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2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00864668 | |
005 | 20101112203842 | |
007 | ta | |
008 | 031206s2003 ulka 000c kor | |
020 | ▼a 8995392959 ▼g 03810 | |
035 | ▼a KRIC09041927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 |
049 | 1 | ▼l 111270293 ▼l 111270294 |
082 | 0 4 | ▼a 895.709004 ▼2 22 |
085 | ▼a 897.09006 ▼2 DDCK | |
090 | ▼a 897.09006 ▼b 2003b | |
100 | 1 | ▼a 방민호 ▼g 方珉昊 ▼0 AUTH(211009)121233 |
245 | 1 0 | ▼a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 ▼b 이어령ㆍ장용학ㆍ손창섭을 중심으로 / ▼d 방민호 지음 |
260 | ▼a 서울 : ▼b 향연, ▼c 2003 | |
300 | ▼a 261 p. : ▼b 삽화 ; ▼c 23 cm | |
600 | 1 4 | ▼a 이어령 ▼g 李御寧, ▼d 1934- |
600 | 1 4 | ▼a 장용학 ▼g 張龍鶴, ▼d 1921-1999 |
600 | 1 4 | ▼a 손창섭 ▼g 孫昌涉, ▼d 1922-201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112702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112702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211316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211316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112702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112702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211316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 청구기호 897.09006 2003b | 등록번호 1211316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방민호(지은이)
1965년 충남 예산 출생.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자 문학잡지 『문학의 오늘』 편집 주간이다. 한국현대문학사의 시각에서 작가들, 작품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역사, 문화를 폭넓게 진단하는 문명비평을 지향하고 있다. 1994년 『창작과 비평』 제 1회 신인 평론상을 수상, 비평 활동을 시작하여, 평론집으로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2018),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2007), 『행인의 독법』(2005), 『문명의 감각』(2003), 『납함 아래의 침묵』(2001),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2000) 등이 있다. 국문학 연구서로는 『탈북문학의 도전과 실험』(2019, 공저), 『최인훈, 오디세우스의 항해』(2018, 공저),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2015),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2011),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2003),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2001) 등을 펴냈다. 그밖에 시집으로 『숨은 벽』(2018),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2015),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2010), 장편소설 및 소설집으로 『대전스토리, 겨울』(2017), 『연인 심청』(2015),『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2015), 산문집으로 『경원선 따라 산문여행』(2020,편저), 『통증의 언어』(2019), 『서울문학기행』(2017), 『명주』(2002)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전후 비평에 나타난 세대의 논리 이어령 비평의 세대론적 의미 = 11 1. 전후 이상(李箱)의 재발견 = 13 2. '문협 정통파' 비판과 서양 보편주의 = 17 3. 전문단적인 대립 양상과 이어령의 위치 = 22 4. 피상적 대립에 그친 본질적 차이 - 김동리와의 논쟁 = 25 5. 전통을 둘러싼 대립의 의미 - 조연현과의 논쟁 = 32 6. 이어령과 전후 신세대 문학의 한계 = 38 전 후 이상(李箱)비평의 의미 = 41 1. 이상 연구 '붐'과 전후세대 비평 = 43 2. 임종국의 이상 비평과 이상 연구의 가능성 = 45 3. 이어령의 이상 비평에 나타난 저항의 의미 = 53 4. 고석규의 이상론에 나타난 수사학적 분석의 의미 = 60 5. 결론 - 김윤식의 이상 연구와 전후세대 비평의 특질 = 65 장용학의 소설 한자 사용론의 의미 = 69 1. 1920년대산 작가와 1930년대산 비평가의 논쟁 = 71 2. 소설 한자 사용론과 한글 전용론의 대립 = 73 3. 소설 한자 사용론의 논리적 한계 = 78 4. 소설 한자 사용론의 세대론적 의미 = 85 제2부 전후소설과 전후세대의 의미 한국의 1920년대산 작가와 한국전쟁 = 95 1. 전쟁의 연속성과 1920년대산 작가 = 97 2. 근대가 낳은 남매간의 전쟁과 그 초월 - 장용학의『원형의 전설』 = 100 3. 전쟁을 괄호 안에 넣기 - 손창섭의『낙서족』 = 104 4. 시련속에서 획득하는 생의 의지 - 박경리의『시장과 전장』 = 109 5. 자유로운 내면성 획득을 위한 투쟁 - 곽학송의『자유의 궤도』 = 115 6. 한국전쟁의 소설적 수용 방향 = 120 알레고리를 통한 근대 초월 실험 - 장용학 소설 = 123 1. 전후문학과 전후문단 = 125 2. 기법과 주제와 시대의 관련양상 = 129 3. 신화적 현실의 발견 -「요한시집」과「비인탄생」·「역성서설」연작 = 139 4. 근대 초월 실험과 그 한계 -「현대의 야」와『원형의 전설』 = 148 보유 - 장용학의 생애와 문학 = 156 손창섭의 자전적 소설들 = 163 1. 자전적 소설과 전후문학 연구 = 165 2. 손창섭 소설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169 3. 창작집『비 오는 날』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의 처리 방향 = 174 4. 자전적 소설의 측면에서 본『낙서족』과「신의 희작」 = 184 5. 장편소설『유맹』의 자전적 성격 = 192 6. 손창섭 연구의 향후 전망 = 200 손창섭의『낙서족』과 전후세대의 아이러니 = 203 1. 손창섭 소설 연구 현황 = 205 2. 손창섭의 개인사적 특수성과『낙서족의 위치』 = 207 3.『낙서족』과「신의 희작」의 관계 = 210 4. 세대론의 측면에서 본『낙서족』 = 217 5. 손창섭 소설과『낙서족』의 위치 = 228 손창섭의『유맹』과 '재일(在日)'의 운명 = 231 1. 재도일(再渡日)후 첫 장편소설 = 233 2. 자전적 소설의 측면에서 본『유맹』 = 236 3. '재일' 한국인이라는 역사적 운명의 자각 = 245 4. 손창섭 소설에서『유맹』의 가치 = 255