
  3. 종합적 평가 = 729
제11장 정책평가의 목적과 정책평가론
 제1절 정책평가와 정책 = 733
  1. 정책평가의 중요성 = 733
  2. 정책평가와 사업평가의 혼용 = 736
  3. 상식적 의미의 정책평가와 정책분석론 = 738
   1) 상식적 의미의 정책평가 = 738
   2) 정책분석과 정책평가 = 739
   3) 정책평가의 과학적 및 비과학적 방법 = 740
  4. 정책평가론의 전개와 초점 = 741
   1) 정책평가의 등장 = 741
   2) 정책평가론의 초점 = 744
   3) 신공공관리론의 등장과 성과평가 = 746
 제2절 정책평가의 종류와 목적 = 748
  1. 여러 가지 정책평가 = 748
  2. 정책평가의 목적 = 750
   1) 정책결정과 집행에 필요한 정보제공 = 750
   2) 정책과정상의 책임성 확보 = 753
   3) 이론구축에 의한 학문적 기여 = 755
  3. 총괄평가의 목적과 내용 = 756
   1) 총괄평가의 개념 = 756
   2) 효과성 평가 = 757
   3) 능률성 평가 및 정책영향평가 = 758
   4) 공평성 평가 = 762
  4.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의 목적과 내용 = 762
   1) 과정평가의 개념 = 762
   2) 협의의 과정평가 = 763
   3) 집행분석 또는 집행과정평가 = 766
 제3절 정책평가의 절차와 평가성검토 = 767
  1. 정책평가의 목적 확인과 일반적 절차 = 767
   1) 정책평가의 목적 확인과 평가유형 결정 = 767
   2) 정책평가의 일반적 절차 = 769
  2. 평가성검토 = 770
   1) 평가성검토의 의의 = 770
   2) 평가성검토의 내용과 절차 = 771
   3) 평가성검토의 활용 = 781
  3. 평가방법의 결정과 자료의 수집 및 분석 = 781
제12장 정책평가의 방법과 평가결과의 활용
 제1절 정책평가의 타당성과 제방법 = 789
  1. 평가대상으로서의 인과관계 = 789
  2. 평가의 타당성 = 791
   1) 내적 타당성(Internal Validity) = 791
   2) 외적 타당성(External Validity) = 792
  3. 정책평가의 제방법 = 793
 제2절 비실험적 방법의 론리와 약점 = 794
  1. 서론 = 794
  2. 대표적 비실험설계와 그 약점 = 795
   1) 사후적 비교집단 구성과 선정효과 = 795
   2) 정책실시 전후비교설계와 성숙효과 = 796
  3. 통계적 분석과 그 약점 = 799
   1) 비실험설계의 본질적 문제 -허위변수와 혼란변수의 개입- = 799
   2) 통계적 분석의 론리와 약점 = 801
 제3절 실험적 방법(Qrue Experiment) = 803
  1. 사회실험(Social Experiment)의 의미 = 803
   1) 사회실험의 등장 = 803
   2) 실험의 기본개념 = 804
   3) 사회실험의 종류 = 805
  2. 준실험(Quad-experiment) = 807
   1) 대표적 준실험설계와 그 론리 = 807
   2) 준실험의 약점 = 809
   3) 준실험의 약점보완방법 = 811
  3. 진실험(True Experiment) = 813
   1) 진실험의 론리와 강점 = 813
   2) 진실험의 약점과 보완책 = 814
 제4절 정책평가의 활용 = 820
  1. 활용의 여러 가지 유형 = 820
  2. 정책평가의 활용을 좌우하는 요인 = 822
   1) 적실성과 신뢰성 = 823
   2) 결과의 표현과 의사전달 = 825
   3) 이용자의 저항과 타성 = 826
   4) 평가결과의 악용 = 827
   5) 최대의 활용을 위한 고려 사항 = 827
제13장 정책변도 -정책승계와 종결-
 제1절 정책변동의 의의와 유형 = 833
  1. 정책과정상의 환류(feedback)와 정책변동의 의의 = 833
  2. 정책변동의 유형 = 835
   1) 4가지 전형적 유형 = 835
   2) 유형간의 차이와 상호관계 = 837
 제2절 정책승계와 정책종결의 유형 = 839
  1. 정책승계의 유형과 내용 = 839
  2. 정책종결의 내용과 유형 = 842
 제3절 정책변동의 원인 -정책종결의 원인을 중심으로- = 842
  1. 정책환경의 변화에 의한 투입의 변화 = 844
   1) 정책문제의 변화와 요구의 변화 = 844
   2) 자원의 변화와 지지의 변화 = 845
  2. 정책의 오류와 집행조직의 약점 = 846
  3. 정책의 일관성 상실 = 847
 제4절 정책변동모형 = 849
  1. 정책지지연합(advocacy coalition)모형 = 850
   1) 개념 = 850
   2) 내용 = 851
  2. 패러다임변동(paradigm shift)모형 = 854
  3. 이익집단위상변동(reversals of fortune)모형 = 856
  4. 정책흐름(policy stream)모형 = 858
 제5절 합리적 정책변동과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 = 860
  1. 정책변동의 합리적 관리의 필요성 = 860
   1) 합리적 정책변동의 필요성 = 860
   2) 정책변동의 합리적 결정 = 861
  2.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 : 정책종결의 경우를 중심으로 = 862
   1) 담당조직의 저항 = 863
   2) 정책수혜집단의 저항과 정치적 련합 = 864
   3) 정치적 부담(political cost) = 864
   4) 정책종결이나 정책변동의 불합리성 = 864
  3. 정책변동의 추진전략 : 정책종결과 감축에 대한 저항극복전략 = 865
   1) 동태적 전략 = 865
   2) 제도적 장치 = 866
제14장 신제도주의이론과 정책학 연구
 제1절 신제도주의 연구의 의의 = 869
  1. 신제도주의 이론의 대두 = 869
  2. 제도의 개념과 범위 = 870
 제2절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 872
  1. 이론적 배경 = 872
  2.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주요 특징 = 878
  3.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주요 론의 = 881
   1) 코-즈(Coase) = 881
   2) 윌리암슨(Williamson) = 883
   3) 노-스(North) = 884
   4) 오스트롬(Ostrom) = 886
   5) 정치학에서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주요 논의 = 897
  4. 한계 = 890
   1) 제도와 행태의 관계 = 890
   2) 제도의 출현과 변화에 대한 설명 = 891
 제3절 역사적 제도주의 = 893
  1. 이론적 배경 = 893
  2. 역사적 제도주의의 방법론적 특징 = 895
   1) 방법론적 전체주의 = 895
   2) 중범위이론적 분석수준 = 895
   3) 제도의 관계적·맥락적 측면에 초점 = 896
   4) 비교분석과 력사적 접근 = 897
  3. 역사적 제도주의의 주요 특징 = 898
   1) 제도에 대한 폭넓은 정의 = 898
   2) 제도와 개인행위 관계의 폭넓은 개념화 = 899
   3) 권력관계의 불균형에 대한 강조 = 900
   4) 제도의 지속성과 경로의존성,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 강조 = 901
   5) 제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설명 = 902
  4. 력사적 제도주의의 한계 = 902
 제4절 사회학적 신제도주의 = 904
  1. 이론적 배경 = 904
  2.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특징 = 907
   1) 제도에 대한 폭넓은 개념화 = 907
   2) 제도적 영향의 인지적 차원의 강조 = 902
   3) 적절성의 론리 = 908
  3.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주요 논의 = 911
   1) 제도적 환경과 배태성(배태성) = 910
   2) 제도화의 론리 = 912
  4.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한계 = 918
 제5절 신제도주의이론의 정책학적 함의 = 919
  1.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 920
   1)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특징과 정책과정 = 920
   2)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 921
  2. 력사적 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 922
   1) 역사적 제도주의의 특징과 정책과정 = 922
   2) 역사적 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 923
  3.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 924
   1)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특징과 정책과정 = 924
   2) 사회학적 신제도주의의 정책학적 함의 = 925
  4. 소결 = 926
부록 1 = 927
부록 2 = 937
참고문헌 = 945
인명색인 = 985
사항색인 = 988


관련분야 신착자료

Negri, Antonio (2022)
박민영 (2022)
Fukuyama, Franci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