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1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873619 | |
005 | 20100806061354 | |
007 | ta | |
008 | 031208s2003 ulk 001a kor | |
020 | ▼a 8932905290 ▼g 03100 : ▼c \15000 | |
035 | ▼a KRIC09040017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 |
049 | 1 | ▼l 111279917 ▼l 111279918 |
082 | 0 4 | ▼a 801 ▼2 21 |
090 | ▼a 801 ▼b 2003h | |
100 | 1 | ▼a 박상진 ▼g 朴商辰 , ▼d 1964-. ▼0 AUTH(211009)67485 |
245 | 1 0 | ▼a 에코 기호학 비판 : ▼b 열림의 이론을 향하여 / ▼d 박상진 지음. |
260 | ▼a 서울 : ▼b 열린책들 , ▼c 2003. | |
300 | ▼a 266 p.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253-263, 색인수록 | |
600 | 1 0 | ▼a Eco, Umberto, ▼d 1932-.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3h | 등록번호 1112799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3h | 등록번호 1112799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3h | 등록번호 5110611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소설가로도 잘 알려진 움베르토 에코의 이론 체계에 대한 국내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서. 에코의 저술들은 그간 국내에서 면밀하게 검토되기 보단 찬탄의 대상만 되어 온 감이 있는데, 지은이는 에코의 방대한 이론적 저술들을 검토하며 그의 기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지은이는 에코의 이론적 저작을 기호학 수용 이전과 이후로 나누는 관점이 이전 시기와의 단절이 아니라 연속이며 확대 발전으로 보는 것을 비판하며, 이러한 관점이 기호학 수용 이전과 이후 사이의 '단절'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에코가 자신의 주요한 이론적 기여로 꼽은 '열림'의 개념은 과연 유용하게 기능하였을까?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은이는 제1부에서 <열린 작품 Opera aperta>을 중심으로 '열림'의 개념을 짚어 본다. 2부에서는 기호학 수용 이후 '열림'이 체계화되는 방향을 검토한다. 3부에서는 기호학이 '열림'에 기여한 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4부에서는 에코 자신이 기호학의 제약 때문에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한 '열림'의 개념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상진(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이탈리아 문학을 공부하고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문학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2000). 미국 하버드대학교(2006~2008)와 펜실베이니아대학교(2012~2013),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2019~2020)에서 방문 교수로 단테와 비교문학을 연구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이탈리아 문학과 세계문학, 동서 문명 비교, 르네상스, 예술사 등을 가르쳤다. 현재 작가, 번역가, 인문학 연구자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인문학과 비교문학의 기반 위에서 단테를 연구하고 단테에 관한 글을 썼으며, 2020년에 단테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이탈리아에서 제47회 플라이아노 Flaiano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탈리아 문학사》, 《에코 기호학 비판: 열림의 이론을 향하여》, 《열림의 이론과 실제: 해석의 윤리와 실천의 지평》, 《지중해학: 세계화 시대의 지중해 문명》, 《비동일화의 지평: 문학의 보편성과 한국문학》, 《단테 신곡 연구: 고전의 보편성과 타자의 감수성》, 《사랑의 지성: 단테의 세계, 언어, 얼굴》,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Literature: Literary Migration》, 《단테가 읽어주는 ‘신곡’》, 《단테: 내세에서 현세로, 궁극의 구원을 향한 여행》 등을 썼고, 《신곡》( 3권)과 《데카메론》( 3권)을 비롯하여 《보이지 않는 도시들》, 《아방가르드 예술론》, 《근대성의 종말》, 《대중문학론》, 《수평선 자락》, 《꿈의 꿈》, 《레퀴엠》, 《인도 야상곡》, 《귀스타브 도레가 그린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 등을 옮겼으며, 《지중해, 문명의 바다를 가다》를 엮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7 서론 = 17 제1부 열림의 시학 1.1. 『열린 작품』과〈기호학이전〉의 자리 = 41 1.2. 열림의 형성 = 55 1.3. 열림의 속성 = 65 1.3.1. 모호성 = 65 1.3.2. 인식론적 은유 = 73 1.4. 열림의 조건 = 81 1.4.1.형식 부여 혹은 형성성 = 81 1.4.2. 구조의 구조 = 88 1.4.3. 형식과 열림의 변증법 = 92 1.5. 열림의 이념 = 98 1.5.1. 상황 = 98 1.5.2. 주체 = 110 1.5.3. 에코의 아방가르드 경험과『열린 작품』 = 114 1.6. 열림의 정의 = 121 제2부 열림의 기호학 2.1. 열림의 기호학적 체계화 = 127 2.2. 기호학적 체계화의 양상들 = 133 2.2.1. 기호 과정 = 133 2.2.2. 백과사전 = 141 2.2.3. 기호와 추론 = 147 2.2.4. 미적 텍스트와 미적 개인어 = 149 2.2.5. 기호학에서 다루는 주체와 이념 = 156 2.3. 기호학 이론의 텍스트적 한계 = 164 2.3.1. 독자의 역할 = 164 2.3.2. 작가의 죽음 = 170 2.3.3. 가능 세계와 텍스트 전략 = 175 2.4. 텍스트의 내적 정합성과 공통 기반의 문제 = 181 제3부 열림의 재평가 3.1. 열린 텍스트와 닫힌 텍스트 = 189 3.2. 텍스트의 해석과 사용 = 208 3.3. 상황, 주체, 실천 = 214 3.4. 발전이냐 배반이냐 = 223 제4부 기호학 이전 혹은 이후 4.1. 에코의 열림과 닫힘 = 235 4.2. 컨텍스트로의 열림 = 242 약어 = 251 참고 문헌 = 253 찾아보기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