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경제지식이 힘이다

경제지식이 힘이다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맹정섭 , 1959-
Title Statement
경제지식이 힘이다 / 맹정섭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미래와경영 ,   2003.  
Physical Medium
234 p. : 삽도 ; 23 cm.
기타표제
Easy guide to the Economy.
ISBN
898916544X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234.
000 00684camccc200241 k 4500
001 000000873859
005 20100806062023
007 ta
008 040203s2003 ulka 000a kor
020 ▼a 898916544X ▼g 03320 : ▼c \10000
035 ▼a KRIC08967974
040 ▼a HYUC ▼c HYUC ▼d 211062 ▼d 211009
049 1 ▼l 111263614 ▼l 111263615
082 0 4 ▼a 330 ▼2 21
090 ▼a 330 ▼b 2003u
100 1 ▼a 맹정섭 , ▼d 1959-
245 1 0 ▼a 경제지식이 힘이다 / ▼d 맹정섭 지음.
246 1 3 ▼a Easy guide to the Economy.
246 1 3 ▼a 오늘의 경제를 읽는 지식 길잡이!
260 ▼a 서울 : ▼b 미래와경영 , ▼c 2003.
300 ▼a 234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 p. 234.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0 2003u Accession No. 1112636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0 2003u Accession No. 1112636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경제지식은 직접적으로 부자가 되는 돈버는 요령보다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능력이나 돈, 시간 등의 개인자원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가르쳐주는 역할을 한다. 즉 경제지식을 습득함으로서 경제적인 사고방식을 갖게 되고 살아가면서 부딪치는 다양한 경제적인 사건에서 합리적인 선택과 기회활용으로 이어지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은 누구나 쉽게 읽는 경제 입문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맹정섭(지은이)

1959년에 태어났으며,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전 한반도지식인포럼 대표, 전 희망의한국리더십네트워크 대표, 전 노무현 대통령후보 조직특보를 거쳐, 2003년 현재 역사문화아카데미 부 이사장, 한-우크라이나협회 사무총장, 국각전략포럼 국제외교위원장, 한국통신 명예퇴직자협의회 자문 위원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못난이 일기>, <경제지식이 힘이다>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클릭! 경제속으로
 경제지식이 왜 필요한가? = 16
  경제지식은 합리적인 경제활동을 하게 한다 = 17
  경제지식은 경제를 읽는 눈이다 = 18
 경제의 의미와 경제활동 = 20
  경제행위는 합리적이어야 한다 = 21
  회소성 때문에 경제문제가 발생된다 = 21
 효율적인 경제활동을 위한 3가지 문제 = 23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 24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 24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 = 24
 경제활동의 주인공인 가계, 기업, 정부, 해외 = 26
  가계 = 27
  기업 = 28
  정부 = 28
  해외 = 28
 경제행위의 대상인 재화와 용역 = 29
  재화 = 29
  용역 = 30
 경제원칙에 충실하자 = 31
  최소 비용의 원칙 = 32
  최대 효과의 원칙 = 32
  최대 잉여의 원칙 = 33
 경제를 보는 두 가지의 눈 = 34
  경제를 개별적·부분적으로 보는 미시적 분석 = 35
  경제활동 전체를 하나로 해 총계적으로 보는 거시적 분석 = 36
 경제활동은 생산, 분배, 소비의 과정 = 38
 수요자와 공급자의 만남, 시장 = 40
  시장의 종류 = 41
  시장의 메커니즘 = 41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시소게임 = 44
  가격은 소비와 생산의 교통신호기 = 44
  수요 = 45
  공급 = 46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GNP와 GDP = 48
 실질 GDP와 명목 GDP = 51
 실질 GNI와 명목 GNI = 53
제2부 경기를 바로 읽자
 사장님, 경기가 좋은가요? = 58
 경기는 호황, 불황으로 돌고 돈다 = 60
 경기의 순환과정을 읽자 = 62
 경기는 순환주기가 있다 = 65
  장기파동 = 66
  중기파동 = 66
  단기파동 = 67
 경기순환의 국면 = 69
 경기의 움직임을 읽는 법 = 72
  경기순환을 예측하는 방법 = 72
   경제지표로 예측하는 방법 = 73
   설문조사로 예측하는 방법 = 73
   경제모형으로 예측하는 방법 = 74
  경기순환의 파악 = 74
   경기전환점인 기준순환일 = 75
   경기순환과 경기지표의 변동요인 = 76
   순환변동치와 증감률 = 76
 경기변동을 미리 보는 눈, 경기지표 = 78
  개별경제지표를 통해 파악한다 = 79
  종합경기지표를 통해 파악한다 = 80
   경기선행지표 = 80
   경기확산지수 = 81
   기업경기실사지수 = 82
   경기종합지수 = 84
 경기의 바로미터, 경기종합지수 = 86
  선행종합지수 = 86
  동행종합지수 = 89
  후행종합지수 = 91
 경기종합지수는 경기국면 및 전환점의 판단과 예측 = 94
 경기종합지수 구성지표의 내용 = 96
  선행지수의 구성지표 = 96
  동행지수의 구성지표 = 97
  후행지수의 구성지표 = 97
 소비자를 통해 바라보는 경기예측 = 98
  소비자동향지수 = 99
  소비자기대지수 = 101
  소비자평가지수 = 103
 경기침체, 불황의 늪 = 105
제3부 금융지식이 돈이다
 지금 금리는 어떻습니까? = 108
 금리도 이익을 쫓는다 = 110
 금리는 어떤 것이 있나 = 112
  확정금리와 실적금리,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 112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 113
  가산금리와 우대금리 = 114
  표면금리 = 115
  단기금리와 장기금리 = 116
  실효금리 = 116
  공정할인율 = 117
 금리를 조절하는 방법 = 118
 금리는 저축과 투자활동에 영향을 준다 = 122
 경기에 따라 금리가 오르내린다 = 125
 금리를 낮추면 경기가 살아난다? = 127
 돈이 거래되는 시장, 금융시장 = 131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 = 131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 = 132
  국내금융시장과 국제금융시장 = 133
 금융시장과 금리 = 134
  채권시장 = 134
  주식시장 = 135
  환율 = 135
 자금부족으로 인한 도산과 파산 = 136
 신용을 바탕으로한 어음 = 139
  지급시기를 연기시키기 위한 어음 = 139
  어음은 이렇게 구분된다 = 140
   상업어음 = 140
   융통어음 = 140
 양자간의 지급약속인 약속어음 = 141
  약속어음이란? = 141
  현금의 대용으로서의 약속어음 = 142
  약속어음은 자금의 활용에 용이하다 = 142
  약속어음은 권리이전에 편리하다 = 142
  약속어음은 담보수단으로 이용된다 = 143
  약속어음의 교환은 이렇게 한다 = 144
 삼자간의 지급의뢰, 환어음 = 146
  환어음이란? = 146
  환어음은 어떻게 사용되나 = 147
   환어음을 이용한 지급거래와 신용거래 = 148
   환어음은 주로 송금거래에 이용된다 = 148
 디지털시대, 전자어음과 전자결제 = 150
  기업구매자금대출 = 152
  기업구매전용카드 = 152
  전자외상매출채권 = 152
 지급을 위탁하는 수표 = 154
  수표란? = 154
  수표의 발행 및 사용 = 155
   수표발행은 먼저 당좌예금계좌를 개설한다 = 155
   수표발행의 기입사항 = 155
   수표의 사용 = 156
 수표 3인방, 당좌·가계·자기앞수표 = 157
  당좌계약에 의한 당좌수표 = 157
  개인이 발행하는 가계수표 = 157
  수표의 기본, 자기앞수표 = 158
제4부 증권과 외환지식
 주식이 무엇? = 162
  주식이란? = 163
  주식의 분류 = 163
   주주의 권리형태에 따라 보통주와 우선주 = 163
   액면기재 여부에 따라 액면주와 무액면주 = 164
   주권표면에 소유자의 성명 기재여부에 따라 기명주와 무기명주 = 164
   시간상의 차이에 따른 신주와 구주 = 164
   특별한 성질의 주식인 상환주식과 전환주식 = 165
 주주는 어떤 권리와 책임이 있나 = 166
  주주가 되면 다양한 권리를 지닌다 = 166
   경영참가권 = 166
   이익분배권 = 167
   잔여재산 분배청구권 = 167
  주주는 일정한 책임을 진다 = 167
  소수주주도 권리가 있다 = 168
  집중투표제 = 168
  실질주주와 실질주주제도 = 168
   실질주주 = 169
   실질주주제도 = 169
 자금조달을 위한 증자 = 170
  증자란? = 170
  증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다 = 171
   유상증자 = 171
   무상증자 = 172
  증자는 이렇게 한다 = 172
   증자의 공시 = 172
   실권주 = 173
 감자는 주주나 채권자에게 불이익을 준다 = 175
  자본이 감소하는 감자 = 175
  감자의 방법과 절차 = 176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누는 배당 = 177
  배당이란 = 177
  배당을 하려면 배당가능이익이 있어야 한다 = 177
  주식배당과 현금배당 = 178
  배당투자도 필요하다 = 178
   배당성향 = 179
   배당수익률 = 179
   배당락 = 180
 주가 몸무게를 줄이는 주식분할 = 181
  주식분할이란? = 181
  주식분할 방법 = 183
 자금조달을 위한 기업공개 = 184
  기업공개란? = 184
  기업공개를 하는 이유 = 185
 투자정보의 기본은 기업공시 = 187
  기업공시란? = 187
  기업공시에 따라 주가가 변한다 = 188
  기업공시의 분류 = 188
  공시 체크포인트 = 189
  전자공시제도 = 190
 주식의 공개매수 = 192
 주식시장은 경제의 거울 = 194
 주가는 경기흐름보다 앞선다 = 195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변수들 = 197
  여러 경제지표들과 주가와의 관계는? = 197
  경기와 주가는 어떤 관계가 있나? = 198
  물가와 주가는 어떤 관계가 있나? = 198
  주가와 경제정책 = 199
 주식시장 동향을 읽는 주가지표 = 200
  주가수준을 보기 위한 지표 = 200
   단순주가평균 = 200
   가중주가평균 = 201
  주가변동을 보기 위한 지표 = 202
   주가평균식 주가지수 = 202
   시가총액식 주가지수 = 203
 주식투자의 판단지표 = 204
  배당수익률 = 204
  주가수익비율 = 205
  주가순자산비율 = 206
 미래를 사고 파는 선물거래 = 207
 선택적 거래인 옵션거래 209
  선물옵션 = 210
  주식옵션 = 210
  주가지수옵션 = 211
  통화옵션 = 211
  금리옵션 = 212
 채권과 채권시장 = 213
  채권이란? = 213
  채권의 특징 = 214
   수익성 = 214
   안정성 = 214
   유동성 = 215
  채권의 종류 = 215
   발행주체에 의한 분류 = 215
   이자지급에 의한 분류 = 216
  채권 발행시장 및 유통시장 = 217
  채권은 어떻게 발행되나 = 217
 채권수익률은 어떻게 결정되나 = 219
  채권수익률의 결정요인 = 219
  채권수익률의 종류 = 220
   만기수익률 = 221
   연평균수익률 = 221
   실효수익률 = 221
   인수수익률 = 222
   발행수익률 = 222
   세전수익률과 세후수익률 = 222
 나라간 돈을 교환하는 비율인 환율 = 223
  환율? USD 1 : KRW 1,170 = 223
  환율의 표시방법 = 224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 = 225
   고정환율제도 = 225
   변동환율제도 = 226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28
 원고가 되면 불황이 된다? = 230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홍제환 (2023)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거시경제분석과 (2023)
홍기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