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쉬운 문장 좋은 글 넷째 판

쉬운 문장 좋은 글 넷째 판 (4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성복 李聖福
서명 / 저자사항
쉬운 문장 좋은 글 / 이성복 편저.
판사항
넷째 판
발행사항
서울 :   세창미디어 ,   2003.  
형태사항
xii, 420 p. : 삽도 ; 23 cm.
ISBN
8955860285
일반주기
부록: 잘못 표기한 말.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5-408)과 색인수록
000 00678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867820
005 20100806041117
007 ta
008 031211s2003 ulka 001a kor
020 ▼a 8955860285 ▼g 13710 : ▼c \16000
035 ▼a KRIC08995228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49 1 ▼l 111270012 ▼l 111270013
082 0 4 ▼a 808.066 ▼2 21
090 ▼a 808.066 ▼b 2003e
245 0 0 ▼a 쉬운 문장 좋은 글 / ▼d 이성복 편저.
250 ▼a 넷째 판
260 ▼a 서울 : ▼b 세창미디어 , ▼c 2003.
300 ▼a xii, 420 p. : ▼b 삽도 ; ▼c 23 cm.
500 ▼a 부록: 잘못 표기한 말. 외
504 ▼a 참고문헌(p. 405-408)과 색인수록
700 1 ▼a 이성복 ▼g 李聖福 ▼0 AUTH(211009)49095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112700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112700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511801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511801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112700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112700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511801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808.066 2003e 등록번호 1511801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성복(지은이)

<쉬운문장 좋은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좋은 글
 1. '무엇을, 왜, 누구에게'가 분명한 글 = 2
  1.1. 주제와 벼리가 분명한 글 = 3
  1.2. 누구에게 하는 말인지가 분명한 글 = 5
 2. 창작임을 증명하는 글 = 6
  2.1. 인용 : 창작임을 증명하는 방법 = 7
  2.2. 표절 : 남의 인격과 재산을 훔치는 행위 = 8
   글 도둑(질)의 유형 = 8
   여러 번 우린 글 = 12
 3. 논리적이고 구체적이며 쉬운 글 = 13
  3.1. 논리 정연한 글 = 14
   조리에 닿지 않는 표현 : '상식이 착각을 범하다' = 14
   참-거짓을 가릴 수 없는 말 : '산신령이 이르시기를' = 19
   비논리적인 주장 : '원숭이 똥구멍은 백두산' = 20
   어설픈 전제 : 제 말에 발목 잡힌 글 = 26
   점 같은 예측 : '맞으면 내 능력, 틀리면 네 탓' = 27
   증명 못한 까닭 : '이론에 맞지 않는 현실' = 28
  3.2. 객관적인 글 = 29
   주관으로 판단한 말 : '반병이나'/'반병밖에' = 29
   단정하는 말 : '유사 이래 첫 노벨상' = 31
  3.3. 가식이 없는 글 = 33
   '사상 유례 없는' 미사여구와 지어낸 말 = 33
   만든 말 : '이름에 값하다', '자리매김하다' = 37
  3.4. 치우치지 않은 글 = 42
   재주로 쓴 글 : "어쩔 수 없이 쓴 글" = 42
   흘리는 글 : '이거 가질래, 요거 가질래?' = 44
  3.5. 구체적인 글 = 46
  3.6. 쉬운 글 = 49
   쉬운 글의 세 요소 = 49
   어려운 글 : 손가락만 보이는 글 = 50
 4. 그 밖의 요건 = 55
  4.1. 객관적인 글에 어울리는 문제 = 55
  4.2. 표제어 : 'WAR' 한 단어 = 56
  4.3. 호칭어 : '유관순 누나' = 59
  4.4. 글다듬기 = 61
   퇴고 = 61
   교열 = 62
  4.5. 차례와 찾아보기를 만드는 까닭 = 64
제2장 어려운 문장
 1.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 = 66
  1.1. 어문 규정에 맞지 않는 표기 = 67
   '내 말이 표준어' = 69
   어문 규정에 맞춰 표기해야 하는 까닭 = 71
  1.2. 문장에 어울리지 않는 말 = 81
   잘못 쓴 상용어 : '산 사람의 유골' = 81
   잘못 쓴 전문 용어 : '쌀나무' = 89
  1.3. 각 성분이 짝이 안 맞는 문장 = 98
   주어 따로 서술어 따로 : '도로가 서서한 진행하고' = 98
   각 성분이 따로따로 : '산을 건너다' = 101
  1.4. 필요한 성분이 빠진 문장 : '( ) 안을 채우시오' = 106
  1.5. 산만한 문장 = 110
  1.6. 엉뚱하게 보이는 문장 = 114
   '벼락 맞으십시오' = 114
   '정확하게 틀렸다' = 118
   '증가율이 감소하다' = 121
  1.7. 시제 표현이 바르지 않은 문장 = 123
 2. 치렛말 때문에 늘어진 문장 = 125
  2.1. 겹말 = 126
   두 말의 의미가 대등하게 겹친 말 : '도라무깡통' = 129
   두 체언의 의미가 겹친 말 : '대책 방안' = 131
   관형어와 체언의 의미가 겹친 말 : '다른 차이' = 133
   목적어와 서술어의 의미가 겹친 말 : '물을 양수하다' = 136
   부사(어)와 다른 말의 의미가 겹친 말 : '뒤로 전진하다' = 138
   모호한 겹말 : '다시 재도전' = 141
   '틀', '수'가 겹친 말 : '무리들이' = 141
   그 밖의 겹말 : '과반수 이상' = 142
  2.2. 덧 말 = 143
   꼬리치레 덧말 : '아니라고 아니 할 수 없다' = 144
   외국어 투 덧말 : 대(관-, 위-, 의-, 통-, 향-, …)하여 = 147
   그 밖의 덧말 : '특별한' 상식과 '보편적' 상식 = 149
  2.3. 군말 : 없느니 만 못한 말 = 156
  2.4. 이음말 :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 157
 3.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 문장 = 159
  3.1. 부사(어)가 잘못 끼인 문장 = 160
  3.2. 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가 모호한 문장 = 164
  3.3. 부정문 = 167
  3.4. 말끝을 얼버무린 문장 = 170
  3.5. 둘러말한 문장 = 171
 4. 어려운 문장을 퍼뜨리는 원천 : 일반인의 국어 실력은 30점, 지식인은? = 173
  4.1. 어문 규정집과 「표준국어대사전」 = 174
   「국어 어문 규정집」에서 살펴야 할 사항 = 174
   「표준국어대사전」을 사용해 보니 = 175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토해야 할 전문 용어 = 195
  4.2. 국정 교과서의 어문 규정 준수 정도 = 201
  4.3. 지식인의 어문 규정 준수 정도 = 202
  4.4. '한글 2002'의 맞춤법 검사 기능 = 208
제3장 외국어 투 문장
 1. 외국어 (투) 씻어 내기 = 218
  1.1. 외국어가 우리말에 끼치는 영향 = 219
   외국어이었던 말 : '달구지, 보라매, 썰매, 짐승' = 219
   '에델바이스'는 아는데 '솜다리'는 몰라 = 222
   누구는 우리말로, 누구는 튀기말로 = 225
  1.2. 국어 순화 = 226
   우리말로 적고 써야 = 226
   1950-70년대 우리의 언어생활 : '담 무너진다. 오라이!' = 229
   외국어 교과서와 '원서보다 읽기 어려운 오역서' = 232
   국어를 순화하려면 : '너는 규동, 나는 텐동' = 236
   전문 용어 순화와 표준화 : '사고 다발 지역 ' = 238
 2. 외국어 투 문장 = 242
  2.1. 외국어 투 문장을 닮은 어구 = 243
   외국어 투 어구 : '환영 방문 한국' = 243
   209백만 원 : '하도 많아서 나도 모르겠다' = 245
   '묶은 말'에 맞춘 문장 : '근거 없는 허위 사실' = 246
  2.2. 외국어 투 조사 = 250
   전치사를 조사로 직역하면 :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 250
   '의'를 오용하면 : '왕 중 왕들' = 252
  2.3. '관계 대명사, 동명사, 부정사' 투 문장 = 258
   문패에 적은 '문패' = 258
   '목적은 ~ 목적이다' = 260
   '-L 것'과 '-기'의 쓰임새 = 261
   '것'투성이가 되는 까닭 = 264
   '-에(게) 있어서' = 266
  2.4. '서적이 계산하는' 문장 = 268
  2.5. 외국어 투 '사동 의미 문장' = 271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 '-시키다' = 271
   알쏭달쏭한 '-지우다'/'-짓다' = 274
  2.6. 외국어 투 '피동 의미 문장' = 276
   서양어 투 피동 의미 : '어린이가 양육을 포기당하다' = 276
   피동 의미이면 어색한 말 : '전문가의 질문을 받다' = 282
   겹피동어 : '복잡화되어지다' = 285
   능동/사동 의미이면 어색한 문장 : '바람이 문을 열다' = 288
 3. 일본어 투 문장 = 289
  3.1. 세계와 통상하려면 일어를 = 290
  3.2. 안방 차지 한 일본어 = 294
  3.3. 씻어 내야 할 일본어 (투) = 300
   해방되지 못한 말 : '현해탄', '외상 회담' = 300
   일본어 투 : '머리를 깎아 받다' = 303
 4. 국한문 혼용 투 문장 = 308
  4.1. 한글 표기에 어울리는 문장 = 309
   한자 전용 표기에서 한글 전용 표기로 = 309
   한글 표기에 어울리지 않는 문장 = 311
   한글 표기에 어울리는 문장 = 312
   낱 한자어 : '녹'의 푸르름 = 314
  4.2. 쓸 수밖에 없는 한자어 = 320
   어려워도 배워야 할 한자어 = 320
   한자를 배우는 까닭 = 323
   글꼴 개발에 가로거치는 한자 표기 = 329
  4.3. 한자 바르게 적고 바르게 읽기 = 332
   한자 바르게 적기 = 332
   한자 바르게 원기 = 335
   이음이의동자(異音異義同字) = 338
   이자 동음동의어(異字同音同義語) = 342
   이자 동음이의어(異字同音異義語) = 343
부록 1. 잘못 표기한 말 = 365
부록 2. 국어 순화 용어 = 379
부록 3. 우리네 한자어 = 393
부록 4. 1950-70년대 우리의 언어생활 = 401
참고문헌 = 405
찾아보기 = 409


관련분야 신착자료

井田良 (2022)
디바제시카 (2023)
김성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