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유아 교육기관 운영관리

영유아 교육기관 운영관리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원중연
Title Statement
영유아 교육기관 운영관리 =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 원중연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정민사 ,   2003.  
Physical Medium
354 p. : 도표 ; 26 cm.
ISBN
8986963949
General Note
부록: 초·중등교육법.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39-237
000 00699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866926
005 20100806035647
007 ta
008 031203s2003 ulkd 000a kor
020 ▼a 8986963949 ▼g 93370 : ▼c \15000
035 ▼a KRIC09025140
040 ▼d 211048 ▼d 211009 ▼a 211048 ▼c 211048
049 1 ▼l 111274619 ▼l 111274620
082 0 4 ▼a 372.21068 ▼2 21
090 ▼a 372.21068 ▼b 2003
100 1 ▼a 원중연 ▼0 AUTH(211009)62856
245 1 0 ▼a 영유아 교육기관 운영관리 = ▼x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 ▼d 원중연 저.
260 ▼a 서울 : ▼b 정민사 , ▼c 2003.
300 ▼a 354 p. : ▼b 도표 ; ▼c 26 cm.
500 ▼a 부록: 초·중등교육법. 외
504 ▼a 참고문헌: p. 239-237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2.21068 2003 Accession No. 1112746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21068 2003 Accession No. 1112746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개념
 1.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개념 = 15
 2.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필요성 = 15
 3.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원리 및 과정 = 16
  1)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원리 = 16
  2)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과정 = 17
 4.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의 영역 = 18
제2장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설립
 1.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발전과정 = 23
  1) 유아교육기관의 유형 = 23
  2) 유아교육기관의 발전과정 = 25
 2. 유아교육기관의 설립 = 27
  1) 유치원의 설립 = 27
  2) 보육시설의 설립 = 32
제3장 유아교육기관 운영의 이론적 기초
 1. 발달적 요인 = 43
  1) 행동주의 이론 = 43
  2) 성숙주의 이론 = 43
  3) 인지발달 이론 = 44
  4) 사회문화적 이론 = 45
  5) 생태학적 이론 = 45
 2. 사회적 요인 = 46
  1) 복지사회에 대한 요구 = 46
  2) 가족제도의 변화 = 46
  3) 도시화 = 47
  4) 취업모의 증가 = 47
 3. 철학적 요인 = 47
  1) 철학적 방향의 필요성 = 48
  2) 철학적 방향의 모색 = 48
  3) 유아교육 철학의 확립 = 49
 4. 유아교육기관과 지역사회 = 49
  1) 지역사회의 이해 = 49
  2) 유아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지역사회의 요구분석 = 51
  3) 유아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수요기초조사 = 51
제4장 유아교육기관의 원아모집과 학급편성
 1. 유아교육기관의 홍보 = 57
  1) 홍보의 목적 = 57
  2) 홍보의 시기와 방법 = 57
 2. 원아모집 = 59
  1) 준비단계 = 59
  2) 원아모집 실시 = 59
  3) 전형방법 = 60
  4) 입학대상 = 60
  5) 입학순위 = 60
 3. 입학준비 = 61
  1) 유아 및 가정환경 파악 = 61
  2) 부모면담 = 62
  3) 유아교육기관 방문 = 62
  4)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 62
  5) 학부모 오리엔테이션 = 63
 4. 학급집단의 편성과 유형 = 64
  1) 학급편성의 필요성 = 64
  2) 학급규모 = 65
  3) 학급편성 유형 = 66
  4) 학급의 이름 및 담임 = 70
  5) 교사교육 = 70
  6) 서류관리 = 71
제5장 유아교육기관의 효율적 경영요소
 1. 의사소통(Communication) = 75
  1) 의사소통의 개념 = 75
  2) 의사전달의 기능 = 76
  3) 의사소통의 왜곡 원인 = 76
  4) 의사소통을 위한 메시지 전달 방법 = 77
  5)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법 = 77
  6) 유아교육기관의 의사소통 = 78
 2. 의사 결정(Decision making) = 79
  1) 의사 결정의 개념 = 79
  2) 의사 결정의 필요성 = 80
  3) 의사 결정 참여 효과 = 80
 3. 갈등관리(Conflict management) = 81
  1) 갈등관리의 개념 = 81
  2) 갈등의 기능 = 82
  3) 갈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 = 83
 4. 리더십(Leadership) = 85
  1) 리더십의 개념 = 85
  2) 리더십의 기능 = 85
  3) 리더십의 유형 = 86
  4)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 87
  5)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 88
제6장 유아교육기관의 시설 설비 관리
 1. 시설 설비의 개념 및 중요성 = 91
  1) 시설 설비의 개념 = 91
  2) 시설 설비의 중요성 = 91
 2. 시설 설비의 계획 = 92
 3. 유아교육기관 시설의 입지조건 = 93
  1) 건물의 구조 = 93
  2) 원지 및 주변의 환경 = 94
  3) 원지 출입구의 조건 = 95
  4) 통원의 조건 = 95
 4. 실내의 기본시설 = 96
  1) 출입구 및 현관 = 96
  2) 활동실(보통교실) = 96
  3) 유희실 = 97
  4) 사무실 및 교사실 = 97
  5) 관찰실 = 97
  6) 화장실 = 98
  7) 양호실 = 98
  8) 조리실(주방) = 98
  9) 자료보관실 = 99
  10) 낮잠 또는 휴식을 위한 방 = 99
 5. 실내 공간설비 = 99
  1) 채광과 조명 = 99
  2) 창문 = 100
  3) 활동실의 바닥 = 100
  4) 냉·난방 = 100
  5) 천정 = 100
 6. 실외시설 = 101
  1) 유원장의 위치 = 101
  2) 유원장의 크기 = 101
 7. 실외공간 배치 및 설비 = 102
  1) 실외공간 배치 = 102
  2) 실외설비 = 103
 8. 시설 설비의 안전관리 = 104
제7장 유아교육기관의 인사관리
 1. 유치원의 인사관리 = 109
  1) 인사관리의 정의 및 기본 방향 = 109
  2) 교원의 종별과 자격 = 110
  3) 교원의 임용 = 111
  4) 교원의 역할과 자질 = 119
  5) 유치원 교원의 연수교육 = 123
  6) 교직원의 보수 = 126
 2. 보육시설의 인사관리 = 135
  1) 보육시설 종사자의 종류 = 135
  2) 종사자의 임면 및 경력 인정 = 137
  3) 종사자의 보수 = 139
  4)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과 교육훈련기관 = 142
  5) 종사자 신분보장 및 복무 = 149
제8장 유아교육기관의 사무관리
 1. 사무관리의 의의 = 155
 2. 유아교육기관 사무의 합리화와 조직 = 155
  1) 합리화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점 = 155
  2) 사무처리의 조직(유아교육기관의 업무 분담표) = 156
 3. 문서관리 = 156
  1) 문서의 개념 = 156
  2) 문서의 의의 = 157
  3) 유아교육기관에 비치해야 할 문서 = 157
  4) 문서작성과 관리 절차 = 159
  5) 문서의 발송 및 접수 = 160
 4. 문서의 예 = 162
제9장 유아교육기관 비품 및 교재 교구의 관리
 1. 비품 및 교재 교구의 개념 = 167
 2. 비품 및 교재 교구의 선정기준 = 167
  1) 기능적 요구 = 168
  2) 교육적 요구 = 168
 3. 비품 및 교재 교구의 배치와 활용 = 170
  1) 비품 및 교재 교구의 배치 = 170
  2) 비품 및 교구의 분류 = 171
  3) 비품 및 교재 교구의 활용 = 172
 4. 비품 및 교재 교구의 품목과 구분 = 172
  1) 유치원에 갖추어야 할 교재 교구 = 172
  2) 비품 및 교재 교구의 종류 = 175
  3) 보육시설에 갖추어야 할 비품 및 교재 교구 = 180
제10장 유아의 영양과 건강·안전관리
 1. 유아의 영양(급식)관리 = 195
  1) 유아기 영양의 중요성 = 195
  2) 유아 급식관리 = 195
  3) 유아급식 시 고려사항 = 196
 2. 유아의 건강관리 = 200
  1) 건강관리의 중요성 = 200
  2) 건강관리의 영역 = 200
  3) 건강진단 = 200
  4) 응급처치 = 201
 3. 유아의 안전관리 = 204
  1) 안전관리의 개념과 목적 = 204
  2) 안전관리의 영역 = 205
제11장 유아교육기관의 월별 운영관리 및 학부모·외부인 관리
 1. 원장이 해야 할 월별 운영관리 = 219
 2. 학부모 및 외부인 관리 = 221
  1) 학부모 = 221
  2) 교육실습생 = 222
  3) 자원봉사자 = 223
  4) 견학자 = 225
제12장 유아교육기관의 평가관리
 1. 유아교육 평가의 필요성 및 특징 = 229
  1) 평가의 필요성 = 229
  2) 평가의 특성 = 229
 2. 평가의 목적 = 230
 3. 유아의 평가 방법 = 231
  1) 관찰법 = 232
  2) 일화기록법 = 232
  3) 행동목록법 = 232
  4) 평정척도법(체크리스트법) = 232
  5) 표본기록 = 232
  6) 시간표집법 = 233
  7) 사건표집법 = 233
  8) 작품분석법 = 233
  9) 질문지법 = 233
  10) 면담법 = 233
  11) 사회성 측정법 = 234
  12) 표준화검사 = 234
  13) 포트폴리오 = 234
  14) 학부모가 제출한 서류 = 234
 4. 평가 결과의 기록 및 활용 = 235
참고문헌 = 236
부록 = 239
 부록 1 초·중등교육법 = 241
 부록 2 영유아보육볍 = 259
 부록 3 유치원에 비치해야 할 서류 양식 = 289
 부록 4 보육시설에 비치해야 할 서류 양식 = 327
 부록 5 유아교육기관 운영을 위한 현장학습장소 및 정보검색 Site 소개 = 34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