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제1부 직업교육의 정책 결정
제1장 발전 정책과 직업교육
1. 발전 행정과 발전 기획 = 27
2. 직업교육정책의 결정 과정 = 38
제2장 직업교육과 경제 발전
1. 발전 교육론과 탈발전 교육론 = 49
2. 발전 교육론과 직업교육정책 = 62
3. 교육계획의 접근 이론 = 70
제3장 직업교육정책 분석
1. 직업교육정책의 분석 개념 = 75
2. 직업교육정책의 분석 체제 = 85
제2부 경제 개발기 이전의 직업교육정책
제4장 대한제국기의 직업교육정책
1. 대한제국 이전의 직업교육정책 = 93
2. 대한제국기 직업교육 현황 = 97
3. 대한제국기 직업교육정책 분석 = 107
제5장 일제 식민지 경제와 직업교육
1. 일제 간섭기의 공업교육 탄압(1906-1910) = 111
2. 일제의 공업교육 억제 정책(1910-1937) = 120
3. 중일전쟁과 공업교육의 확대(1938-1945) = 131
4. 일제 시기 공업교육정책 분석 = 145
제6장 광복 후 산업의 침체와 직업교육
1. 미군정기 산업 및 직업교육의 침체 = 150
2. 1950년대 직업교육정책 = 154
3. 직업교육의 학제에 대한 논쟁 = 163
제3부 경제 개발기 직업교육정책
제7장 경공업 경제와 직업교육정책(1960년대)
1. 경공업화의 특징과 인력 정책 = 167
2. 실업계 고교 확충 현황(1962-1971) = 184
3. 실업 중학교 추진과 학제 논쟁 = 188
제8장 중화학 공업화와 직업교육정책(1970년대)
1. 중화학 공업화와 기능인력수요 = 193
2. 1970년대 직업교육정책의 특징 = 203
3. 공고의 특성화 정책 현황 = 218
4. 특성화 정책의 특징과 한계 = 233
5. 공고 특성화 정책 분석 = 246
제4부 경제 구조 조정기 직업교육정책
제9장 인력 정책의 전환과 직업교육정책(1980년대)
1. 산업 구조 조정과 직업교육간 불균형 = 251
2. 1980년대 직업교육정책 = 258
제10장 제조업 생산직 인력난과 직업교육정책(1990년대-)
1. 확대 정책의 배경과 추진 계획 = 263
2. 공고 확대 및 「2·1 체제」현황 = 281
3. 확대 정책과 「2·1 체제」의 정책적 성격 = 295
4. 1990년대 공고 확대 정책 분석 = 303
제11장 실업교육의 기피 심화와 직업교육정책(1996-)
1. 신직업교육체제의 추진 배경 = 309
2. 실업계 고교와 전문 대학간 연계교육('2+2') = 313
3. 특성화 고등학교 도입 = 330
제5부 1960년대 이후 직업교육정책 논의
제12장 직업교육 관련 제도의 성격
1. 현장 실습 = 338
2. 공업계 고교의 기능 검정 제도 = 353
3. 동일계 특별 전형 = 366
4. 실업계 고교와 전문 대학간 연계교육 = 377
제13장 직업교육 침체의 원인과 성격
1. 공고 기피 현상의 성격 = 397
2. 공고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 = 403
3. 공고 기피 현상에 대한 논의 = 421
제14장 직업교육 기피의 대책과 해결 과제
1. 공고교육의 해결 과제 = 432
2. 공고 기피 현상의 완화 방안 = 438
참고문헌 =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