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편집자의 말 = 3
머리말 = 7
1 물질문명에 대한 회의 = 15
1. 문제의식의 제기 = 15
1) 과학적 인식과 종교윤리 = 15
2)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성립 = 18
2. 비판이론의 성립배경 = 19
1) 위기극복과 개선방안 = 19
2) 주요체계 = 20
2 전위적 비판이론 = 25
1.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적 교육론 = 25
1) 이성의 도구화 = 25
2) 이성의 도구화의 영향 = 26
2. 아도르노의 비판적 교육론 = 33
1) 부정의 변증법 = 33
2) 음악의 사회적 기능론 = 34
3) 사회비판적 음악교육 = 38
3 후위적 비판이론 = 43
1. 기술적 이성과 형식적 합리성의 문제 = 43
2. 과학주의 비판 = 45
3. 합리적 합리성의 수정 = 46
1) 합리성의 본질 = 46
2) 철학적 탐구의 방법 = 47
3) 인지심리학적 탐구의 방법 = 49
4) 과학적 검증의 방법 = 50
5) 사회학적 방법론 = 51
6) 담론의 문제와 방법 = 51
7) 비판적 반성 = 52
4. 문화간의 대화 = 53
1) 문화간 대화의 조건 = 53
2) 실천과 대화 = 56
5. 후위적 비판이론의 문명비판 = 58
1) 문명비판의 주요체계 = 58
2) 후위적 비판이론의 전개 = 61
3) 사회비판이론의 교육학적 수용의 방향 = 65
4 비판적 교육과학의 체계 = 69
1. 자기교육의 복권과 그 공동화 = 69
1) 인간의 기본욕구와 자기교육 = 69
2) 국가와 학교와의 관계 = 77
2. 인간형성을 위한 방법론의 구조화 = 78
1) 교수학의 구성요인 = 78
2) 사회비판적 인간으로서의 지식과 양심의 통일 = 80
3. 이데올로기 비판 = 83
1) 이데올로기 비판의 역사 = 83
4. 능력주의 이데올로기 = 89
1) 능력발달의 개념 = 89
2) 발달 개념의 이데올로기화 = 92
3) 발달론 이데올로기의 조류 = 97
4) 능력발달보장론의 구조 = 101
5 교육과학의 이데올로기 비판연구 = 115
1. 교육학적 영역 = 115
1) 도야개념에 대한 비판적 해석 = 115
2)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적 비판 = 116
2. 교육학적 이데올로기 연구방법 = 119
1) 교육사적 연구 = 119
2) 경험적 방법론 = 121
6 학교영역에서의 행위연구 = 123
1. 행위연구의 개념과 문제 = 123
1) 교육과학적 행위연구 = 123
2. 교육과학적 행위연구의 동향 = 125
1) 행위연구의 가능성 = 125
2) 행위연구의 주요영역 = 127
3. 행위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 127
1) 복합적인 학습과정으로서의 행위연구 = 127
2) 이데올로기 비판교육에 대한 전문적 협력 = 129
7 교육에 있어서 능력주의 = 131
1. 학교에 있어서 능력주의의 원리 = 131
1) 능력주의의 문제 = 131
2) 에거스도르퍼의 도야 개념 = 132
3) 데어보라프의 교수개념 = 135
4) 문제의식에 대한 부분적 분석 = 135
2. 능력주의의 사회적 추이 = 137
1) 능력주의의 역사 = 137
2) 능력주의 확립의 배경 = 139
3. 현대 능력주의 사회의 의미 = 143
1) 능력주의의 공평성 = 143
2) 능력발달의 기회균등 = 144
4. 능력주의 원리의 구상 = 146
1)능력주의의 원리의 개념 = 146
2)목표설정의 동기화 = 148
5. 계층선발적 특수사회화 = 154
1) 능력주의의 개혁 = 154
2) 교육적 상황의 조건 = 158
8 스포츠분야에서의 능력주의 비판 = 163
1. 비판적 발달 = 163
1) 지배체제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력본위 = 163
2) 문제의식 심화 = 164
2. 학교스포츠의 국가주의적 경향 = 165
1) 스포츠 능력주의의 문제제기 = 165
2) 능력본위의 원리는 정당화되는가 = 166
3) 해방주의적 여가교육의 조건 = 167
4) 스포츠의 두 가지 요소 = 169
9 청소년에 대한 사회교육 = 175
1.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 175
1) 학교외 청소년활동의 의미 = 175
2) 청소년활동의 본질적 특징 = 176
2. 학교외의 청소년활동의 과제 = 178
1) 의사소통적 상호관계의 영역 = 179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181
3) 심리적 갈등경험의 극복영역 = 186
10 비판적 교육과학의 체제분석 = 193
1. 의사소통적 행동 = 193
1) 교육행위의 구조 = 193
2)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 = 195
3) 사회체계와 생활세계의 구조적 변화 = 197
2. 생활세계의 사회계층적 체험 = 199
1) 이면기대 = 199
2) 사회화의 차원 = 201
11 비판적 교육과학의 수용 = 205
1. 사회교육전개의 배경 = 205
1) 사회변동적 측면 = 205
2) 인간학적 측면 = 206
2. 사회교육의 이념설정 = 208
1) 배경 = 208
2) 이념의 방향 = 209
3. 특수교육에서 장애인 권리보장론 = 215
1) 권리보장론의 문제 = 215
2) 인권과 교육에서 평등권 = 219
4. 분리제도론(평등화와 개성화의 문제) = 234
1) 단선형 학교체계 = 234
2) 장애인 교육론의 본질 = 238
3) 공동교육론의 문제 = 242
12 특수교육학에 대한 비판이론적 시각 = 247
1. 철학적 조명 = 247
1) 현행 특수교육 제도에 대한 평가 = 247
2) 이론과 실천 관계의 괴리 = 251
3) 특수교육학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 방법의 문제 = 251
4)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발달의 조건 = 252
2. 특수교육을 요구하는 현실 상황의 문제 = 253
1) 장애 개념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 254
2) 특수교육학의 다양한 분화 = 254
3) 교육학적 과제 설정의 문제 = 254
4) 특수교육 시설의 독립화 현상의 문제 = 254
5) 종합 연구소 중심체제의 특수교육 연구 = 255
6)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과학적 이해의 부족 = 255
7) 특수교육에서 목적 설정을 위한 인간학적, 사회윤리학적 시각의 결여 = 256
8) 공존 윤리의 가치체계 확립 = 256
9) 현실 구조에 대한 이해 = 259
3. 과학적 설명의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 261
1) 과학적 설명 = 261
2)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사이에서 특수교육학의 성격 = 262
3) 특수교육학에서 학제적 연구의 기초 = 264
참고문헌 = 269
찾아보기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