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 3
머리말 = 5
제1장 미생물학 = 25
1. 미생물학 서론 = 25
1) 생물학 = 25
2) 미생물이란? = 25
3) 미생물학 = 26
4) 병원미생물의 목적 = 27
5) 진단미생물학 = 28
6) 세균학적 검사 = 28
2. 미생물의 역사 = 28
1) 전염설 = 29
2) 자연발생설과 그 부정 = 29
3) 미생물의 발달 = 29
4) 현미경의 발견 = 33
5) 현미경 = 33
3. 미생물 분류 = 38
1) 관련학자 = 39
2) 종의 개념 = 39
3) 병원미생물의 분류방법 = 39
4) 세균의 이명법 = 42
제2장 세균의 형태와 구조 = 43
1. 세포의 발견 = 43
2. 세균의 일반적인 성질 = 44
3. 세균의 형태와 기능 = 45
1) 세균의 형태 = 45
2) 세균의 구조와 기능 = 53
제3장 세균의 염색법 = 69
1. 세균염색법과 색소 = 69
1) 고정의 유무 = 69
2) 발색단의 하전상태에 의한 분류 = 70
3) 염색법 = 71
4) 염색에서 세균의 형태 = 72
2. 그람염색 = 73
1) 시약 = 73
2) 염색방법 = 74
3) 주의사항 = 77
4) 결과 = 77
5) Gram stain에서 위음성을 나타내는 요인 = 77
6) Gram stain염색의 실수하기 쉬운 조작 = 78
3. 항산성균 염색 = 78
1) Ziehl-Neelsen법 = 79
2) 형광염색법 = 81
4. 음화염색 = 83
5. 특수염색 = 85
1) 이염소체 염색 = 85
2) Spore 염색법 = 86
3) 협막 염색법 = 87
4) 편모 염색 = 88
5) 묵즙검경 = 88
6) 아크리딘 오렌지 염색 = 89
7) 면역형광항체 염색법 = 90
8) 무염색에 의한 검사 = 90
9) Rickettsia, Chlamydia, Virus stain = 90
10) 기타 = 91
제4장 세균의 유전과 변이 = 93
1. 세균의 염색체 = 93
1) 염색체 = 93
2) 플라스미드 = 100
2. 돌연변이 = 102
1) 분자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 102
2) Ames test = 108
3. 재조합 = 108
1) 형질전환 = 109
2) 접합 = 112
3) 형질도입 = 112
4. 유전공학 = 116
1) 숙주와 벡터 = 117
2) 유전자 클로닝 및 발현 = 117
3) 응용 = 118
제5장 세균의 영양과 대사 = 121
1. 세균의 영양 = 121
1) 세균의 영양소 = 121
2) 환경인자 = 122
2. 세균의 대사 = 125
1) 호흡과 발효 = 125
2) 질소화합물의 분해 = 126
3) 동화작용 = 126
4) 이화작용 = 126
3. 세균의 분열과 증식 = 126
1) 세균의 분열 = 126
2) 세균의 증식곡선 = 128
4. 세균수 측정법 = 129
1) 전균수 측정법 = 129
2) 생균수 측정법 = 130
제6장 미생물배지와 배양 = 133
1. 배지 = 133
1) 배지의 성분 = 133
2) 배지의 종류 = 136
3) 배지의 제조 = 143
4) 주요배지의 주요 용도별 분류 = 145
2. 세균 배양법 = 150
1) 배양 = 150
2) 배양환경 = 152
3) 분리배양 = 156
4) 순수 배양법 = 162
5) 배양 집락의 관찰 = 162
6) 배지접종방법 = 165
7) 동정 = 166
제7장 미생물배양에 사용하는 주요 배지의 특성 = 167
1. Alkaline peptone water = 167
2. Amie's transport medium = 168
3. Bile esculin agar = 168
4. Blood agar = 169
5. Bordet-Gengou medium = 171
6. Brain heart infusion broth = 172
7. Brucella selective medium = 172
8. BS agar = 173
9. Carry-Blair의 배지 = 174
10. Campylobacter selective medium = 174
11. Chocolate agar medium = 175
12. CIN agar = 176
13. Cooked meat medium = 177
14. Corn meal agar = 177
15. Cycloserine cefoxitin fructose agar = 178
16. Cystine tellurite blood agar = 178
17. Cystine trypticase agar = 178
18. Czapek-Dox agar = 179
19. DC agar = 179
20. Desoxycholate agar = 180
21. DNase medium = 180
22. Egg yolk agar = 181
23. Endo agar = 181
24. Eosin methylene blue agar = 182
25. GAM 배지 = 183
26. Gelatin agar = 184
27. GN broth = 184
28. HE agar = 185
29. KCN 배지 = 187
30. Lowenstein jensen 배지 = 187
31. LIA = 188
32. MacConkey agar medium = 188
33. Malonate medium = 190
34. Mannitol salt agar = 190
35. MR-VP medium = 191
36. Middlebrook 7H 11 agar = 191
37. MIO medium 및 indole시험 = 192
38. Mueller Hintoni agar = 193
39. Nutrient broth = 194
40. O-F basal medium = 194
41. Ogawa 배지 = 195
42. Potassium tellurite agar = 195
43. Sabouraud broth agar = 195
44. Selenite broth = 196
45. Simmon's citrate medium = 198
46. SS agar = 199
47. Souton 배지 = 199
48. SS agar = 199
49. Staphylococcus medium 110 배지 = 200
50. Stuart 배지 = 200
51. TCBS agar = 200
52. Tellurite glycine agar = 201
53. Tetrathionate broth = 201
54. Thayer-Martin agar = 202
55. Transport medium = 202
56. Tryticase soy broth 및 agar medium = 204
57. TSI 배지 = 204
58. Thioglycollate medium = 207
59. Urea agar = 208
60. XDL agar = 209
제8장 임상검체 검사법 및 배양 = 215
1. 검체 채취, 보존, 검사법 = 215
1) 검체 채취시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 216
2) 검체 채취, 수송, 보존에 대한 주의점 = 217
3) 환자검체로부터 병원미생물의 검사법 = 220
4) 검체 절차 = 220
5) 도말표본 = 221
6) 배양검사 = 221
7) 약제감수성 검사 = 223
8) 검사 결과 보고까지의 소요 시간 = 223
2. 배양 = 224
1) 혈액배양 = 224
2) 뇌척수액의 미생물 검사 = 231
3) 인두점액 검체 배양 = 239
4) 객담배양 = 244
5) 대변검사 = 248
6) 요의 검사 = 254
7) 생식기 검체의 미생물검사 = 256
8) 창상 및 피부감염 등의 미생물 검사 = 260
제9장 소독과 멸균 = 261
1. 소독 = 261
1) 소독제 = 262
2) 정미생과 선택적 정미생 = 262
3) 소독제의 작용기전 = 262
4) 소독제의 조건 = 263
5) 소독효과의 평가 = 263
6) 소독제의 종류와 특징 = 264
2. 멸균 = 269
1) 건열 = 270
2) 습열 = 271
3) 여과멸균 = 272
4) 방사선 멸균 = 273
5) 가스에 의한 멸균 = 274
제10장 화학요법 = 277
1. 화학요법제의 작용기전 = 278
1) 세포벽 합성 저해제 = 279
2) 세포막 기능저해 = 283
3) 단백질 합성 억제작용 = 283
4) 핵산 합성억제 = 285
5) 경쟁적 대사 길항제 = 285
2. 약제내성 = 288
1) 원인 = 288
2) 약물내성의 기전 = 288
3) 교차내성 = 289
4) 항생물질의 유해작용 = 289
3. 항생제 감수성 검사 = 290
1) 항생제 감수성 검사의 목적 = 290
2) 항생제 감수성 검사법의 종류 = 290
제11장 인체상재 세균군과 감염증론 = 305
1. 상재균총(정상세균총) = 305
1) 피부 = 305
2) 호흡기 = 306
3) 구강 = 306
4) 소화기 = 306
5) 비뇨생식기 = 307
6) 체액과 조직 = 308
7) 결막 = 308
2. 감염증의 일반적 경과 = 308
3. 감염증의 경과 = 310
1) 1, 2차 감염과 혼합감염 및 균교대증 = 310
2) 기회감염과 병원내 감염 = 310
3) 국소감염과 전신감염 및 병소감염 = 311
4) 수입감염증과 여행자 설사증 = 311
5) 인수공통감염증 = 313
6) 성감염증 = 313
7) 감염질환의 극복 = 313
4.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 313
1) 미생물측의 병원성 인자 = 314
2) 숙주측의 감염방어인자 = 318
제12장 미생물검사 동정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성상검사 = 325
1. 집락의 독특한 특징으로부터 추정 가능한 균종 = 326
2. 탄수화물 분해시험 = 328
1) 당분해 시험 = 328
2) ONPG 시험 = 334
3) Methyl Red 반응 = 335
4) Voges-Proskauer 반응 = 337
3. 아미노산 분해시험 = 339
1) Indole 반응 = 339
2) PPA 반응 = 343
3) IPA 반응 = 343
4) PAD 시험 = 343
5) 아미노산 탈탄산 효소 시험 = 345
6) 황화수소 생성시험 = 347
7) 요소분해시험 = 349
4. 호흡효소에 관한 시험 = 350
1) Oxidase 시험 = 350
2) Catalase 시험 = 353
3) Potassium cyanide 시험 = 354
5. 균체외 효소의 생성시험 = 356
1) Gelatin 액화시험 = 356
2) DNase 시험 = 358
3) Lecithovitellin 시험 = 360
4) 용혈성 검사 = 361
5) Kanagawa phenomenon = 361
6) CAMP 시험 = 362
7) Coagulase 시험 = 363
8) Phosphatase 시험 = 365
6. 유기산염 이용시험 = 367
1) Citrate 이용능 시험 = 367
2) Malonate 이용능 시험 = 368
7. 균체외 시험 = 369
1) 담즙용해 시험 = 369
2) 운동성 검사 = 371
3) 열저항성 시험 = 375
8. 기타 생화학적 성상시험 = 376
1) 질산염 환원시험 = 376
2) Optochin susceptibility 시험 = 378
3) 마뇨산 가수분해 시험 = 380
9. 미생물 자동화 기기 및 각종 동정 KIT = 382
1) 전자동 혈액배양장치 = 382
2) 항산성균 자동화 배양기 = 384
3) 미생물 자동화 검사장치 = 385
4) 동정 kit의 사용법과 선택기준 = 387
제13장 유전자를 이용하는 검사법 = 395
1. 유전자검사의 목적 = 395
1) 유전자검사의 응용범위 = 396
2) 진단미생물 분야에서 유전자검사가 담당하는 역할 = 396
2. 유전자검사의 방법 = 397
1) 특이 Probe 방법 = 397
2) 유전자 증폭법 = 397
3) Hybridization법 = 398
4) 증폭산물의 검출법 = 398
5) 다형성에 따른 해석과 형별법 = 400
3. 유전자 검사에 있어서의 주의점 = 404
1) 오염방지 대책 = 404
2) 방 및 작업공정의 디자인 = 405
3) 기구의 maintenance = 406
4) 정도관리 = 406
4. 중합효소 연쇄반응 = 406
1) PCR법의 원리 = 407
2) PCR법에서 주의할 점 = 410
3) PCR법의 기타 응용 = 411
5.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한 임상검체에서의 항산균 직접 검출법 = 412
1) PCR법에 의한 방법 = 412
2) TMA법에 의한 RNA증폭과 HPA법에 의한 꿈의 검출 = 415
3) 유전자 증폭법에 의한 균의 직접 검출과 배양성적과의 관계 = 415
제14장 그람양성구균 = 417
1. 포도상 구균 = 418
1) 황색포도상구균 = 419
2) S. epidermidis = 439
3)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 441
4) Micrococcus = 442
2. 연쇄구균 = 444
1) 연쇄구균의 분류 = 444
2) 연쇄구균의 분리방법 = 445
3) 연쇄구균의 동정 = 445
4) 폐렴구균 = 445
5) A군 연쇄구균 = 456
6) B군 연쇄구균 = 465
7) 장구균 = 467
8) 녹색 연쇄구균 = 469
3. 혐기성 그람양성구균 = 472
제15장 그람음성구균 = 475
1. 나이제리아과의 일반적인 성질 = 475
2. 수막구균 = 476
3. 임균 = 481
4. N. lactamica = 492
5. M.(B.) catarrhalis = 492
1) 객담의 직접도말 = 493
2) 배지 = 493
3) 배양 = 493
4) 생화학적 시험 = 493
5) 항균제 감수성 시험 = 494
6. 혐기성 그람음성구균 = 495
1) Veillonella 속 = 495
2) Acidaminococcus 속 = 495
제16장 포자형성 그람양성간균 = 497
1. Bacillus 속 = 497
1) 탄저균 = 497
2) Bacillus cereus = 502
3) 고초군 = 504
2. 클로스트리듐속 = 506
1) 혐기성 균의 검사법 = 506
2) 파상풍균 = 507
3) 가스괴저균 = 512
4) 보튤리늄균 = 516
5) 위막성 대장염균 = 519
제17장 무아포 그람양성간균 = 523
1. Corynebacterium 속 = 523
1) C. diphtheriae = 524
2. Actinomyces 속 = 533
3. Nocardia 속 = 535
4. Erysipelothrix 속 = 539
5. Lactobacillus = 541
6. Listeria monocytogenes = 541
제18장 마이코박테리움 = 545
1. 분류 = 545
2. 결핵균 = 547
3. 한센균 = 565
제19장 장내세균과 = 569
1. 대장균 = 576
2. Critobacter 속 = 587
3. Enterobacter 속 = 589
4. Klebsiella 속 = 593
5. Tribe proteeae = 598
1) Proteus 속 = 598
2) Providencia 속 = 601
3) Morganella 속 = 602
6. 살모넬라속 = 604
7. 시겔라속 = 616
8. Serratia 속 = 622
9. Yersinia 균속 = 626
1) 페스트균 = 626
2) Y. pseudotuberculosis = 631
3) Y. enterocolitica = 631
10. Edwardsiella 속 = 632
11. Hafinia = 633
제20장 비브리오과 = 635
1. Vibrio 속 = 637
1) 콜레라균 = 637
2) 장염 비브리오 = 645
3) V. vulnificus = 650
4) Vibrio alginolyticus = 654
2. Aeromonas 속 = 655
3. Plesiomonas 속 = 656
제21장 포도당 비발효 그람음성간균 = 659
1. Pseudomonas 속 = 660
1) 녹농균 = 664
2) Pseudomonas fluorescens = 671
3) P. putida = 671
4) Burkholderia cepacia = 671
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 672
6) 비저균 = 673
7) 유비저균 = 675
8) P. stutzeri = 675
9) Flavobacterium = 675
10) Acinetobacter 속 = 676
11) Alcaligenes 속 = 677
제22장 그 밖의 그람음성간균 = 679
1. Haemophilus 속 = 679
1) Haemophilus influenzae = 681
2) Haemophilus aegyptius = 686
3) Haemophilus parainfluenzae = 686
4) Haemophilus aphrophilus = 686
5) 연성하감균 = 688
2. Bordetella 속 = 688
1) 백일해균 = 688
2) 파라백일해균 = 693
3) 기관지패혈균증 = 693
3. Brucella 속 = 694
4. Pasteurella 속 = 697
1) Pasteurella multocida = 698
5. Francisella 속 = 700
1) 야토병균 = 700
6. Legionella 속 = 702
1) 재향균인회병균 = 703
7. Gardnerella 속 = 709
8. 혐기성 그람음성간균 = 709
1) Bacteroides 속 = 709
2) Fusobacterium = 710
제23장 스피로헤타속 = 711
1. Treponema 속 = 713
1) 매독균 = 713
2. Borrelia 속 = 719
1) 재귀열 = 719
3. 서교증 = 721
4. 렙토스피라증 속 = 722
제24장 Campylobacter와 Helicobacter = 727
1. Campylobacter 속 = 727
2. Helicobacter pylori = 733
제25장 클라미디아 = 745
1. 트라코마 = 747
1) 트라코마 = 747
2) 봉입체성 결막염과 성기감염 = 748
3) 호흡기 감염 = 750
4) 성병 림프육아종 = 751
2. 앵무새병 = 752
3. Chlamydia pneumoniae = 754
제26장 마이코플라스마 = 757
제27장 리케치아 = 763
1. 쯔쯔가무시병 = 765
2. 발진열 = 768
3. 발진티푸스 = 768
4. Brill-Zinsser병 = 769
5. 록키산홍반열 = 769
6. 큐열 = 771
7. Sennetsu 리케치아증 = 772
제28장 진균학 = 773
1. 총론 = 773
1) 진균의 일반적 특성 = 773
2) 감염원으로서의 진균 = 774
3) 진균의 생활과 증식 = 775
4) 진균의 형태와 구조 = 775
5) 포자의 종류 = 778
6) 진균의 분류 = 782
7) 항진균제 = 784
8) 진균의 검사실 진단 = 785
2. 각론 = 790
1) 표재성 진균증 = 790
2) 피부사상균증 = 792
3) 피부사상균증의 임상적 분류 = 792
4) 피부사상균의 종류 = 795
5) 피하감염성 진균증 = 800
6) 심부 감염성 진균증 = 802
7) 효모 = 807
제29장 바이러스 = 811
1. 총론 = 811
1) 바이러스의 특성 = 811
2) 바이러스의 일반구조 = 812
3) 바이러스의 분류 = 817
4) 바이러스의 증식 = 817
5) 바이러스의 배양 = 822
6) 바이러스 감염증 = 825
7)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 = 827
8)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 828
9) 바이러스의 검사실 진단 = 828
10) 세균 파아지 = 832
2. 각론 = 833
1) DNA 바이러스 = 834
2) RNA 바이러스 = 839
찾아보기 = 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