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행정의 역사와 이론 개정증보판

행정의 역사와 이론 개정증보판 (8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병철
서명 / 저자사항
행정의 역사와 이론 = (The) history &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 이병철 지음.
판사항
개정증보판.
발행사항
부산 :   金井 ,   2003   (2005)  
형태사항
xxviii, 582 p. : 삽도 ; 27 cm.
ISBN
8986305364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000 00694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867638
005 20100806040810
007 ta
008 030924s2003 ulk 000 kor
020 ▼a 8986305364 ▼g 93350: ▼c \23000
035 ▼a KRIC08926990
040 ▼d 248009 ▼d 248009 ▼d 211009 ▼d 244002
049 1 ▼l 111267442 ▼l 111267443
082 0 4 ▼a 351.09 ▼2 21
090 ▼a 351.09 ▼b 2003
100 1 ▼a 이병철 ▼0 AUTH(211009)50944
245 1 0 ▼a 행정의 역사와 이론 = ▼x (The) history &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 ▼d 이병철 지음.
250 ▼a 개정증보판.
260 ▼a 부산 : ▼b 金井 , ▼c 2003 ▼g (2005)
300 ▼a xxviii, 582 p. : ▼b 삽도 ; ▼c 27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112674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112674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512301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512301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112674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112674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512301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51.09 2003 등록번호 1512301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병철(지은이)

<행정법강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제1장 역사를 보는 시각과 행정학에서 행정사의 위치 = 1
 제1절 역사를 보는 시각 = 3
 제2절 역사적 연구의 접근방법 = 8
  1. 연구접근방법의 의미와 분석체계 = 8
  2. 규범적이고 거시적인 접근방법 = 11
  3. 중범위적인 접근방법 = 11
  4. 실증적이고 미시적인 접근방법 = 16
  5. 다양한 접근방법의 적용전략 = 19
 제3절 행정학에서의 행정사의 위치 = 20
제2장 고대 로마행정과 중세 봉건행정 = 25
 제1절 고대문화와 행정 = 25
 제2절 로마시대의 행정 = 29
  1. 로마의 역사적 발전과정 = 29
  2. 로마의 통치이념 = 37
  3. 시저(Gaius Julius Caesar)와 그 이후의 행정구조 = 40
  4. 로마 말기 때의 행정구조 = 42
  5. 로마행정기구에 대한 현대행정적 평가 = 43
  6. 로마제국 쇠망의 원인과 교훈 = 45
 제3절 중세의 봉건행정(8-14세기) = 51
  1. 중세의 역사성과 행정 = 51
  2. 중세의 형성과정과 행정 = 52
제3장 유럽의 행정 : 절대주의시대의 독일과 프랑스 = 63
 제1절 성립조건 및 특징 = 63
 제2절 행정원리 = 64
 제3절 유럽행정이론의 이해 = 65
  1. 독일 관방학성립의 시대적 배경 = 65
  2. 프랑스의 행정 : 나폴레옹(The Napoleonic State)이후 현재까지 = 73
  3. 프랑스의 현재 = 84
제4장 미국행정학의 발달과정의 시대적 분류 :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 89
 제1절 헨리의 미국행정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 = 90
 제2절 세이어를 위시한 여러 학자들의 미국행정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 = 94
  1. 세이어의 미국행정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 = 94
  2. 왈도의 미국행정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 = 95
  3. 골렘비웨스키의 미국행정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 = 95
  4. 헨더슨의 미국행정이론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 = 96
 제3절 1960년대까지의 미국행정이론의 종합 = 96
 제4절 미국행정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종합적 조망 = 98
  1. 미국행정학발전과정의 한국학자들에 의한 이해 = 98
  2. 미국행정학 발전과정의 재 조망 = 101
  3. 시대별에 따른 미국행정학패러다임 전이(轉移)의 규정과 이에 입각한 본 저서의 편찬내용 = 101
제5장 미국행정학의 태동과 윌슨의 행정학 = 107
 제1절 자유주의 및 직능국가(職能國家)의 등장과 미국행정의 탄생 = 107
  1. 자유주의국가의 행정 = 107
  2. 자유주의국가에서 직능국가로의 사회변화 = 109
  3. 직능국가의 등장을 가능케 한 사회가치변화 = 110
 제2절 미국행정의 태동과 성장의 시대적 배경 = 117
  1. 자본주의 성립과정과 행정 = 118
  2. 행정국가화의 과정 = 124
 제3절 행정학이론의 태동기(1787-1887) : 윌슨 이전의 행정학 = 127
  1. 해밀턴의 행정사상 = 133
  2. 제퍼슨의 행정사상 = 135
  3. 매디슨의 행정사상 = 138
  4. 잭슨식 민주주의(Jacksonian Democracy)와 행정개혁 = 145
 제4절 행정학이론의 태동기(1887) : 윌슨의 행정학 = 149
  1. 윌슨의 행정발전의 3단계 = 153
  2. 행정의 대상과 정의 = 154
  3. 윌슨의 행정관 = 162
제6장 정통파 행정학이론의 대두와 이에 대한 도전 = 175
 제1절 행정학의 대두시기(1887-1917) = 175
  1. 행정개혁운동과 행정을 과학적, 능률적 입장에서 보려는 입장의 대두 = 175
  2. 테일러의 과학적관리기법과 같은 기업관리방식의 행정에의 영향 = 178
  3. 테일러의 생애와 그의 과학적 관리철학 = 181
  4.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의 내용과 장점 그리고 단점 = 183
 제2절 행정학의 정통파학설이 대두된 시기(1917-1940) = 185
  1. 행정학의 정통파학설의 대두 = 185
  2. 규릭의 생애와 그의 원리적 접근법 = 193
  3. 화이트의 행정사상과 그와 윌로우비의 생애 = 197
  4. 인간관계론과 메이요의 생애 = 198
  5. 이외의 행정원리들을 담은 행정이론들 = 202
 제3절 정통파행정학이론에 대한 도전·재정비(1940년대 이후) = 204
  1. 사이몬의 생애와 그의 행정사상 및 이론 = 205
  2. 왈도의 생애와 그의 행정사상 및 이론 = 213
  3. 사이몬과 왈도의 고전적 행정이론 체계화와 행정학의 과학화에 공헌 = 217
제7장 행정학의 다원적 분화(1950-60년대)(Ⅰ) : 비교·발전행정이론 = 225
 제1절 비교행정의 개념과 주요 이슈 = 229
 제2절 비교행정의 발전단계의 시기적 특성 = 230
 제3절 비교행정의 의미 = 236
 제4절 비교행정의 발전과정과 그 내용 = 239
 제5절 비교행정연구기관의 활동상 = 242
 제6절 발전행정의 발전과정과 그 내용 = 243
 제7절 발전행정의 모형 : 리그스의 후진국행정이론모형과 헤디의 관료행태의 행정모형 = 248
 제8절 비교·발전행정의 반성과 새로운 전망 = 253
제8장 행정학의 다원적 분화(1960-70년대)(Ⅱ) : 신행정학이론 = 263
 제1절 1960년대와 70년대의 행정학을 둘러싼 환경과 미노우브룩회의의 내용 = 263
  1. 1960년대와 70년대의 행정학을 둘러싼 환경 = 263
  2. 미노우브룩회의(Minnowbrook Conference)의 내용 = 267
 제2절 신행정학의 태동과 제반이론 = 272
  1. 신행정학의 태동 = 272
  2. 신행정학의 이론적 고찰 = 280
 제3절 롤스의 정의관에서 제시하는 사회형편론 = 287
 제4절 롤스의 정의관에서 본 신행정학 = 293
 제5절 신행정학의 행정학적 의미와 함의 = 300
제9장 행정학의 다원적 분화(1970-80년대)(Ⅲ) : 정책과학이론 = 307
 제1절 정책과정의 의미 = 309
 제2절 정책형성의 개념과 이론적 조망 = 310
  1. 정책형성의 개념 = 310
  2. 정책형성에 관한 제 이론적 고찰 = 312
 제3절 정책집행의 개념과 이론적 전망 = 324
  1. 정책집행의 개념 = 324
  2. 정책집행에 관한 제 이론적 고찰 = 327
 제4절 정책평가의 개념과 이론적 전망 = 330
  1. 정책평가의 개념 = 330
  2. 정책평가에 관한 제 이론적 고찰 = 334
 제5절 정책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해 = 340
제10장 인적 자원관리이론의 역사적 발전과정 = 349
 제1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 = 351
 제2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보호시기(the Guardian Period : 1789-1829) = 353
 제3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엽관제 시기(the Spoils Period : 1829-1883) = 354
 제4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개혁시기(the Reform Period : 1883-1906) = 356
  1. 영국의 인사행정의 변천과정과 그 내용 : 정실주의에서 실적주의로 = 356
  2. 개혁시기의 미국의 인사행정의 변천과정과 그 내용 : 엽관주의에서 실적주의로 = 357
 제5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과학적 관리시기(the Scientific Management Period : 1906-1937) = 364
 제6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행정관리 시기(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Period : 1937-1955) = 366
  1. 행정관리시기의 위원회들의 활동과 그 내용 = 366
  2. 고위관리직의 출현과 직업공무원제의 시도 = 367
  3. 공무원의 단체행동권과 정치적 중립 = 369
 제7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전문화시기(the Professional Period : 1955-1970) = 371
 제8절 미국의 인사행정발전과정 : 전문화된 행정시기(the Professional Public Administration Period : 1970년-현재) = 372
  1. 모범적인 공인사행정법의 제정 = 372
  2. 공무원의 정치적 참여에 대한 시각 = 373
  3. 공무원제도개혁법의 제정과 그 내용 = 373
  4. 고용기회평등에 관한 논쟁의 대두 = 377
 제9절 인적 자원관리의 역사적 발전과정의 평가 = 380
제11장 물적 자원관리이론의 역사적 발전과정 = 387
 제1절 예산관련 이론체계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 390
 제2절 미국 예산기구의 설립 및 발전과정 = 395
 제3절 미국 예산제도의 발전과정 = 399
  1. 전통예산 혹은 품목별예산제도(Line - Item Budgeting System : LIBS)의 시기 : 1921년에서 1939년까지 = 400
  2. 성과주의예산제도(Performance Budgeting System : PBS)의 시기 : 1940년에서 1960년까지 = 402
  3. 계획예산제도(Planning-Programming-Budgeting System : PPBS)의 시기 : 1961년에서 1970년까지 = 403
  4. 목표에 의한 관리(Management-by-Objectives : MBO)예산제도의 시기 : 1970년에서 1976년까지 = 406
  5. 영기준예산제도(Zero-Base Budgeting System : ZBB)의 시기 : 1976년에서 1980년까지 = 408
  6. 하향식예산/목표기준예산(Top-Down Budgeting/Target Base Budgeting)제도의 시기 : 1981년에서 1995년까지 = 411
 제4절 미국 물적 자원관리의 발전과정에 대한 평가 = 412
제12장 행정학신이론의 대두(1970, 1980년대-현재까지)(Ⅰ) : 공공선택이론 및 신제도론 = 421
 제1절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 = 421
  1. 공공선택이론의 개념정의 및 정립과정 = 421
  2. 공공선택이론의 학파 및 특성 = 423
  3. 오스트롬(Vincent Ostrom)의 공공선택이론 = 425
 제2절 신제도론(New Institutionalism)적 접근 = 430
  1. 신제도론의 개념정의 = 430
  2. 신제도주의의 역사적 정립과정과 그 내용 = 432
제13장 행정학신이론의 대두(1980년대-현재까지)(Ⅱ) : 거버넌스(Governance), 그리고 총체적 품질관리론(Total Quality Management) = 435
 제1절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물결 속에 지구촌화 되어 가는 새로운 행정환경 = 435
  1. 거스릴 수 없는 세계화의 물결 = 435
  2. 세계화와 더불어 불어닥치는 신자유주의의 열풍 = 437
 제2절 공공선택이론과 신제도론을 뛰어넘는 행정이론의 새로운 지평 = 441
 제3절 거버넌스이론과 신공공관리론 = 445
  1. 거버넌스 이론 = 445
  2. 신공공관리론 = 449
 제4절 총체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이론 = 451
  1. 총체적 품질관리의 탄생배경과 발전과정 = 451
  2. 총체적 품질관리의 개념정의 = 453
  3. 총체적 품질관리의 중요성과 내용 = 454
  4. 총체적 품질관리에 있어 미국과 일본의 비교 = 455
  5. 총체적 품질관리가 가지고 있는 철학 = 456
  6. 총체적 품질관리를 위한 평가 = 459
  7. 총체적 품질관리의 정부부문에의 적용 = 461
제14장 행정학신이론의 대두(1980년대-현재까지)(Ⅲ) : 문학과 예술에 대한 새로운 행정학적 조명 = 467
 제1절 예술과 행정학과의 연구적 연계 = 469
 제2절 행정학과 예술과의 학문적 접목 = 471
  1. 예술이 행정학연구에 기여 할 수 있는 이유 = 471
  2. 행정과 예술을 이어줄 새로운 교량 = 472
 제3절 영화를 통해 새롭게 조명해 보는 행정학 = 475
  1. 관료조직의 부패나 부조리상, 내부고발자 그리고 증인보호 = 477
  2. 관료조직의 음모와 갈등 = 480
  3. 관료조직의 타성적 업무행태나 또는 조직적 편견 = 485
  4.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그릇된 관료조직과 이러한 관료조직을 악용하는 범죄조직의 리바이어던적 역기능 = 486
  5. 대통령직의 유고시나 위기시 상정될 수 있는 관료적 위기관리시스템과 리더십 = 487
  6. 결과 요약 = 489
 제4절 미래의 행정학의 지평을 넓혀줄 예술과 문학 = 491
제15장 행정학신이론의 대두(1980년대-현재까지)(Ⅳ) : 포스트모더니즘이 현대행정학에 주는 함의 = 495
 제1절 포스트모더니즘 탄생의 시대적 배경과 개념적 의미 = 499
  1. 포스트모더니즘 탄생의 시대적 배경 = 499
  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적 의미 = 501
 제2절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을 가지는 과학적 방법론들 = 503
  1. 논리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 503
  2. 후기실증주의(Postpositivism) = 505
  3. 구조주의(Structuralism) = 509
  4. 후기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 511
 제3절 포스트모더니즘의 실체적 의미 = 514
 제4절 현대행정학을 위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이론적 그리고 방법론적인 함의 = 517
제16장 한국행정학의 토착화와 발전과정 그리고 미래전망 = 531
 제1절 토착화과정의 특성과 패러다임 = 532
 제2절 한국행정학 토착화과정의 특성과 패러다임 = 538
  1.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행정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 539
  2. 한국행정학의 토착화과정에 대한 패러다임적 이해 = 545
  3. 한국행정학의 성숙패러다임시기 : 1980년대와 1990년대 = 550
  4. 한국행정학회와 한국행정교육기관들의 역사적 발전과정 = 554
  5. 한국행정학에 있어 미래에 도래하게 될 패러다임 = 56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