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최면 = 13
1. 최면상태란 무엇인가? = 15
2. 일상 생활 속의 최면 = 15
3. 최면으로 유도하여 비밀을 밝혀 낼 수 있는가? = 19
4. 최면에 거부하는 사람을 최면에 유도할 수 있는가? = 20
5. 결론 = 21
제2장 이론적 배경 = 23
제1절 최면의 역사 = 23
1. 역사적 배경 = 23
2. 최면의 역사적 발전 = 24
3. 최면 이론가 = 26
제2절 최면현상 = 37
1. 심리적 현상 = 38
2. 생리적 현상 = 44
제3절 최면이론 = 47
1. 상태 - 비상태 이론 = 49
2. 신해리 이론 = 52
3. 최면과 정신분석의 관계 = 54
4. 최면과 융의 관계(분석심리학에서 본 최면) = 55
제4절 최면에 관한 오해 = 57
1. 최면오해 = 57
2. 최면과 전생 = 60
제3장 최면 감수성 = 65
제1절 최면 감수성 = 66
1. 최면 감수성 정의 = 67
2. 최면 감수성과 인구비 = 69
3. 최면 감수성 척도 = 70
제2절 최면 감수성 식별 = 73
1. 눈동자 보기 = 73
2. 양손 깍지끼기 = 74
3. 직업으로 알아보기 = 75
제3절 성격유형 = 76
1. 아폴로형 = 76
2. 오디세이형 = 77
3. 디오니소스형 = 77
제4절 최면 감수성 척도 표준화 = 78
1. 피험자 분포 및 특성 = 79
2. 표준화 검사도구 = 80
3. 표준화 작업 = 82
4. 소결론 = 88
제5절 범죄인의 최면 감수성 = 91
1. 범죄인의 성격특성 = 91
2. MMPI상의 범죄성격 = 92
3. 최면 감수성과 범죄인의 성격특성 = 93
4. 소결론 = 96
제4장 최면과 기억 = 99
제1절 기억에 관한 이론 = 100
1. 기억의 유연성 = 101
2. 부호화 = 103
3. 저장 = 104
4. 기억인출 = 104
제2절 최면을 이용한 기억의 재구성 = 106
1. 최면의 본질 = 107
2. 기억에 대한 최면의 일반적인 효과 = 108
3. 최면을 이용한 기억향상의 잠재적 기제 = 111
4. 최면을 이용한 기억촉진 실험 = 115
5. 기억 회복에 사용되는 최면의 중요성 = 125
제3절 결론 = 129
제5장 최면 활용 = 133
제1절 의학 분야 = 134
1. 치료에 사용되는 최면기법들 = 134
2. 정신과 영역 = 137
3. 마취 및 외과 영역 = 140
4. 피부과 영역 = 140
5. 산부인과 영역 = 141
6. 최면과 침술의 관계 = 141
제2절 심리학 분야 = 142
1. 최면과 행동치료 = 142
2. 최면과 근육이완 = 144
3. 최면과 호흡 = 145
제3절 법정 분야 = 145
제4절 스포츠 분야 = 146
제5절 일상생활 분야 = 148
1. 체중조절 = 149
2. 자기최면 = 150
제6장 최면과 종교 = 151
제1절 고대 종교에 나타난 최면 = 153
1. 트랜스의 개념 = 153
2. 민간 신앙 = 156
3. 불교 = 157
4. 기독교 = 159
제2절 치유 속의 최면 = 159
1. 구약에서의 치유 = 159
2. 신약에서의 치유 = 160
3. 치유와 믿음 = 161
4. 동서양의 최면인식 = 162
제3절 결론 = 163
제7장 최면과 범죄 = 167
제1절 최면범죄 = 167
1. 최면이 범죄에 사용되었던 사례 = 167
2. 최면을 이용한 범죄사용 가능성의 연구 = 168
제2절 최면의 법적 적용 = 172
1. 법적 문제 = 172
2. 최면의 법정사용 = 173
제3절 정보획득 연구 = 177
제8장 최면수사 = 183
제1절 기본 개념 = 183
1. 최면수사 정의 = 183
2. 최면수사에 관한 기억이론 = 186
3. 최면수사 현황 = 188
제2절 최면수사관 자격 = 190
1. 최면술사 = 191
2. 정신과 의사나 심리학자 = 193
3. 최면치료와 최면수사의 차이점 = 194
4. 최면수사관 = 196
제3절 최면수사 방법 = 197
1. 최면신문의 특성 = 197
2. 최면유도 = 199
3. 최면신문 기법 = 203
4. 최면수사 유도구문 = 217
5. 최면이 걸리지 않는 목격자의 신문방법 = 223
제4절 수사도구로서의 최면 = 227
1. 실험내용 = 228
2. 결과 = 229
3. 소결론 = 231
제5절 최면수사 적용시 법적 고찰 = 232
1. 최면상태에서의 행위에 대한 적법성 = 233
2. 최면을 이용한 수사의 합법성 여부 = 234
3. 최면을 이용하여 얻은 진술의 증거능력 = 234
4. 소 결론 = 236
제9장 인지적 최면기법 = 239
제1절 인지적 기법 = 239
1. 목격자의 설명을 방해 = 240
2. 과다한 단답형 질문 = 240
3. 부적절한 질문 순서 = 241
제2절 최면과 인지면담 = 242
1. 기억회상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념적 지침 = 243
2. 인지면담의 이론 = 244
3. 인지적 기제의 역학 = 247
4. 인지면담 기법 = 248
5. 최면과 인지면담의 비교 = 250
제3절 인지적 법 최면 = 251
제10장 최면수사 사례 = 259
제1절 국내의 최면수사 사례 = 259
1. 범행에 사용된 차량의 번호를 회상시킨 사례 = 259
2. 범죄용의자에게 혐의를 풀어준 사례 = 262
3. 범인의 몽타즈를 작성한 사례 = 265
4. 최면가의 역전이 현상 = 267
5. 아티반 4미리의 인생 = 271
6. 수사관의 최면 중독 = 275
7. 최면가에 도움을 주는 피최면자 = 280
8. 총기 피탈 사건 = 282
9. 구미 살인사건 = 284
10. 사이버 수사와 최면 = 288
제2절 외국의 최면수사 사례 = 291
부록
1. 기억회상 결과 = 297
2. 최면 동의서 = 300
3. 법 최면면담의 개요와 점검사항 = 302
4. 미국 최면수사 규칙 = 305
5. 최면척도 = 314
참고문헌 = 405
찾아보기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