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새로운 영어교수법

새로운 영어교수법 (Loan 7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의재 朴義載 , 1934-. 정양수 丁良秀
Title Statement
새로운 영어교수법 / 박의재, ; 정양수 [공]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신문화사 ,   2003.  
Physical Medium
xiii, 540 p. : 삽도.
ISBN
893480624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517-522,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nglish language --Study and teaching --Foreign speakers.
000 00835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864980
005 20100806031231
007 ta
008 031202s2003 ulka 001a kor
020 ▼a 8934806249 ▼g 93700: ▼c \18000
035 ▼a KRIC09062406
040 ▼d 211048 ▼d 211009 ▼a 211048 ▼c 211048 ▼d 211010 ▼d 211009
082 0 4 ▼a 428.0071 ▼2 21
090 ▼a 428.0071 ▼b 2003a
100 1 ▼a 박의재 ▼g 朴義載 , ▼d 1934-. ▼0 AUTH(211009)94287
245 1 0 ▼a 새로운 영어교수법 / ▼d 박의재, ; ▼e 정양수 [공]지음.
260 ▼a 서울 : ▼b 한신문화사 , ▼c 2003.
300 ▼a xiii, 540 p. : ▼b 삽도.
504 ▼a 참고문헌: p.517-522, 색인수록
650 0 ▼a English language ▼x Study and teaching ▼x Foreign speakers.
700 1 ▼a 정양수 ▼g 丁良秀 ▼0 AUTH(211009)115706
900 1 1 ▼a Pak, Ui-jae
900 1 1 ▼a Chong, Yang-su
940 ▼a Saeroun Yongo kyosupop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112704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112704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4103921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2118174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211817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511682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112704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112704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4103921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2118174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211817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28.0071 2003a Accession No. 1511682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의재(지은이)

<현대영어학개론>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한국 영어교육의 역사와 목적
 1. 외국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 = 1
 2. 영어 교육과정의 변천 = 5
 3. 영어교육의 목적 = 10
 4. 세계 각국의 영어교육 = 17
  4.1 영어사용국의 유형 = 17
  4.2 현대 영어사용의 특징 = 18
  4.3 세계 각국의 영어교육 현황 = 19
제2장 의사소통능력 개발과 영어교육
 1. 언어의 본질적 기능 = 31
 2.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 = 36
  2.1 Chomsky의 언어능력 = 36
  2.2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 38
  2.3 의사소통능력의 범주 = 43
 3. 의사소통 이론 = 48
  3.1 의사소통의 이론적 배경 = 48
  3.2 의사소통 유형의 구분 = 50
  3.3 비언어적 의사소통 = 51
  3.4 잉여요소 = 56
 4. 의사소통능력의 영어교육 응용 = 58
  4.1 영어교육의 최근 경향 = 58
  4.2 소통적 언어 교수법 = 62
  4.3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법의 특징 = 66
제3장 모국어(L1) 습득 이론
 1. 행동주의적 접근 = 68
  1.1 고전적 행동주의 = 68
  1.2 신행동주의 = 70
  1.3 행동주의 학습의 원리 = 71
  1.4 행동주의 언어학습의 원리와 한계 = 73
 2. 생득적 접근 = 74
  2.1 언어습득장치 = 75
  2.2 반구편중현상 = 77
  2.3 결정적 시기 가설 = 77
  2.4 언어습득 단계 = 78
 3. 인지적 접근 = 81
  3.1 인지구조의 발달 이론 = 81
  3.2 정보처리 이론 = 82
  3.3 유의적 학습 = 84
  3.4 체계적 망각 = 86
  3.5 인지주의에 기초한 언어학습 = 86
 4. 인본주의적 접근 = 87
  4.1 Krashen의 학습과 습득 = 89
  4.2 모니터 가설 = 90
 5. 구성주의적 접근 = 91
  5.1 상호작용 가설 = 94
  5.2 구성주의적 언어교수법 = 95
제4장 외국어(L2) 학습 이론
 1. 행동주의 관점 = 98
 2. 보편문법 가설 = 100
  2.1 어린이의 모국어 습득과 UG = 100
  2.2 성인의 모국어 습득과 UG = 102
 3. Krashen 모형 = 104
  3.1 학습과 습득의 비교 = 104
  3.2 입력가설 이론 = 106
  3.3 자연순서 가설 이론 = 108
  3.4 감시가설 이론 = 109
  3.5 정의적 여과기 가설 = 111
 4. McLaughlin 이론 = 112
 5. Bialystok 이론 = 115
 6. 상호작용가설 이론 = 116
 7. 피진화와 문화이식 이론 = 119
제5장 모국어와 외국어 학습 비교
 1. 연령의 문제 = 123
  1.1 속도와 성취도 면에서 비교 = 123
  1.2 음운적인 면에서 비교 = 125
  1.3 어휘와 통사적인 면에서 비교 = 127
  1.4 사회언어학적 면에서 비교 = 128
 2. 외국어 학습에서 성인과 어린이의 차이 원인 = 130
  2.1 신체적 측면 = 130
  2.2 인지적 측면 = 133
  2.3 사회-정의적 측면 = 136
  2.4 언어적 측면 = 139
 3. 조기영어교육의 문제 = 141
  3.1 자연적/비자연적인 외국어 학습환경의 특징 = 141
  3.2 미국의 FLES = 145
  3.3 한국의 조기영어교육 = 150
제6장 영어교수법 개관 Ⅰ(전통 및 행동주의)
 1. 전통적 교수법 = 158
 2. 직접 교수법 = 161
 3. 수정이론 = 164
  3.1 벌리츠식 교수법 = 164
  3.2 절충식 교수법 = 166
  3.3 단계별 직접교수법 = 166
 4. 직접교수법과 관계있는 기타 교수법 = 168
  4.1 자연적 교수법 = 168
  4.2 심리적 교수법 = 169
  4.3 Oral approach = 171
  4.4 구두교수법(Oral method) = 177
  4.5 독서중심 교수법 = 183
  4.6 청각구두식 교수법 = 186
  4.7 기타 교수법 = 194
제7장 영어교수법 개관 Ⅱ(인지 및 인본주의)
 1.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법 = 200
  1.1 역사적 배경 = 200
  1.2 청각구두식 교수법과 CLT 교수법의 대조 = 203
  1.3 언어 및 학습이론 = 205
  1.4 학습자·교사의 역할과 수업 절차 = 208
 2. 신 교수법 = 212
  2.1 인지적 접근방법 = 213
  2.2 전신반응교수법 = 215
  2.3 자연적 접근방법 = 219
 3. 기타 최근의 교수법 = 222
  3.1 침묵식 교수법 = 222
  3.2 집단 언어학습법 = 223
  3.3 암시적 방법 = 225
  3.4 전체언어 교수법 = 227
  3.5 과제중심 교수법 = 228
제8장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 정의적 요인 = 232
  1.1 자아존중 = 232
  1.2 억압 = 232
  1.3 모험시도 = 233
  1.4 불안 = 234
  1.5 감정이입 = 235
  1.6 외향성과 내향성 = 235
 2. 인지적 요인 = 239
  2.1 장독립형과 장의존형 = 239
  2.2 좌·우뇌의 기능 = 240
  2.3 모호한 문제에 대한 관용성과 비관용성 = 241
  2.4 성찰형과 충동형 = 242
  2.5 시각형과 청각형 = 243
 3. 생물학적 요인 = 244
  3.1 지능 = 244
  3.2 적성 = 246
  3.3 연령 = 248
  3.4 성별 = 250
 4. 사회-정의적 요인 = 250
  4.1 동기 = 250
  4.2 태도 = 254
  4.3 사회적 거리 = 255
 5. 학습전략 = 256
  5.1 학습전략의 일반적 개념 = 256
  5.2 인지 전략 = 258
  5.3 초인지 전략 = 260
  5.4 사회 정의적 전략 = 261
  5.5 의사소통 전략 = 263
  5.6 전략 훈련 = 266
  5.7 언어의 4기능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의 실제적 적용 = 271
제9장 영어교재 연구와 영어교사의 자질
 1. 일반교재 = 274
  1.1 교재의 정의 = 274
  1.2 교과서 제작 = 276
  1.3 인정도서 및 교재운용 = 277
 2. 교재선택의 원칙 = 280
 3. 교재의 편성 및 교과서 평가 = 285
  3.1 교재의 편성 = 285
  3.2 교과서 평가 = 286
  3.3 교재에 대한 교사의 태도 및 일반 원칙 = 289
 4. 교사요인 = 292
  4.1 교사의 자질 = 292
  4.2 영어교사의 특성 = 295
  4.3 영어교사의 자격기준 = 296
 5. 수업과 교안작성 = 302
  5.1 교안작성의 목적과 구비요건 = 302
  5.2 교안작성 요령 = 303
  5.3 교안작성의 사례 = 304
제10장 대조분석, 오류분석, 담화분석
 1. 대조분석 = 313
  1.1 간섭과 전이 = 314
  1.2 대조분석 가설 = 315
  1.3 강한 입장의 대조분석과 약한 입장의 대조분석 = 316
  1.4 대조분석의 절차 = 318
  1.5 대조분석의 문제점 = 318
 2. 오류분석 = 319
  2.1 중간언어 = 320
  2.2 오류의 원인 = 321
  2.3 오류분석의 학습적용 = 325
 3. 담화분석 = 331
  3.1 담화분석의 정의 = 331
  3.2 Halliday의 담화분석 = 332
  3.3 Van EK & Alexander의 담화분석 = 332
  3.4 담화분석의 적용 = 334
제11장 학습 매체와 영어교육
 1. 교수매체의 정의 = 338
  1.1 교수매체의 속성 = 338
 2. 교수매체의 특성과 분류 = 341
  2.1 호반과 데일의 분류 = 341
  2.2 상장체계에 의한 매체 분류 = 342
 3. 매체선정의 기준 = 348
  3.1 매체 선정의 상대성 효과 = 349
  3.2 매체 선정의 절대성 효과 = 349
  3.3 매체 선정시 고려사항 = 350
  3.4 매체 선정 과정의 예 = 353
 4. 매체 활용의 필요성 = 357
 5. 매체 활용 모형 = 360
 6. 매체 활용 수업모형 = 362
제12장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1. 구성주의 학습관과 멀티미디어 = 336
  1.1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 367
  1.2 멀티미디어 매체 = 373
  1.3 구성주의 학습관과 멀티미디어 매체와의 관계 = 375
 2. CALL의 역사적 변천과정 = 378
  2.1 행동주의적 컴퓨터 활용 언어학습 = 379
  2.2 의사소통적 컴퓨터 활용 언어학습 = 382
  2.3 통합적 컴퓨터 활용 언어학습 = 383
 3.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 384
  3.1 언어학습에서 교사와 컴퓨터의 역할 비교 = 384
  3.2 교사대체형으로서의 컴퓨터 = 388
  3.3 도구형으로서의 컴퓨터 = 389
  3.4 교사의 역할 변화 = 390
 4.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영어수업 모형 및 효과 = 391
  4.1 멀티미디어 매체가 영어교육에 미치는 효과 = 391
  4.2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 = 393
 5. 코스웨어 개발과 평가 = 396
  5.1 코스웨어의 유형 = 397
  5.2 코스웨어 개발과정 = 399
  5.3 코스웨어 평가 = 403
제13장 인터넷과 영어교육
 1. 하이퍼미디어와 웹 = 417
  1.1 월드 와이드 웹 = 417
  1.2 하이퍼미디어 = 418
  1.3 영어교육에서의 월드 와이드 웹 = 423
 2. 인터넷 = 424
  2.1 인터넷의 주요 특징 : 상호작용 = 424
  2.2 영어교육에서의 전자메일 = 427
  2.3 영어교육에서 인터넷이 갖는 효과와 함축적 의미 = 429
 3. 웹기반 영어교육 = 432
  3.1 웹기반 수업의 정의 = 432
  3.2 WBI의 교육적 특성 = 433
  3.3 WBI의 구성요소 및 그 특징 = 436
  3.4 WBI에 기초한 영어학습 활동 = 440
  3.5 웹 기반 수업의 설계시 고려사항 = 450
  3.6 컴퓨터 사용에 따른 여러 문제들 = 456
제14장 영어교육 평가
 1. 평가의 정의 및 목적 = 467
  1.1 선발적 교육관 = 468
  1.2 발달적 교육관 = 468
 2. 평가의 구성요소 = 469
  2.1 타당도 = 470
  2.2 신뢰도 = 472
  2.3 객관성 = 475
  2.4 실시 가능성 = 477
 3. 평가의 유형 = 478
 4. 영어과 수행평가 = 500
  4.1 수행평가의 정의 = 500
  4.2 수행평가의 필요성 = 502
  4.3 수행평가의 방법 = 502
참고문헌 = 507
찾아보기 = 52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정호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