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우리 몸
1. 우리 몸의 구조 = 19
1) 세포(Cell) = 19
2) 조직(Tissues) = 21
3) 기관(Organs) = 21
4) 계(Physiological system) = 23
2. 인체 내의 강 = 24
1) 복부강 = 24
2) 배부강 = 25
3. 인체의 조직화 = 26
4. 인체구조의 변화 = 27
5. 인체의 기능 = 27
1) 생존과 활동 = 27
2) 세포의 기능 = 27
3) 환경과 인체의 기능 = 28
4) 항상성(Homeostasis) = 28
5) 연령 증가에 따른 인체기능의 변화 = 29
6. 인체기계 = 29
1) 인체의 화학적 구성 = 30
2) 인체의 골격 및 근육 = 31
(1) 골격 = 31
(2) 골격근 = 31
3) 기계와 인체기계 = 32
7. 세포생리 = 33
1) 물질이동 = 33
(1) 물리적 이동(혹은 수동적 이동) = 33
(2) 생리적 이동(혹은 능동적 이동) = 35
(3) 식작용(Phagocytosis)과 흡수작용(Pinocytosis) = 35
2) 세포 대사작용 = 35
(1) 이화작용 = 35
(2) 동화작용 = 37
(3) 이화작용과 동화작용의 평형 = 37
제2장| 운동과 근육
1. 근육(Muscles) = 45
1) 근육의 종류 = 45
(1) 평활근(Smooth muscle) = 46
(2) 심장근(Cardiac muscle) = 46
(3) 골격근(Skeletal muscle) = 47
2) 골격근의 구조 = 47
(1) 근섬유(Muscle fiber) = 47
(2) 근원섬유(Myofibril) = 48
(3) 근원세사(Myofilament) = 50
3) 골격근의 화학적 성분 = 52
(1) 백근과 적근(White and red muscle) = 53
2. 근수축(Muscle contractions) = 53
1) 근수축의 종류 = 54
(1) 등장성(동적) 수축(Isotonic contraction) = 54
(2) 등척성(정적) 수축(Isometric contraction) = 54
(3) 등속성 수축(Isokinetic contraction) = 54
2) 근육수축의 기계적 과정 = 55
(1) 근원세사의 움직임 = 57
3) 골격근 수축의 기본원리 = 59
(1) 자극에 의해서만 수축한다 = 59
(2) 수축의 형태 = 59
(3) 힘의 등급에 따라 수축한다 = 62
(4) 근육은 당기기만 하고 밀지는 않는다 = 64
(5) 뼈와 관절은 지렛대의 역할을 한다 = 64
(6) 근육은 그것이 움직이는 뼈보다는 신체 중앙쪽에 있다 = 65
(7) 골격근은 하나씩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으로 수축한다 = 65
3. 자극의 특성 = 67
(1) 자극의 강도 = 67
(2) 자극의 지속시간 = 68
(3) 자극강도의 변화속도 = 68
4. 근수축 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 69
(1) 적정부하(Optimal load) = 69
(2) 운동 전 근육의 길이(Initial muscle length) = 70
(3) 적정속도(Optimal speed) = 71
(4) 적정온도(Optimal temperature) = 72
(5) 피로(Fatigue) = 73
5. 운동효과 = 74
(1) 근육크기(Muscle size)의 변화 = 74
(2) 힘(Strength)의 증가 = 74
(3) 효율성(Efficiency) = 75
(4) 지구력(Endurance) = 76
(5) 자세(Posture) = 76
제3장| 운동과 신경
1. 신경계의 조직 = 84
1) 신경세포(Nerve cell) = 85
2) 신경연접부(Synapse) = 86
3) 반사궁(Reflex arc) = 88
2.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 91
1) 뇌(Brain) = 92
(1) 대뇌(Cerebrum) = 92
(2) 간뇌(Diencephalon) = 95
(3) 소뇌(Cerebellum) = 96
(4) 중뇌(Midbrain) = 98
(5) 뇌교(Pons) = 98
(6) 연수(Medulla oblongata) = 98
2) 척추(Spinal cord) = 99
3. 지각신경로 = 101
1) 인체의 감각기관 = 101
(1) 위치에 따른 분류(감각기 형태에 따라서) = 101
(2) 기능에 따른 분류(감각의 형태에 따라서) = 101
2) 척추 내 지각신경로 = 101
3) 뇌속의 지각신경로 = 103
4. 운동신경로 = 104
1) 추체외로계 = 104
(1) 대뇌피질 = 104
(2) 대뇌핵 = 105
(3) 소뇌 = 105
2) 추체로 = 106
5. 자율신경계 = 108
1) 중추 자율신경 작용 = 109
2)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기능 = 109
6. 신경계에 미치는 운동의 효과 = 110
1) 뇌기능의 발달 = 112
제4장| 운동과 협응
1. 근방추(Muscle spindle) = 121
2. 자세 및 장력반사와 목근육 = 123
3. 반응시간과 운동 = 124
4. 협응기술 = 126
1) 협응(Coordination) = 126
2) 기술(Skill) = 127
5. 교차훈련 = 132
6. 근력발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 = 133
1) Steinhaus와 Ikai의 실험 = 133
2) Ikai, Yabe, Ischii등의 실험 = 134
제5장| 운동과 순환
1. 혈액 = 143
1) 혈액의 기능 = 144
2) 혈장 = 144
3) 혈구 = 144
(1) 적혈구(Red Blood Cells : RBC) = 144
(2) 헤모글로빈(Hemoglobin) = 145
(3) 적혈구의 생성 = 146
(4) 적혈구의 파괴 = 146
(5) 운동과 적혈구 = 146
(6) 백혈구 = 147
(7) 백혈구의 기능 = 147
4) 혈소판 = 148
5) 운동시 혈액의 변화 = 148
(1) 혈당 = 148
(2) 젖산(Lactic acid) = 150
2. 심장 = 151
1) 심장의 구조 = 151
2) 심장근 = 153
3) 심전도 = 154
(1) 심장주기 = 155
(2) 심장의 수축과 이완 = 156
4) 심장에 필요한 영양 = 158
5) 심박출량 = 159
6) 심박출량의 측정법 = 160
(1) Fick의 방법 = 160
(2) 희석법(Dilution method) = 161
(3) 기체(Gas) 방법 = 162
(4) 체중과 신장의 비례지수 = 162
3. 혈관 = 163
1) 혈관의 종류 = 163
2) 혈관의 기능 = 164
4. 순환 = 165
1) 순환조절 = 166
(1) 혈액순환 = 166
(2) 혈압차 = 167
2) 동맥혈압의 결정요인 = 168
(1) 혈관 내 혈액의 양 = 168
(2) 심박출량 = 169
(3) 말초저항 = 169
3) 심장의 1회 박출량을 조절하는 요인 = 169
4) 심장의 박동수를 조절하는 요인 = 170
(1) 심장 압박반사 = 170
(2) 기타 요인 = 171
5) 소동맥관을 조절하는 요인 = 172
(1) 혈관운동 압박반사(Vasomotor pressoreflexes) = 172
(2) 혈관운동의 화학반사(Vasomotor chemoreflexes) = 173
(3) 연수 빈혈반사(The medullary ischemic reflexes) = 174
(4) 대뇌중추에 의한 혈관운동조절 = 174
6) 심장의 박출량을 결정하는 요인 = 176
7) 정맥혈의 심장 복귀에 미치는 요인 = 176
(1) 호흡 = 176
(2) 근수축 = 177
5. 혈압 = 179
1) 동맥혈압 = 179
(1) 맥압 = 179
(2) 자세에 따른 혈압의 변화 = 179
2) 모세혈관 혈압 = 180
3) 정맥혈압 = 180
4) 동맥혈압의 유지 = 181
(1) 심장의 박동수와 수축력 = 181
(2) 동맥혈관의 탄력성 = 181
(3) 말초저항 = 182
(4) 혈액의 양 = 183
(5) 혈액의 점액성 = 183
5) 혈압측정법 = 183
6) 혈압의 생리적 변화 = 185
(1) 연령 = 185
(2) 체중 = 185
(3) 유전 = 186
(4) 정서 = 186
(5) 운동 = 186
6. 맥박 = 186
1) 연령, 체격, 맥박수 = 187
(1) 평상시 맥박수 = 187
(2) 체격 = 187
2) 자세와 맥박수 = 188
3) 정서와 맥박 = 189
4) 맥박과 운동 = 190
(1) 시합 직전의 맥박 = 190
(2) 시합중의 맥박 = 191
(3) 경기가 끝난 다음의 맥박수 = 192
5) 훈련의 효과 = 193
7. 임파선계 = 194
1) 임파액 = 194
2) 조직액 = 195
3) 임파순환 = 195
4) 임파관의 구조 = 197
5) 임파의 기능 = 198
6) 임파선 = 198
(1) 구조 = 198
(2) 위치 = 198
(3) 기능 = 199
7) 임파액의 유동 = 200
(1) 압력차 = 200
(2) 판막 = 200
(3) 흉곽내압 = 200
(4) 근육활동 = 201
8) 운동의 효과 = 201
8. 운동과 순환계의 적응 = 202
1) 심박출량 = 202
2) 심박수와 1회 박출량 = 204
3) 혈압의 변화 = 205
4) 혈류의 변화 = 206
5) 동정맥 산소차(a- v ? O₂ diff) = 207
6) 헤모글로빈의 양 = 209
제6장| 운동과 호흡
1. 호흡기관 = 220
1) 코(Nose) = 221
2) 인두(Pharynx) = 222
3) 후두(Larynx) = 222
4) 기관(Bronchi) = 223
5) 폐(Lung) = 223
6) 흉곽 및 호흡근(Thorax and Respiratory muscles) = 225
2. 호흡작용 = 227
3. 폐용적 = 228
1) 1회 호흡량(Tidal volume) = 229
2) 폐활량(Vital capacity) = 229
(1) 체격 = 230
(2) 자세 = 231
(3) 연령 = 231
(4) 심폐의 질환 = 231
(5) 운동 = 231
3) 잔기량(Residual volume) = 232
4) 1회 호흡량(Tidal volume) = 232
5) 흡기 예비량(Inspiratory reserve volume) = 232
6) 호기 예비량(Expiratory reserve volume) = 233
7) 총폐용량(Total lung capacity) = 233
8) 사강(Dead space)과 폐포 환기 = 233
4. 폐장 내 기체교환 = 235
1) 기체의 분압 = 235
2) 체내의 PO₂와 PCO₂의 차도 = 236
5. 기체운반 = 239
1) 산소의 운반 = 239
(1) Hb는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단백질로 Hb 내에 있는 철분이 바로 O₂와 결합하는 비상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 240
(2) Hb의 포화량과 산소해리 곡선 = 240
2) CO₂의 운반 = 244
(1) CO₂의 용해 = 245
(2) CO₂의 화학적 합성 = 245
(3) 카바민 화합물 = 247
6. 호흡신경 = 247
1) 신경중추 = 247
2) 호흡리듬 = 249
(1) 흡기중추 = 249
(2) 허링-부루어 감각수용기 = 249
7. 호흡의 조절 = 250
1) 호흡의 신경조절 = 250
(1) 허링-부루어 반사 = 250
(2) 압력수용기 반사 = 251
(3) 화학수용기 반사 = 252
(4) 근·관절반사 = 252
(5) 대뇌피질 = 252
(6) 기타 여러 가지 감각수용기 = 252
2) 호흡의 화학성 조절 = 253
(1) CO₂ = 253
(2) O₂의 결핍 = 254
(3) 수소이온 = 255
8. 호흡과 운동 = 255
1) 환기량의 변화 = 255
(1) 실제 운동이 시작하기 직전에도 환기량이 증가한다 = 256
(2) 근-관절 수용기 = 256
(3) 과격한 운동 = 256
(4) 운동의 강도 = 256
2) 운동시 폐포 내 기체교환 = 257
3) 운동의 효과 = 258
4) 옆구리 결림(Side stitch) = 259
5) 평정상태(Second wind) = 260
제7장| 소화 및 흡수
1. 구강내 = 270
2. 위 = 271
1) 위의 기능 = 271
2) 위 분비액 = 272
3) 위 분비액 조절 = 273
(1) 신경 = 273
(2) 내분비선 = 273
(3) 유문괄약근 = 274
3. 소장 = 274
1) 소장의 기능 = 274
2) 소장 분비액 = 275
(1) 소장 = 275
(2) 췌장 = 276
4. 대장 = 279
5. 소화와 운동 = 280
제8장| 운동과 영양
1. 영양 = 287
2.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 = 288
3. 섭식의 종류 = 290
4. 영양소와 작용 = 291
1) 단백질 = 292
2) 탄수화물 = 294
3) 지방 = 300
4) 비타민과 무기질 = 302
5. 운동과 식사 = 303
제9장| 운동과 에너지원
1. Energy란 무엇인가 = 313
2. 화학 에너지 = 315
3. 근수축에 필요한 에너지 = 316
1) 무산소 반응과정 = 318
(1) ATP-PC 시스템 = 318
(2) 젖산 시스템 = 319
2) 유산소 반응과정 = 320
(1) O₂시스템 = 320
4. 휴식, 운동, 회복 = 322
1) 휴식시 = 323
2) 운동시 = 324
(1) 단시간 최대강도의 운동 = 324
(2) 장시간 최대하 운동 = 327
(3) 유산소 반응과정과 무산소 반응과정의 비교 = 329
3) 회복시 = 331
(1) 비젖산 산소부채 = 335
(2) 젖산 산소부채 = 336
제10장| 여성과 운동
1. 여성의 신체적 발달의 특성 = 348
1) 체격 = 348
2) 신체조성 = 351
2. 여성의 생리적 기전 = 353
1) 월경(Menstration) = 353
(1) 월경의 생리 = 353
(2) 월경주기(Menstrual cycle) = 355
3. 월경과 운동 = 357
1) 월경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 = 357
2) 월경주기와 운동능력 = 358
3) 운동과 초경 = 360
4) 운동과 임신 = 361
(1) 임신 증상 = 361
(2) 임신 중의 생리적 변화와 운동 = 362
4. 갱년기 여성생리와 운동 = 366
1) 폐경기의 생리적 변화 = 366
(1) 폐경의 원인과 증상 = 367
2) 갱년기 운동과 생리적 변화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