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73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872835 | |
005 | 20100806055728 | |
007 | ta | |
008 | 040226s2004 ulk 001a kor | |
020 | ▼a 8957070761 ▼g 03600 : ▼c \47000 | |
035 | ▼a KRIC09135951 | |
040 | ▼a 211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49 | 1 | ▼l 111278448 ▼l 111278449 |
082 | 0 4 | ▼a 781.65 ▼2 21 |
090 | ▼a 781.65 ▼b 2004 | |
100 | 1 | ▼a Berendt, Joachim Ernst |
245 | 1 0 | ▼a 재즈북 : ▼b 래그타임부터 퓨전 이후까지 / ▼d 요아힘 E. 베렌트 지음 ; ▼e 한종현 옮김. |
246 | 1 | ▼i 번역표제: ▼a (The)jazz book : from New Orleans to rock and free jazz |
246 | 1 9 | ▼a (Das)Jazzbuch |
260 | ▼a 서울 : ▼b 이룸 , ▼c 2004. | |
300 | ▼a 760 p. ; ▼c 26 cm. | |
504 | ▼a 색인수록 | |
700 | 1 | ▼a 한종현, ▼e 역 ▼0 AUTH(211009)62885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5 2004 | Accession No. 1112784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5 2004 | Accession No. 1112784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781.65 2004 | Accession No. 1310180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5 2004 | Accession No. 1112784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65 2004 | Accession No. 1112784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781.65 2004 | Accession No. 1310180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천 명 이상의 재즈 뮤지션들과 다양한 스타일 등 재즈 100년사를 한 권에 담았다. 요아힘 에른스트 베렌트는 독일 태생으로 재즈 비평의 세계 최고 권위자이다. 재즈 관련 저서 23권과 재즈 기획 음반을 출판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세계 재즈 애호가들은 이 책을 재즈의 모든 것을 담은 바이블로 인정하는 것에 주저하지 않는다. 이 책은 1953년 초판 발행 이후, 3세대에 걸쳐 재즈 뮤지션 및 팬들과 함께 해왔고, 독일에서만 6판, 북미에서 4판, 일본에서 3판이 나왔다.
한국어판은 <재즈북>의 1989년 개정 6판으로 재즈의 스타일, 재즈의 대표적인 뮤지션들, 재즈의 구성요소, 재즈 악기, 재즈 보컬리스트, 재즈 빅 밴드, 재즈 캄보 등 모든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래그타임과 뉴올리언스부터 현재까지 재즈 역사 전체를 볼 수 있다.
책 만듦새를 보면, 총 760페이지의 A4보다 가로, 세로가 4~5Cm 작은 사이즈로 양장 제본되었다. 소장 가치가 있어서 재즈를 이제 막 듣기 시작한 사람부터 오래된 팬까지 두루 읽을 수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각자 읽고 싶은 순서를 정해 그 페이지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요아힘 E. 베렌트(지은이)
국제적인 명성의 재즈 권위자. 스물세 권의 재즈 관련 저서를 펴냈고, 베를린 '재즈 데이스 Jazz Days(Jazztage)'를 기획했다. 음반 시리즈 '재즈와 세계의 만남 Jazz Meets the World'을 제작하기도 했다. 1945년에는 '남서 독일 라디오' 방송국을 공동으로 설립, 1987년까지 재즈 부서를 담당했다. 연방영화상, 독일 텔레비전 비평가상, 폴란드 문화상을 비롯한 수많은 수상경력을 가지고 있다.
귄터 훼스만(지은이)
독일 라디오 방송국 'Su''dwestfunk'와 'Westdeutscher Rundfunk'에서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음악학자로서, <New Grove Dictionary of Jazz>의 기고가이기도 하다.
팀 네빌(지은이)
25년 이상 번역저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요아힘 베렌트의 <The Third Ear: On Listening to the World>를 번역했고, 작곡가 칼하인츠 슈톡하우젠Karlheinz Stockhausen의 <Towards a Cosmic Music>을 편집, 번역하기도 했다.
케빈 화이트헤드(지은이)
<다운비트(Down Beat)>지, <코다(Coda)>지, <케이던스(Cadence)>지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는 재즈 비평가로서, 'National Public Radio'의 'Fresh Air'라는 프로그램에서 재즈 비평을 담당하고 있다.
한종현(옮긴이)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서울 대학가에서 음반점과 음악 카페를 운영했다. 현재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재즈북 - 래그타임부터 퓨전 이후까지』, 『빌리 홀리데이』, 『레드 제플린』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제1장 재즈의 스타일 1. 1890년경 : 래그타임 = 22 2. 세기의 전환기 : 뉴올리언스 = 26 3. 1910년대 : 딕실랜드 = 30 4. 1920년대 : 시카고 = 32 5. 1930년대 : 스윙 = 35 6. 1940년대 : 비밥 = 37 7. 1950년대 : 쿨, 하드 밥 = 41 8. 1960년대 : 프리 재즈 = 46 9. 1970년대 = 61 10.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 76 제2장 재즈의 대표적인 뮤지션들 1. 루이 암스트롱 = 98 2. 베시 스미스 = 109 3. 빅스 바이더벡 = 114 4. 듀크 엘링턴 = 119 5. 콜맨 호킨스와 레스터 영 = 127 6. 찰리 파커와 디지 길레스피 = 136 7. 마일스 데이비스 = 149 8. 존 콜트레인과 오넷 콜맨 = 169 9. 존 맥러플린 = 191 10. 데이비드 머레이와 윈튼 마살리스 = 203 제3장 재즈의 구성 요소 1. 사운드와 프레이징 = 219 2. 임프로비제이션 = 223 3. 편곡 = 230 4. 블루스 = 237 5. 영가와 가스펠 송 = 252 6. 화성 = 258 7. 멜로디 = 265 8. 리듬, 스윙 = 273 제4장 재즈 악기 1. 트럼펫 = 287 2. 트롬본 = 304 3. 클라리넷 = 315 4. 색소폰 = 328 a. 소프라노 색소폰 = 329 b. 알토 색소폰 = 337 c. 테너 색소폰 = 347 d. 바리톤 색소폰 = 369 e. 색소폰 그룹 = 373 5. 플루트 = 377 6. 비브라폰 = 384 7. 피아노 = 388 8. 오르간·키보드·신시사이저 = 418 9. 기타 = 432 10. 베이스 = 454 11. 드럼 = 472 12. 타악기류(쿠바, 살사, 브라질, 아프리카, 인도, 발리의 타악기) = 497 13. 바이올린 = 511 14. 비주류 악기 = 520 제5장 재즈 보컬리스트 = 531 1. 남성 보컬리스트 = 531 2. 여성 보컬리스트 = 543 제6장 재즈 빅 밴드 1. 플레처 헨더슨과 빅 밴드의 시작 = 564 2. 베니 굿맨 시대 = 566 3. 스윙의 검은 황제들 = 569 4. 우디 허먼과 스탄 켄턴 = 573 5. 비밥 빅 밴드 = 577 6. 카운트 베이시 전통을 근간으로 한 빅 밴드들 = 579 7. 길 에번스와 조지 러셀 = 582 8. 프리 재즈 빅 밴드 = 583 9. 록 빅 밴드 = 589 10. 빅 밴드의 건재 : 70년대와 80년대 = 591 제7장 재즈 캄보 1. 스윙 캄보 = 605 2. 밥과 쿨 = 607 3. 완성도 갖춘 캄보의 첫 전성기 = 610 4. 하드 밥에서 프리 재즈로 = 613 5. 오넷 콜맨 이후 = 616 6. 1970년대 = 618 a. 네오밥 = 619 b. AACM = 620 c. 재즈 록과 퓨전 = 622 7. 1980년대 = 627 a. 고전주의 = 628 b. 신고전주의 = 631 c. 월드 뮤직 = 632 d. 프리 펑크 = 635 제8장 재즈를 정의하자면 = 637 제9장 디스코그래피 = 649 옮긴이의 말 = 716 찾아보기 =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