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Loan 4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고경화 高慶花, 1956-
Title Statement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 Geschichte und Theorien der aesthetischen Bildung / 고경화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03   (2009)  
Physical Medium
278 p. : 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교육의 역사와 철학 시리즈 ;18
ISBN
8975488845 : 9788975488849(2009) 8975488233(set) 9788975488233(set)(200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65-269)과 색인수록
000 00872camcc2200277 c 4500
001 000000865261
005 20101007101537
007 ta
008 030807s2003 ulka b 001c kor
020 ▼a 8975488845 : ▼g 93370
020 ▼a 9788975488849(2009)
020 1 ▼a 8975488233(set)
020 1 ▼a 9788975488233(set)(2009)
035 ▼a KRIC08858312
040 ▼a 248003 ▼d 211009 ▼d 244002
049 1 ▼l 111274477 ▼l 111274478
082 0 4 ▼a 700.7 ▼2 21
085 ▼a 700.7 ▼2 DDCK
090 ▼a 700.7 ▼b 2003
100 1 ▼a 고경화 ▼g 高慶花, ▼d 1956- ▼0 AUTH(211009)141904
245 1 0 ▼a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 ▼x Geschichte und Theorien der aesthetischen Bildung / ▼d 고경화 지음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03 ▼g (2009)
300 ▼a 278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교육의 역사와 철학 시리즈 ; ▼v 18
504 ▼a 참고문헌(p. 265-269)과 색인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7 2003 Accession No. 1112744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7 2003 Accession No. 11127447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5-3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7 2003 Accession No. 1512902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7 2003 Accession No. 11127447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7 2003 Accession No. 11127447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5-30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7 2003 Accession No. 1512902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고경화(지은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 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 석사 베를린 자유대학교 교육학심리학대학 일반교육전공(Ph.D.) 베를린 자유대학교 교육학연구소 객원연구원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한중대학교 교수 베를린 자유대학교 초빙교수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교직담당) 한국아동발달학회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편집자의 말 = 3
머리말 = 7
1 물질문명에 대한 회의 = 15
 1. 문제의식의 제기 = 15
  1) 과학적 인식과 종교윤리 = 15
  2)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성립 = 18
 2. 비판이론의 성립배경 = 19
  1) 위기극복과 개선방안 = 19
  2) 주요체계 = 20
2 전위적 비판이론 = 25
 1.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적 교육론 = 25
  1) 이성의 도구화 = 25
  2) 이성의 도구화의 영향 = 26
 2. 아도르노의 비판적 교육론 = 33
  1) 부정의 변증법 = 33
  2) 음악의 사회적 기능론 = 34
  3) 사회비판적 음악교육 = 38
3 후위적 비판이론 = 43
 1. 기술적 이성과 형식적 합리성의 문제 = 43
 2. 과학주의 비판 = 45
 3. 합리적 합리성의 수정 = 46
  1) 합리성의 본질 = 46
  2) 철학적 탐구의 방법 = 47
  3) 인지심리학적 탐구의 방법 = 49
  4) 과학적 검증의 방법 = 50
  5) 사회학적 방법론 = 51
  6) 담론의 문제와 방법 = 51
  7) 비판적 반성 = 52
 4. 문화간의 대화 = 53
  1) 문화간 대화의 조건 = 53
  2) 실천과 대화 = 56
 5. 후위적 비판이론의 문명비판 = 58
  1) 문명비판의 주요체계 = 58
  2) 후위적 비판이론의 전개 = 61
  3) 사회비판이론의 교육학적 수용의 방향 = 65
4 비판적 교육과학의 체계 = 69
 1. 자기교육의 복권과 그 공동화 = 69
  1) 인간의 기본욕구와 자기교육 = 69
  2) 국가와 학교와의 관계 = 77
 2. 인간형성을 위한 방법론의 구조화 = 78
  1) 교수학의 구성요인 = 78
  2) 사회비판적 인간으로서의 지식과 양심의 통일 = 80
 3. 이데올로기 비판 = 83
  1) 이데올로기 비판의 역사 = 83
 4. 능력주의 이데올로기 = 89
  1) 능력발달의 개념 = 89
  2) 발달 개념의 이데올로기화 = 92
  3) 발달론 이데올로기의 조류 = 97
  4) 능력발달보장론의 구조 = 101
5 교육과학의 이데올로기 비판연구 = 115
 1. 교육학적 영역 = 115
  1) 도야개념에 대한 비판적 해석 = 115
  2)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적 비판 = 116
 2. 교육학적 이데올로기 연구방법 = 119
  1) 교육사적 연구 = 119
  2) 경험적 방법론 = 121
6 학교영역에서의 행위연구 = 123
 1. 행위연구의 개념과 문제 = 123
  1) 교육과학적 행위연구 = 123
 2. 교육과학적 행위연구의 동향 = 125
  1) 행위연구의 가능성 = 125
  2) 행위연구의 주요영역 = 127
 3. 행위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 127
  1) 복합적인 학습과정으로서의 행위연구 = 127
  2) 이데올로기 비판교육에 대한 전문적 협력 = 129
7 교육에 있어서 능력주의 = 131
 1. 학교에 있어서 능력주의의 원리 = 131
  1) 능력주의의 문제 = 131
  2) 에거스도르퍼의 도야 개념 = 132
  3) 데어보라프의 교수개념 = 135
  4) 문제의식에 대한 부분적 분석 = 135
 2. 능력주의의 사회적 추이 = 137
  1) 능력주의의 역사 = 137
  2) 능력주의 확립의 배경 = 139
 3. 현대 능력주의 사회의 의미 = 143
  1) 능력주의의 공평성 = 143
  2) 능력발달의 기회균등 = 144
 4. 능력주의 원리의 구상 = 146
  1)능력주의의 원리의 개념 = 146
  2)목표설정의 동기화 = 148
 5. 계층선발적 특수사회화 = 154
  1) 능력주의의 개혁 = 154
  2) 교육적 상황의 조건 = 158
8 스포츠분야에서의 능력주의 비판 = 163
 1. 비판적 발달 = 163
  1) 지배체제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력본위 = 163
  2) 문제의식 심화 = 164
 2. 학교스포츠의 국가주의적 경향 = 165
  1) 스포츠 능력주의의 문제제기 = 165
  2) 능력본위의 원리는 정당화되는가 = 166
  3) 해방주의적 여가교육의 조건 = 167
  4) 스포츠의 두 가지 요소 = 169
9 청소년에 대한 사회교육 = 175
 1.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 175
  1) 학교외 청소년활동의 의미 = 175
  2) 청소년활동의 본질적 특징 = 176
 2. 학교외의 청소년활동의 과제 = 178
  1) 의사소통적 상호관계의 영역 = 179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181
  3) 심리적 갈등경험의 극복영역 = 186
10 비판적 교육과학의 체제분석 = 193
 1. 의사소통적 행동 = 193
  1) 교육행위의 구조 = 193
  2)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 = 195
  3) 사회체계와 생활세계의 구조적 변화 = 197
 2. 생활세계의 사회계층적 체험 = 199
  1) 이면기대 = 199
  2) 사회화의 차원 = 201
11 비판적 교육과학의 수용 = 205
 1. 사회교육전개의 배경 = 205
  1) 사회변동적 측면 = 205
  2) 인간학적 측면 = 206
 2. 사회교육의 이념설정 = 208
  1) 배경 = 208
  2) 이념의 방향 = 209
 3. 특수교육에서 장애인 권리보장론 = 215
  1) 권리보장론의 문제 = 215
  2) 인권과 교육에서 평등권 = 219
 4. 분리제도론(평등화와 개성화의 문제) = 234
  1) 단선형 학교체계 = 234
  2) 장애인 교육론의 본질 = 238
  3) 공동교육론의 문제 = 242
12 특수교육학에 대한 비판이론적 시각 = 247
 1. 철학적 조명 = 247
  1) 현행 특수교육 제도에 대한 평가 = 247
  2) 이론과 실천 관계의 괴리 = 251
  3) 특수교육학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 방법의 문제 = 251
  4)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발달의 조건 = 252
 2. 특수교육을 요구하는 현실 상황의 문제 = 253
  1) 장애 개념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 254
  2) 특수교육학의 다양한 분화 = 254
  3) 교육학적 과제 설정의 문제 = 254
  4) 특수교육 시설의 독립화 현상의 문제 = 254
  5) 종합 연구소 중심체제의 특수교육 연구 = 255
  6)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과학적 이해의 부족 = 255
  7) 특수교육에서 목적 설정을 위한 인간학적, 사회윤리학적 시각의 결여 = 256
  8) 공존 윤리의 가치체계 확립 = 256
  9) 현실 구조에 대한 이해 = 259
 3. 과학적 설명의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 261
  1) 과학적 설명 = 261
  2)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사이에서 특수교육학의 성격 = 262
  3) 특수교육학에서 학제적 연구의 기초 = 264
참고문헌 = 269
찾아보기 = 27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