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문학과 문화이론

문학과 문화이론 (Loan 8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Williams, Raymond 박만준 朴萬俊 , 역
Title Statement
문학과 문화이론 / Raymond Williams 저 ; 박만준 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經文社 ,   2003.  
Physical Medium
iv, 329 p. ; 23 cm.
Varied Title
Marxism and literature
ISBN
894200174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9-315)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Communism and literature.
000 00939camccc200289 k 4500
001 000000873864
005 20100806062033
007 ta
008 031217s2003 ulk 001a kor
020 ▼a 8942001742 ▼g 93170: ▼c \13000
035 ▼a KRIC09023474
040 ▼a 242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263620 ▼l 111263621
082 0 4 ▼a 801.95 ▼2 22
090 ▼a 801.95 ▼b 2003g1
100 1 ▼a Williams, Raymond ▼0 AUTH(211009)117112
245 1 0 ▼a 문학과 문화이론 / ▼d Raymond Williams 저 ; ▼e 박만준 역.
246 1 9 ▼a Marxism and literature
260 ▼a 서울 : ▼b 經文社 , ▼c 2003.
300 ▼a iv, 32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09-315)과 색인수록
650 0 ▼a Communism and literature.
700 1 ▼a 박만준 ▼g 朴萬俊 , ▼e▼0 AUTH(211009)64080
765 ▼t Marxism and literature ▼a Williams, Raymond . ▼d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 ▼z 0198760612 ▼w (YONSEI)313332
900 1 1 ▼a 윌리엄즈, 레이먼드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5 2003g1 Accession No. 1112636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5 2003g1 Accession No. 1112636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제1장에서는 네 개의 기본적 개념들, 즉 문화, 언어, 문학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대해 논의하고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마르크스주의적 문학이론이 실질적으로 의지하고 있다고 보여지는 마르크스주의 문화이론의 중심개념들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앞서의 논의를 문학이론의 문제로 확대시켰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레이먼드 윌리엄스(지은이)

1921~1988. 영국의 저명한 문화비평가이자 소설가. 문화연구와 문화유물론의 기틀을 놓은 비평가로서 정치, 문화, 문학, 미디어 분야에서 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웨일스의 작은 마을에서 철도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나, 에버거베니의 헨리8세문법학교를 졸업했고, 1939년 국가장학금을 받으며 케임브리지의 트리니티칼리지에 입학했다. 어린 시절부터 레프트북클럽 등의 독서활동을 했던 그는 대학 시절 영국 공산당에 가입했고 에릭 홉스봄 등과 함께 정치 팸플릿을 쓰기도 했다. 대학 재학중 2차대전이 발발하여 포병으로 징집되었고,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의 전투에 투입되었다. 공산당 당적은 2차대전 때 소멸되었고, 종전 후 대학에 복귀하여 석사학위까지 마쳤다. 1946~1960년, 옥스퍼드대학 사회교육원에서 드라마와 소설을 가르치는 한편, 노동자 야학에서도 강의했다. 이 시기에 여러 편의 소설도 집필했으나 『변방』(1960)만 출간되었다. T. S. 엘리엇의 『문화의 정의에 관하여』(1948)에 영향받아 문화의 개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에세이 「문화의 이념」을 쓴 뒤 이를 확장하여 『문화와 사회』(1958)를 출간했다. 뒤이어 『기나긴 혁명』(1961)으로 당시 성장하던 신좌파 성향의 독자들에게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1961년 케임브리지 지저스칼리지의 영문과에 부임하여 드라마와 소설을 가르쳤다. 에드워드 톰슨, 스튜어트 홀 등과 함께 『신좌파 메이데이 선언문』(1967)을 발표했고, 웨일스 민족주의 운동에도 참여했다. 그람시의 영향을 받아 문화유물론을 기반으로 한 문화연구, 혹은 문화사회학의 기틀을 구축했다. 언어, 문학, 사회의 관계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텔레비전, 소설, 영화 등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구성요소와 발달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미디어 이론의 권위자로도 명성을 얻었다. 1980년대에는 페미니즘, 평화주의, 생태주의 등의 사회운동과 활발히 교류하면서 노동운동이 환경운동과도 결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83년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은퇴했고, 1988년 새프런월든에서 타계했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와 사회』 『기나긴 혁명』 외에 『입센에서 브레히트까지의 연극』(1961), 『커뮤니케이션』(1962), 『영국소설사: 디킨스에서 로런스까지』(1970), 『시골과 도시』(1973), 『키워드』(1976), 『마르크스주의와 문학』(1977), 『유물론과 문화의 문제들』(1980), 『희망의 원천: 문화, 민주주의, 사회주의』(1989) 등이 있고, 문학작품으로는 장편소설 『변방』과 미완성 유작 『블랙마운틴 사람들』(1989~1990), 희곡 『코바』(1966) 등을 남겼다.

박만준(옮긴이)

동의대학교 철학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다. 부산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욕망과 자유의 변증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여러 환경단체의 상임대표를 지냈고 지금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회 환경포럼 전문위원, 부산시 환경정책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생물학적 인간, 생태학적 인간에 대한 관심을 평생의 과제로 삼고 있다. 저서는 <철학>(공저), <욕망과 자유>, <상생의 철학>(공저), <인성론>(공저), <성의 진화와 인간의 성문화>,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공저), <21세기 다윈혁명>(공저), <마음학: 과학적 설명과 철학적 성찰>(공저), <고전의 반역>(공저), <레이먼드 윌리엄스>, <철학의 향기와 역사 이야기>(공저), <청춘의 책탑>(공저), <인문학의 길 찾기>(공저), 『신경미학, 뇌와 아름다움의 진화』 등이 있다. 역서는 <마르틴 하이데거>(존 맥쿼리), <엄밀한 학으로서의 철학>(E. 후설), <그리스인의 이상과 현실>(G. L. 디킨슨, 공역), <헤겔 철학개념과 정신현상학>(N. 하르트만), <의식과 신체>(P. S. 모리스),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라이너 그룬트만), <하버마스의 사회사상>(미첼 퓨지, 공역), <헤겔의 변증법>(N. 하르트만), <논리학 입문 14판>(어빙 코피), <대중문화와 문화이론(8판)>(존 스토리),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존 스토리), <대중문화의 이해>(존 피스크), <마르크스주의와 문학>(레이먼드 윌리엄즈), <영화의 이해(13판)>(루이스 자네티), <최초의 인간과 그 이후의 문화>(A. 겔렌), <신경과학의 철학>(M. 베넷 외), <대중과 대중문화>(존 피스크)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 1
1 chapter 기본 개념들 = 11
 1. 문화 = 12
 2. 언어 = 26
 3. 문학 = 63
 4. 이데올로기 = 77
2 chapter 문화이론 = 105
 1. 토대와 상부구조 = 106
 2. 결정 = 118
 3. 생산력 = 128
 4. 반영에서 매개로 = 135
 5. 전형화와 상동관계 = 144
 6. 헤게모니 = 154
 7. 전통, 제도, 그리고 형성물 = 165
 8. 지배적인 것, 잔여적인 것, 부상하는 것 = 173
 9. 감정의 구조 = 183
 10. 문화사회학 = 195
3 chapter 문학이론 = 205
 1. 글쓰기의 다양성 = 206
 2. 미적 상황과 그 밖의 상황들 = 214
 3. 매체에서 사회적 행위까지 = 223
 4. 기호와 표기법 = 232
 5. 규약들 = 242
 6. 장르 = 251
 7. 형식 = 260
 8. 저자 = 269
 9. 제휴와 참여 = 279
 10. 창조행위 = 290
옮긴이의 말 :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문화분석' = 301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